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아이가 갖고 싶어 하는 것을 무엇이든 다 사주면 아이는 세상의 모든 것이 자기 것이 될 수 있다고 오해하면서 자랄 것이다.

2. 아이가 나쁜 말을 쓸 때, 그냥 웃어넘겨라. 그러면 자기가 재치 있는 줄 알고 더욱 나쁜 말과 나쁜 생각을 할 것이다.

3. 잘못된 품행을 책망하지 말고 그냥 두어라. 이다음에 사회로부터 책망을 받게 될 것이다.

4. 아이가 어질러놓은 책상, 침대, 옷, 신발, 장난감 등을 모두 정돈해 주어라. 자기의 책임을 다른 사람에게 전가해 버리는 사람이 될 것이다.

5. 텔레비전, 비디오, 오락기 등을 마음대로 볼 수 있게 해주어라. 머지않아 그 아이의 마음은 쓰레기통이 될 것이다.

6. 아이들 앞에서 부부나 가족들의 싸우는 모습을 자주 보여라. 그러면 이다음에 가정이 깨어져도 눈 하나 깜짝하지 않을 것이다.

7. 달라고 하는 대로 용돈을 얼마든지 주어라. 타락의 길을 쉽게 터득할 것이다.

8. 먹고 싶은 것, 좋다는 것을 모두 해 주어라. 어떠한 거절이라도 한 번만 당하면 곧 낭패에 빠지는 사람이 되리라.

9. 또래들과 다투거나 입장이 다를 때 언제나 아이편이 되면, 장차 이웃과 사회가 모두 그 아이의 적이 될 것이다.

10. 아이가 이웃이나 선생님, 그리고 경찰관과 대립되는 자세나 마음가짐을 가질 때에는 항상 아이의 편을 들어주어라. 그러면 사회가 모두 그 아이의 적이 될 것이다.

인터넷에 떠도는 ‘자녀를 망치는 열 가지 길’이다. 부모님들 중에는 위 열 가지 중 몇 가지에 해당되나요? 철학 없이 아이들을 키우는 부모들… 남이 하면 따라 하는 부모들, 아이들이 놀고 있으면 불안한 엄마들, 학원에만 보내면 똑똑한 사람, 훌륭한 사람이 될 것이라고 믿는 부모들… 왜 내 아이가 남의 손에 맡겨야 마음이 놓일까? 하혜(河海)와 같은 사랑을 주고 또 주어도 시간이 모자라는데 왜 남의 손에 맡겨야 속이 시원한가? 그렇게 자신이 없을까? 나는 좋은 부모일까? 아니면 나쁜 부모일까?

선생, 교사, 교육자란 누구인가? ‘세상 모든 교사들은 모두 훌륭한 인격자인가? 눈에 넣어도 아프지 않을 내 자식을 그들에게 믿고 맡겨도 좋은가? 그들이 엄마의 역할을 대신 해 줄 수 있는가?’ 라고 생각해 본 일이 있는가? 살기 바빠 어쩔 수 없어 어린이집, 유치원에 보내는 부모들에게 미안한 말이지만 전업주부들조차 어린이집이나 유치원에 보내야 직성이 풀리는 사람들이 많다. 모든 어린이집, 유치원교사들은 엄마보다 훌륭한 교육자인가? 엄마보다 더 많은 사랑을 나눠 줄 수 있는 사람인가? 그들에게 믿고 맡겨도 좋은가?

욕심쟁이 부모들이 아이들을 망치고 있다. 아이들 입장에서 생각해 보자. 아무리 아이들이 적응력이 빠르다고 하지만 낯선 환경에서 처음 만나는 선생님, 처음 만나는 개성이 각각 다른 아이들과 만난다는 것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닐 것이다. 그들이 친해지기 까지 얼마나 힘들고 어려울까? 부모들이 낯선 곳에서 낯선 사람과 처음 만날 때를 생각해 보면 그 어린 것이 얼마나 불안하고 힘겨운 시간들을 보내야 친밀감이 생긴다는 것을 경험을 통해 알지 않은가?

