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수 구하라씨가 2019년 11월 24일 사망했습니다. 참으로 안타깝습니다. 더욱이 친구인 가수 설리가 죽고 얼마 안돼서 일어난 일이라 연예계가 깊은 슬픔에 잠겼습니다. 왜 이렇게 창창한 젊은이들이 줄줄이 떠나는 것일까요? 아마도 청춘이 병들어가기 때문만은 아닐 것입니다. 그것은 영혼이 굶주렸기 때문이 아닐 런지요?

어떤 철학자는 지금 우리 시대를 이렇게 묘사(描寫)하였습니다. “헝그리(배고픔)의 시대에서 앵그리(화냄)의 시대가 되었다.” 그렇습니다. 이제 배고픔이나 그저 먹고 사는 문제는 상당부분 해결되었습니다. 하지만 정신적인 굶주림이나 영혼의 문제는 몇 배로 늘어나지 않았나 하는 생각입니다.

그 증거로 1990년대보다 2000년대에 우울증에 걸린 사람의 수가 7~8배 증가하였다고 합니다. 또한 증오범죄나 화냄으로 인한 범죄가 몇 배로 증가하였다는 것입니다. 화(분노, anger)에 대해서라면, 화를 잘 내는 사람과 화를 잘 참는 사람으로 나눌 수가 있습니다. 그렇다면 굶주린 영혼을 달래주면 화를 멈추고 편안한 삶을 구가(謳歌)하게 할 수 있지 않을까요?

《장자(莊子)》라는 책은 BC 290년경에 만들어졌습니다. 전국시대의 사상가인 장주(莊周)가 지은 저서이지요. <빈 배(虛舟)>라는 글은 《장자》 <외편 20 산목편(山木編)>에 나오는 글입니다. 이 <빈 배> 라는 글이 화난 마음을 어느 정도 가라앉혀줄 좋은 수단이 될 것 같아 알아봅니다.

화의 문제는 감정에서 비롯됩니다. 하지만 화를 절제하거나 참는 것은 의지적인 문제요 이성의 힘을 발휘하는데서 비롯됩니다. 장자는 강에서 홀로 작은 배를 타고 명상에 잠기기를 좋아 했습니다. 그런데 어느 날, 장자는 여느 때처럼 눈을 감고 배 위에 앉아 명상에 잠겨 있었습니다.

그때 갑자기 어떤 배가 장자의 배에 부딪쳐 왔습니다. 화가 치민 장자는 눈을 감고 생각을 했습니다. “무례한 인간이군, 내가 눈을 감고 명상중인데 어찌하여 내 배에 일부러 부딪친단 말인가?” 장자는 화가 나서 눈을 부릅뜨며 부딪쳐 온 배를 향해 소리를 치려고 하였지요.

하지만 그 배는 비어 있었습니다. 아무도 타지 않은 빈 배였지요. 그저 강물을 따라 떠내려 온 빈 배였던 것입니다. 순간 장자는 부끄러움을 느꼈습니다. 후에 장자는 제자들에게 이렇게 말을 합니다.

“세상에 모든 일은 그 배 안에 누군가 있기 때문에 일어난다. 만일 그 배가 비어 있다면 누구도 소리치지 않을 것이고 화를 내지 않을 것이다.” “그러니 세상의 강을 건너는 내 배를 빈 배로 만들 수 있다면, 아무도 나와 맞서지 않을 것이다. 그리고 아무도 내게 상처 입히려 들지 않을 것이다. 내 배가 비어 있는데도 사람들이 화를 낸다면 그들이 어리석은 것이다.”

“내 배가 비어 있다면, 나는 다른 사람들이 화내는 것을 즐길 수 있다. 텅 빈 공간이 되어라. 사람들이 그냥 지나가게 하라” 다른 사람들의 불쾌한 언행에 대해서 장자의 <빈 배>처럼 침착하게 대응함으로써 자신의 행복과 평안을 깨뜨리지 않게 하는 노하우를 장자의 <빈 배>는 말하는 말하고 있지 않은가요?

화가 나는 상황에 대해서 같이 화로 대응하려는 것이 인간의 기본적인 속성일 것입니다. 하지만 장자의 말처럼 자신을 <빈 배>처럼 만들려면 오랫동안의 수행이 요구됩니다. <마음을 텅 빈 마음으로 만든다는 것>은 불가(佛家)나 도가(道家)에서는 아주 중요한 덕행(德行)입니다.

화가 났을 때에도 화로 대응하지 않고, 침착해진다는 것은 반드시 ‘마음공부’를 통하지 않으면 안 됩니다. 우리가 사람인 이상 화를 내지 않을 수는 없을 것입니다. 그래도 화는 적당히 내는 것이 건강에도 좋습니다. 하지만 과도한 화를 내는 것은 상대방과 자신, 둘 다 상처를 입히고 심지어는 우리의 영혼을 파괴하는 악행으로 변하게 할 수도 있습니다.

소태산(少太山) 부처님께서는 “수도 인이 경계(境界)를 피하여 조용한 곳에만 마음을 길들이려 하는 것은 마치 물고기를 잡으려는 사람이 물을 피함과 같나니 무슨 효과를 얻으리오. 그러므로 참다운 도를 닦으려면 오직 천만 경계 가운데에 마음을 길들여야 마음이 흔들리지 않는 큰 힘을 얻으리라.”하셨습니다.

그 흔들리지 않는 마음의 힘을 기르는 법이 바로 <마음공부>입니다. 마음공부는 경계가 생길 때 일어나는 마음을 원래 마음과 대조하는 공부입니다. 본래는 ‘없건만’ 경계 따라 ‘일어났다 사라지는’ 마음의 원리입니다. 바로 이 마음공부가 굶주린 영혼을 치유하고 극단적인 행위를 막는 대법(大法)이 아닐 까요!

단기 4352년, 불기 2563년, 서기 2019년, 원기 104년 12월 4일

덕 산 김 덕 권(길호) 합장

SNS 기사보내기
뉴스프리존을 응원해주세요.

이념과 진영에서 벗어나 우리의 문제들에 대해 사실에 입각한 해법을 찾겠습니다.
더 나은 세상을 함께 만들어가요.

정기후원 하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뉴스프리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