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 자루의 붓으로 동시에 그림을 그린다.

장조(張璪.-어떤 사료에는 張藻로 되어있다)는 자가 문통(文通)이며 당나라 오군(吳郡.-지금의 강소성 소주) 사람으로 소나무와 돌을 잘 그린 산수화가였다. 그는 독창적인 기법과 독특한 작품 스타일로 당‧송 회화사에서 나름대로의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당나라 현종(玄宗) 때에는 검교사부원외랑(檢校祠部員外郞)이라는 벼슬을 지냈다. 그 뒤 강등되어 장안을 떠나 무릉군(武陵郡.-지금의 호남성 상덕)의 사마(司馬)가 되었다.

송나라 때 곽약허(郭若虛)의 ‘도화견문지(圖畵見聞志)’에 따르면, 장조는 회화 창작에서 절묘한 기법을 가지고 있었다고 한다. 그는 두 손에 붓을 하나씩 들고 동시에 소나무 두 그루를 그렸는데, 한 손에 든 붓으로는 ‘봄의 윤택한 기운이 흐르는 생기발랄한’ 소나무를, 또 한손에 든 붓으로는 ‘가을의 처량한 기운이 완연한’ 비쩍 마른 소나무를 그렸다고 한다. 그런데 이 대조적인 두 소나무가 모두 생동감이 넘쳐서, ‘쌍관제하’라는 그의 특기에 감탄하지 않는 사람이 없었다고 한다.

수묵화(水墨畵) ⓒ Hasegawa Tōhaku/wikipedia | Public Domain

두 자루의 붓으로 동시에 그림을 그리거나 글씨를 쓰는 것을 ‘쌍관제하’라고 한다. 나중에 이 말은 하나의 고사성어가 되어, 두 가지 방법을 동시에 펼치거나 두 가지 일을 동시에 하는 것을 가리키게 되었다.

이 ‘쌍관제하’는 일종의 계략으로 운용되면서 비교적 넓은 영역에 침투해 있는데, ‘남은 밑천을 다 걸고 최후의 승부를 거는’ ‘고주일척(孤注一擲)’이나 ‘외곬으로 고집스럽게 한 길만을 고수하는’ ‘일조도이주도흑(一條道而走到黑)’과는 뚜렷한 대조를 이룬다.

어떤 책략을 시행하려면 때로는 문(文)에 때로는 무(武)에 의존해서 그것을 적절하게 사용해야 한다. 정치 수단을 사용한 다음 다시 경제‧군사‧외교 수단 등을 사용해야 할 때도 있다. 이런 의미에서 보면 ‘쌍관제하’는 그저 기본적인 모략 방법일 뿐이고, 크고 많은 문제에 부딪치면 ‘삼관제하’ 내지는 ‘다관제하’도 활용해야 한다. 공장 생산의 경우 대량 생산 체계가 조직되고 난 다음 판매에 나서는 것이 아니라, 때로는 시범 생산단계부터 심지어는 설계가 완성되자마자 광고 선전을 병행하면서 판매를 연결시키는, 이른바 선전‧판매‧시험‧생산을 동시에 진행시키기도 한다. 방법상 어떤 일을 하든 오로지 한 길에만 의존하는 것은 옳지 않다. 적어도 ‘두 가지 길’을 마련해서 좌우에서 근원을 찾아 들어가도록 힘써야 한다.

관련기사
SNS 기사보내기
뉴스프리존을 응원해주세요.

이념과 진영에서 벗어나 우리의 문제들에 대해 사실에 입각한 해법을 찾겠습니다.
더 나은 세상을 함께 만들어가요.

정기후원 하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뉴스프리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