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왜 철학을 배워야 하는가?

안다는 것은 무엇인가? 공자의 논어 중에 ‘知之爲知之요, 不知爲不知가 是知也’ 라는 논어의 ‘위정’ 편에 나오는 말이 있다. 사람들은 ‘아는 것’과 ‘아는 듯’ 한 것 모두를 안다고 말한다. 그런데, 어렴풋이 아는 것은 진정으로 아는 것이 아니다. 자신이 모르는 것과 아는 것을 확실히 구분할 수 있는 것이야말로 진정한 ‘앎(知)’이라는 말이다.

안다는 것은 인식한다는 뜻이다. 사전에 보면 인식이란 ‘사물을 인지(認知)·식별(識別)하고, 기억·사고(思考)하는 작용 및 그 결과’라고 해석한다. 인식은 감성적 인식과 이성적 인식으로 구분한다. 감성적 인식[感性的認識]이란 ‘감각이나 지각(知覺) 등 사물의 직접적 작용에 의해 주어지는 대상의 상(像)’ 즉 이를테면 공간지각 ·시간지각 ·운동지각 등과 같이 그 순간에는 지각하고 있지 않은 대상의 영상(映像)을 말한다. 이것은 돌이다., 저것은 산이다. 이것은 흰색이다..와 같이 대상에 대한 인지(認知)는 이 감성적 인식에 해당된다.

반대로 이성적 인식[理性的認識, Vernunfterkenntnis]이란 ‘추상적 사고(抽象的思考)를 통하여 얻어지는 개념적·논리적 인식’을 말한다. 인간의 인식은 먼저 감각과 지각, 또는 표상(表象)으로서 주어진 감성적 인식에서 출발하지만 곧 잇달아 개념의 추상적 사고로 계속되어 이성적 인식에 도달한다. 그러나 인식의 발전은 거기서 멈추지 않고 감성적인 것에서 이성적인 것으로, 이성적인 것에서 감성적인 것으로 끊임없이 왕복하면서 점차 높은 수준으로 올라가는 나선형의 과정을 밟는다. 도서실에서 큰 소리를 내면 다른 사람에게 방해가 되겠구나, 자신의 책임과 의무를 못하면 다름 사람에 피해를 보게 되는구나..와 같이 판단을 필요로 하는 앎이다.

2. 안다는 것의 가치

안다는 것. 인식한다는 것은 원론적으로 ‘살아가는 데 필요한’ 쓸모가 있기 때문에 가치로운 것이다. 그러나 ‘안다’는 것은 객관적으로 아는 것과 현상만을 인식하는 것에는 차이가 있다. 사실을 객관적으로 이해하지 못한다는 것은 사회 속에서 인간이 살아가는데 치명적인 문제점을 안고 있는 것이다. 가정에서 이루어져 오던 교육이 전문기구인 학교가 담당하면서 삶의 한 영역으로서가 아닌 가치배분의 기준을 만들어 내기 시작한 것이다.

다시 말하면 교육이 교육으로서의 본질적인 기능뿐만 아니라 역기능을 감당하게 된 것이다. 교육의 역기능이란 자본주의에서 자본주의 인간을 양성하듯이 필요악인지도 모른다. 현재 학교에서 전수되고 있는 지식이란 살아가는데 필요한 지식이 아니라 남과의 차이나 사회적 가치의 배분을 위해 서열 매김의 역할을 감당하게 된 것이다.

3. 교육은 이데올로기인가

학교가 철학을 가르치지 않는 이유가 뭘까? 학교가 철학을 가르치지 않는 이유는 드라마가 음란한 내용을 담고 있거나 폭력적인 내용으로 만들어지는 것과 무관하지 않다. 드라마를 제작하는 사람은 자본에 고용된 사람 즉 자본의 지배하에 있기 때문에 자유로울 수 없다. 마찬가지로 자본의 영향에서 자유롭지 못한 교육은 철학을 가르쳐 판단능력을 가진 삶으로 키울 수 없는 것이다. 특히 독재권력이 정권을 장악하거나 정당성이 없는 권력이 존재하는 한 학교에서는 철학을 가르치지 않는다.

1) 프래그머티즘 [pragmatism]

현대 미국의 대표적 철학.

관념이나 사상을 행위(그리스어로 pragma)와의 관련에서 파악하는 입장으로 실용주의(實用主義)라고 번역된다.1870년대에 C.S.퍼스에 의해 주장되었고 19세기 말에 W.제임스에 의해 전세계에 퍼졌으며 20세기 전반(前半)에 와서 G.H.미드와 J.듀이에 의해 더욱 구체화되었다.

2) 생(生) 철학

1) 운명애(運命愛)

생의 철학을 운명론 철학이라고도 한다. 대표적인 철학자인 쇼팬하우어는 운명을 사랑할 것을 역설했다. 운명이란 인간의 자유 의지와는 아무 관계없이 인간에 게 부여되어 가지고 인간의 존재와 행동을 지배하고 있는 어떤 힘 또는 결정을 의미한다.

