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온라인
[연합통신넷/ 이진용기자]  한 시중은행에 예금계좌를 보유한 k씨는 지난해 2월 인터넷 뱅킹을 하다가 내역 확인이 안되는 자신의 계좌를 발견하고 k씨는 은행 창구를 찾아 직접확인을 요청했다, 은행직원은 계좌 잔액이 ‘0’이라는 말만했다. k씨는 며칠 뒤 집에서 찾은 자신의 통장을 제시하고서야 467만원을 환급받을 수 있었다. 은행은 이미 2012년에 k씨에게 별도 통보도 없이 예금액 전액을 은행 ‘잡수익’으로 돌리고는 계좌 잔액을 ‘0’으로 만든 상태였다.
 

왜 이런 일이 벌어진 걸까?  은행은 통상적으로 5년간 거래가 이뤄지지 않은 계좌는 예금청구권이 소멸된 휴면예금으로 간주해 ‘잡수익’ 등으로 처리하고 있다. 2007년 9월부터 2013년까지 17개 시중은행에서 휴면예금 처리한 금액만 5744억원(3113만 계좌)이다.
 

문제는 예금주 본인의 입출금 거래가 5년간 이뤄지지 않았더라도 정상적으로 은행에서 이자가 지급되는 한 이를 휴면예금으로 볼 수 없다는 대법원 판결이 2012년에 나왔다는 점이다. 이에 따라 은행은 부당하게 삭제한 계좌 정보를 복구하는 것은 물론, 판결 이후 발생하는 ‘5년 무거래’ 계좌에 대해서는 소멸시효를 중단시키는 등 예금주 보호 조처를 취해야만 했지만, 실제 집행은 이뤄지지 않았다. 은행을 규제·감독해야 할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이 손을 놓고 있었던 탓이다.
 

감사원은 12일 “은행들이 소멸시효 중단을 위한 조처를 취하지 않는 바람에 판결 뒤인 2012년 9월부터 2013년 12월 사이에도 1055억여원이 추가로 소멸시효가 완성되는 등 예금주 재산권 침해가 계속 발생해온 것으로 최근 감사에서 드러났다”며 “금융위원장과 금감원장에게 즉각 예금주 권리 보호 방안을 마련하도록 통보했다”고 밝힌 상태라 설명했다.

SNS 기사보내기
뉴스프리존을 응원해주세요.

이념과 진영에서 벗어나 우리의 문제들에 대해 사실에 입각한 해법을 찾겠습니다.
더 나은 세상을 함께 만들어가요.

정기후원 하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뉴스프리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