남의 손에 맡겨야 직성이 풀리는 엄마들… 교육이 무엇이라고 생각하는가? 지식을 교육이라고 착각하는 엄마들이 있다. 정말 그럴까? 미운 짓조차 예쁘기만 한 자식들… 그런 자식들에게 더 좋은 것, 더 맛있는 것, 더 좋은 환경에서 똑똑하게 키우고 싶은 것은 이 세상 모든 부모들의 한결같은 소망이요, 인지상정이다. 그런데 이런 부모들 중에는 교육은 전문가에게 맡겨야 한다고 철석같이 믿고 어린이 집이나 유치에 보내야 안심이 된다는 부모들이 있다. 교육이란 무엇인가? 부모가 할 수 있는 교육이 있고 학원 선생님들이 할 수 있는 교육이 따로 있다.

가정에서 하는 교육은 지식교육보다 정서교육이다. 정서(情緖, emotion)란 ‘기뻐하고 슬퍼하고 놀라고, 성내고 행복해 하는 다양한 감정, 생각, 행동과 관련된 정신적ㆍ생리적 상태’를 일컫는 말이다. 정서는 유아기, 아동기, 청소년기, 청년기 장년기 노년기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유아기의 경우 두려움의 대상, 소음이나 낯선 물건·낯선 장면·낯선 사람에 대한 감정 등이다. 6세 경이 되면서 상상력의 발달과 더불어 상상의 생물·괴물(怪物) 등에 대한 무서움이 증가한다. 또한, 어둠이라든가 위험한 것, 유해물 등에 대한 두려움도 증가한다. 취학할 무렵에는 실패라든가 굴욕에 대한 두려움과 같은 정서가 발달하는 시기다.

영아기, 유아기와 같은 시기에 가장 필요한 정서는 부모로부터 받는 사랑과 믿음과 신뢰다. 이 시기에 낯선 환경에서 불안과 두려움의 정서를 만나면 정서불안과 같은 현상이 나타날 수도 있다. 한 자녀 가정이 늘어나 인간관계를 걱정하는 부모들 중에는 학원에서 교우관계를 통한 정서가 발달할 것이라고 걱정하는 사람들이 있지만, 지시와 통제와 단속과 훈련을 통해 생겨나는 정서는 부모들에게 받는 사랑의 정서와는 비교할 바가 아니다. 유아기와 아동기에 가장 필요한 것은 지식도 교우관계도 아닌 사랑이다.

유아원이나 어린이집, 유치원에서 부모와 같은 사랑의 정서가 길러지는가? 응석을 부리는 시기가 있고 지식에 대한 호기심이 발달하는 시기가 따로 있다. 유아기에 문자를 습득시키거나 경쟁을 시키는 것은 교육이 아니라 독이 될 수 도 있다는 사실을 경쟁교육에 찌들린 우리나라 부모들이 알기나 할까? 우리는 지금 지식정보화시대가 아닌 제 4차산업사회에 살고 있다. 안정된 정서로 창의성을 키워야 할 아이들에게 암기한 지식을 주입시켜 서열을 매기는 교육은 교육이 아니라 반교육이요, 폭력이다. 통제를 통해 길들이는 말 잘 듣는 아이로 길러 알파고 시대에 유능한 사람으로 자랄 수 있는가? 욕심쟁이 부모들이 기르고 싶은 의사나 변호사, 판검사… 가 알파고 시대도 인기가 있을 것이라고 생각하는 것은 착각이다.

SNS 기사보내기
뉴스프리존을 응원해주세요.

이념과 진영에서 벗어나 우리의 문제들에 대해 사실에 입각한 해법을 찾겠습니다.
더 나은 세상을 함께 만들어가요.

정기후원 하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뉴스프리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