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도립미술관 서울관의 ‘2020년 선정작가’로 뽑혀
설계도면 그리듯 ‘현대판 풍수화’ 몰입 10여년
“삶터 가까이 있는 좋은 기운 모두가 향유해야”

건축가 김석환은 북한산과 한양도성을 꾸준히 그려온 작가다. 공간을 다루는 건축가로서 북한산과 서울이 어루러지는 풍경에 매료되서다. 10여년째 산과 물이 조화로운 서울의 ‘명당’성을 김정호의 대동여지도처럼 실경으로 그려왔다. 산과 물과 바람의 기세를 현대적 관점에서 그린 ‘현대 판 풍수화’라 할 수 있겠다. 이런 노력이 전북도립미술관 서울관의 ‘2020년 선정작가’로 뽑히는 결실로 이어졌다.

선정작가 기념전이 2월5일부터 10일까지 인사아트센타 6층 전북도립미술관 서울관에서 열린다. 그동안 작업했던 북한산과 도성,한강 등을 그린 작품들을 한꺼번에 볼 수 있는 기회다. 특히 이번 전시에서는 북한산과 한양도성을 하나의 시각에서 바라보며 그 연계성과 한양 입지의 빼어남을 부각시키는데 초점을 맞췄다.

“자연지형과 일체로 형성된 성곽의 축조미와 그 성곽과 주변 산세가 함께 어우러진 한양도성의 아름다움을 전하기 위해 남아 있는 성곽중 가장 빼어난 장면들을 추가해 많이 그렸습니다.”

그는 “한양(서울)은 삶터로서 특별한 천혜의 입지 조건을 갖고 있고, 그와 더불어 살아가는 사람들의 일상에 늘 좋은 기운을 발하고 있지만 바쁜 일상에서 그 존재를 잊고 살아가는 것이 아쉬워서 그림을 그리기 시작했다”고 털어놓았다.

그는 가로 5.4m 크기의 대작까지도 현장에서 직접 실경을 대하며 그렸다. 빼어난 경치와 장쾌한 기상을 갖춘 북한산과 조화되도록 구축한 한양도성의 면모를 현장의 필치로 생생히 담았다.

“서울은 백두대간의 정기가 한북정맥을 타고 흘러들어 한강을 마주하고 앉아 맑은 기운을 불어 넣고 있습니다.풍수지리상 전형적인 길지라 할 수 있지요.” 

그는 특히 북한산의 호쾌한 능선과 암봉이 뿜어내는 웅대한 기세에 끌렸다. 산 가운데 봉우리 전체가 바위 암봉으로 되어 있는 경우가 흔치 않아서다.

“백운대 인수봉 만경대 노적봉 등 큰 바위로만 이루어진 정상부 봉우들은 장엄한 기세의 전형이지요. 그리고 그 정상부로부터 굳세게 흐르는 능선들은 여러 갈래로 뻗쳐 나가며 광활함까지 보여주지요.”

그는 북한산을 오를 때마다 마주하는 사람들의 얼굴에 환희가 가득한 것을 늘 목격했다. 그것이 북한산이 주는 기운이라 것이다.

“저는 설계 도면을 그리듯이 현장의 풍광을 화폭에 충실히 담으려고 노력했습니다. 대상의 사의적 표현이나 사진을 보고 그린 그림이 갖는 실재감의 괴리를 극복하고자 했지요.”

그는 공간의 깊이와 높이 솟은 봉우리들의 기상, 그리고 꿈틀대는 산세의 다채롭고 미묘한 변화 등을 생생히 표현하기 위해서는 실경을 마주하지 않고서는 불가능하다고 여긴다. 사람들이 종종 그의 그림을 보고 꿈틀꿈틀 살아 움직이는 것 같다고 반응을 보이는 것도 치열한 현장작업의 결과물이다. 현장에서 사물을 보며 느낀 감각이 손에 바로 전달돼 화폭으로 옮겨지는 형국이다. 이렇게 현장작업을 고수하다보면 많은 어려움도 따르게 마련이다.

편완식[미술전문기자]
편완식[미술전문기자]

“우선 그릴 대상이 보이는 지점까지 험한 산길을 수 없이 오르내려야만 했습니다. 큰 그림은 같은 장소를 주말마다 반복적으로 오랫동안 오가야만 했기 때문에 시간과 체력적 부담도 만만치 않았지요. 게다가 산정상 작업은 강한 바람이 화폭을 날려 큰 부담이 됐습니다.”

그는 북한산의 지형지세를 바탕으로 이룩된 서울의 입지를 생생히 전하고 싶어한다.

“우리의 삶터 가까이 존재하는 명산의 기운을 많은 사람들이 느낄 수 있기를 기대합니다.”

SNS 기사보내기
뉴스프리존을 응원해주세요.

이념과 진영에서 벗어나 우리의 문제들에 대해 사실에 입각한 해법을 찾겠습니다.
더 나은 세상을 함께 만들어가요.

정기후원 하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뉴스프리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