우리금융그룹...공개 매각 12년, 공적 자금 투입 24년...완전 민영화 가능

[우리은행 본점@뉴스프리존 DB]

공적자금관리위원회(이하 공자위)는 예금보험공사가 보유하고 있는 우리금융 지분 18.32%를 2020년 2분기부터 2022년까지 3년간 2~3차례에 걸쳐 매각하고 완전 민영화한다고 25일 밝혔다.

이세훈 금융위원회 구조개선정책관은 "남은 지분 매각 일정을 미리 발표해 계획된 일정 내에 차질없이 민영화를 하겠다는 의지"를 보이고 "시장의 불필요한 불확실성을 조기에 해소하고, 지분 처리 계획을 명확히 해 우리금융이 시장에서 민간금융사로 성장할 수 있도록 뒷받침하겠다"고 강조했다.

계획에 따라 2022년 우리금융이 완전 민영화된다며 1998년 한빛은행에 공적자금을 투입한지 24년만이며 2010년 민영화를 추진한 지 12년만에 오랜 숙원이 이뤄지게 된다.  

총 12조7663억원의 공자자금을 투입된 우리금융은 지난 1998년 외화위기를 겪으면서 정부가 상업은행과 한일은행을 인수 합병 한 후 한빛은행을 설립하고 이후 2001년 평화, 경남, 광주은행과 하나로종합금융을 더해 우리나라 최초의 금융지주인 우리금융지주가 탄생했다. 

정부는 2002년 6월 우리금융을 상장 후 총 4번의 블록딜 지분매각(2004년 5.7%, 2007년 5.0%, 2009년 7.0%, 2010년 9.0%), 증권사·지방은행 등 자회사 매각(2014년 10월), 소수지분 매각(2014년 12월 5.94%), 과점주주 매각(2016년 12월 29.7%) 등 다양한 방식으로 매각에 나서 지금까지 총 11조1404억원(회수율 87.3%)을 회수했다.

특히 2010년 MB 정부는 우리금융을 공개경쟁입찰방식으로 매각 방식을 바꿔 민영화에 나섰지만 첫 공개매각부터 유효경쟁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는 등 민영화 계획은 처음부터 난관이 예상됐다. 이에 2010년 12월 우리금융 우리사주조합을 주축으로 '우리사랑 컨소시엄'은 10조원를 마련해 당시 잔여지분인 56.97%, 전량 인수하는 예비입찰에 참여하려 했으나 다른 예비입찰자가 없어 경쟁입찰도 안되고 경영권 프리미엄 역시 너무 높아 입찰을 포기했다. 결국 공자위는 예비입찰 마감 한 달만에 민영화 중단을 선언해야 했다.

이후 2011년 2차 매각에서는 유효경쟁 미달로, 2012년 3차 매각에도 유력 후보였던 KB금융이 불참 선언으로 유효경쟁 미달로 민영화가 중단되는 아픔을 겪었다..

결국 공자위는 2013년 4차 매각에서 자회사를 분리해 매각하기로 하고, 2014년 우리투자증권·생명보험·저축은행·자산운용 등 패키지로 농협금융에, 경남은행은 부산은행, 광주은행은 전북은행에 매각하고 우리금융지주를 해체한 후 곧바로 2014년 4월 우리은행 경영권지분(30%)과 소수지분(26.97%)을 분할해서 매각한다고 발표했지만 참여가 예상됐던 교보증권이 불참해 중국안방보험의 단독입찰로 경영권지분 매각은 무산되고 소수지분 일부만 매각됐다. 

이에 국내에서는 더이상 인수 주체가 없다고 판단한 당시 이광구 우리은행장은 직접 해외 IR에 나서는 등 민영화에 적극적인 모습을 보였고 노조 역시 당시 박원춘 노조위원장을 중심으로 우리은행 민영화에 최선을 다해 힘을 모았다. 실제로 IR등을 통해 2015년 예보와 아부다비투자공사 등 중동지역 국부펀드가 지분매각 협상을 벌이기도 했지만 결과는 좋지 않았다. 

공자위는 고심끝에 2016년 8월 통매각이 아닌 4~8% 과점주주 매각을 발표하며 4% 이상 지분을 매입한 곳은 사외이사 추천권도 주기로 했다. 그러자 우리은행 예비입찰에 18곳이 참여를 하게 됐고, 우리은행 지분 29.7%가 아이엠엠 프라이빗 에쿼티(6%), 키움증권·한국투자증권·한화생명·동양생명·유진자산운용(4%), 미래에셋자산운용(3.7%) 등 7개 투자사에 넘어갔다.

과점주주 매각으로 민영화에 대한 자신감을 얻은 공자위는 매년 최대 10%를 매각해 이르면 2021년 중 완전히 공적자금 회수에 나설 예정으로 시장 상황 등으로 인해 희망수량경쟁입찰에서 물량이 남을 경우 블록딜방식으로 자동 전환해 잔여 물량을 처분한다는 입장이다. 

이세훈 정책관은 "주가에 연연하게 되다보면 계속해서 시기를 놓치고 일정이 지연되는만큼 주가 범위가 일정 범위에서 움직인다면 가격과 관계 없이 일정에 따라 매각할 것"이고, "우리금융의 민영화로 금융시장 발전에 기여하는 등 다른 편익들도 고려하게 됐다"며 "공적자금회수만이 유일한 목표는 아니다"고 말했다.

SNS 기사보내기
뉴스프리존을 응원해주세요.

이념과 진영에서 벗어나 우리의 문제들에 대해 사실에 입각한 해법을 찾겠습니다.
더 나은 세상을 함께 만들어가요.

정기후원 하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뉴스프리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