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프리존= 정은미 기자] 아파트 대출금 상환, 자녀 양육비, 생활비 충당 등을 이유로 맞벌이 부부들이 늘어난 것으로 확인됐다.

25일 통계청이 발표한 ‘2018년 하반기 지역별 고용조사(부가항목)-맞벌이 가구 및 1인 가구 고용 현황’에 따르면 작년 10월 기준 맞벌이 가구는 567만5000가구로 전년대비 21만9000가구(4.0%) 증가했다. 배우자가 있는 가구(1224만5000가구) 중 맞벌이 가구의 비중은 46.3%로 전년대비 1.7%포인트 늘었다.

통계청 제공

18세 미만 자녀가 있는 배우자가 있는 가구는 440만7000가구로 전년대비 13만 가구 감소했다. 이중 맞벌이 가구 비중은 51.0%로 전년대비 2.4%포인트 상승했다.

자녀의 모든 연령대에서 맞벌이 가구 비중은 상승했으며, 7~12세 자녀가 있는 맞벌이 가구 비중의 상승폭이 2.9%포인트로 가장 크게 나타났다. 특히, 자녀가 초등학교 재학인 경우 맞벌이 비중은 54.0%, 중학교 재학은 60.3%, 고등이상 재학 60.8%로 조사돼 자녀가 성장할 수록 교육비, 양육비 등 지출이 늘어남에 따라 이를 메우기 위해 맞벌이 비중이 증가한 것으로 파악됐다.

직업별로는 관리자(4.9%포인트), 사무종사자(3.9%포인트), 판매종사자(2.8%포인트), 단순노무 종사자(1.9%포인트) 등 모든 직업에서 맞벌이 가구 비중이 전년에 비해 상승했다. 가구주와 배우자 모두 상용근로자인 가구 비중은 48.6%, 가구주와 배우자 모두 비임금근로자인 비중은 11.8%로 나타났다.

자녀가 초등학교 재학인 맞벌이 가구의 25~49세 어머니의 평균 취업시간은 38.2시간, 중학교 재학인 경우는 39.6시간이었다. 자녀 학력이 높을수록 취업시간은 증가한 반면 자녀 연령이 어릴수록 맞벌이 가구의 취업시간은 적게 나타났다.

시·도별 맞벌이 가구 비중은 제주특별자치도가 61.5%로 가장 높았고, 전남(57.5%), 충남(55.5%) 순이었다. 반면 울산(38.1%), 부산(39.8%), 서울(40.4%)은 낮았다. 이는 농림어업과 사업·개인·공공서비스업등 비중이 높은 지역의 맞벌이 가구 비중이 높기 때문이라고 통계청은 밝혔다.

한편, 나홀로 가구 임금근로자(279만3000가구)의 임금 수준별 비중은 △100만원 미만 11.3% △100만~200만원 24.6% △200만~300만원 35.7% △300만~400만원 17.1% △400만원 이상 11.3%로 나타났다. 임금이 100만~200만원의 비중은 전년대비 4.6%포인트 하락했으나, 200만~300만원, 400만원 이상 비중은 전년대비 각각 2.4%포인트, 1.2%포인트 상승했다.

SNS 기사보내기
뉴스프리존을 응원해주세요.

이념과 진영에서 벗어나 우리의 문제들에 대해 사실에 입각한 해법을 찾겠습니다.
더 나은 세상을 함께 만들어가요.

정기후원 하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뉴스프리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