2) 권력의지(權力意志, Will zur Macht)

쇼팬하우어의 맹목적 생존의지 대신 권력의지를 생의 본질로 보고, 이것을 원리로 하여 모 든 가지의 새로운 변혁을 부르짖고, 이 이념을 토대로 초인사상을 전개했다. 이 권력의지는 안 에서 소용돌이쳐 나오는 생명의 본질로서 정장하고 투쟁하고 창조하는 생명력이다. --- 허무주의(虛無主義)

Ⅱ 본론

식민지시대 일본은 많은 학교를 세웠다. 식민지 종주국이 왜 식민지에 학교를 세웠을까? 분명한 사실은 식민지 국민들에게 합리적인 생각이나 비판적인 사고력을 키워주기 위해서는 아니다. 식민지 종주국에 대한 존경과 경외 즉 황국의 백성을 만들 필요에서다. 식민지시대 교육이 종주국의 필요에 의해 이루어졌다면 군사정권이나 독재정권은 불의한 정권의 정당성이나 홍보차원에서 교육이 이루어지지는 않았을까? 박정희정권은 ‘5·16 쿠데타’를 ‘5·16 혁명’으로 가르치게 하고 ‘유신헌법’을 '한국적 민주주의라고 가르치게 했다. 그렇다면 문민정부라고 하는 김영삼, 김대중 노무현 정권은 어떤가? 교육이 수요자인 교육주체의 필요에 의해 내용이 구성되고 있을까?

“프랑스에는 국어나 영어 또는 수학 점수가 얼마나 좋은가의 여부로 좋은 학교에 입학하는 것이 아니라 철학점수가 얼마인가에 따라 좋은 대학을 갈 수 있고 없고가 결정됩니다” 서울신문 특파원으로 프랑스에 근무한 일이 있는 민주노동당 권영길대표에게서 들은 얘기다. 우리나라는 학교에서 철학을 가르쳐 주지도 않는데 왜 프랑스에서는 철학이 개인의 능력으로 평가되는 것일까?

온 가족이 함께 보는 텔레비전이 음란한 내용을 담고 있다거나 폭력적인 내용을 담고 있다는 지적을 자주 받지만 달라질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 왜 그럴까? 방송국이나 PD의 수준이 모자라기 때문일까? 그걸 리가 없다. 보통 시청자들은 드라마를 제작하는 사람이 PD라고 생각하지만 사실은 PD가 아닌 자본(광고주)이다. 광고주는 시청자들에게 즐거움을 주기 위해 봉사차원에서 드라마를 제작하는 것이 아니다. 자본의 논리에 의해 드라마를 제작하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자본은 ‘이윤의 극대화’라는 자본의 논리에 의해 드라마를 만들고 잇는 것이다. 교육권이 식민지 종주국에 있으면 식민지배에 필요한 인간을 양성한다. 마찬가지로 독재권력은 독재권력이 필요한 인간을, 자본주의에서는 자본주의가 필요로 하는 인간을 양성한다. 자본주의가 필요로 하는 인간은 어떤 인간일까? 비판적이고 창의력을 가진 인간일까 아니면 합리적인 사고와 합리적인 소비를 하는 인간일까? 교육권이 자본에게 주어진 상황에서는 감각적인 인간, 소비지향적이고 이기적인 인간을 양성할 수밖에 없다.

불의한 사회, 경제정의나 사회정의가 실종된 사회에서는 학교에서 철학을 가르치지 않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대신 퀴즈 풀이식 지식의 양으로 사람의 능력이나 가치를 평가하게 된다. 스포츠나 게임 그리고 교육까지도 서열을 만들고 미스코리아로 규격화하는 이유도 자본의 논리와 무관하지 않다. 자본의 논리는 소비지향적이고 감각지향적인 인간을 만들고 이런 논리에 충실한 교육이 계속될 수밖에 없다. 교육권이 자본에 종속된 사회에서는 교육이 교육으로서 본질적인 기능을 감당하지 못하고 이데올로기로서 기능하게 된다. 물론 교육뿐만 아니라 TV나 종교, 그리고 자본주의 철학이 민중의 눈을 감기는 마취제 역할을 하게 된다. 지난 효순이 미선이 사건에서 본 바와 같이 종교는 자본이 원하는 체제수호자의 역할을 충실히 함을 확인 할 수 있다.

▲출처 : 경향신문
▲출처 : 경향신문

1. 철학이란 무엇인가?

철학이란 소크라테스나 아리스토텔레스가 남긴 말 몇 마디를 놓고 해석하거나 암기하는 것이 아니다. 철학은 세계에 대한 견해다. 철학의 기본문제는 ‘물질과 의식이 어떤 관계에 있는가’ 하는 것이다. 물질이 일차적이고 시원적이라고 보면 유물론이고 의식, 정신이 일차적이고 시원적이라고 보면 관념론이다. 유물철학은 물질이 정신보다 먼저 있어서 물질이 전신을 탄생시켰다고 보고 관념철학은 정신이 물질보다 먼저 있었고 물질은 정신에서 나왔다고 주장한다.

철학의 기본문제의 둘째 측면은 인간은 물질세계를 인식할 수 있는가 없는가 하는 문제다. 유물론자들은 물질세계는 인간의 의사와는 관계없이 객관적으로 존재한다고 보고 관념론자들은 물질세계를 인식할 수 없다고 본다.

2. 유물론과 관념론

철학이란 인간의 세계관에 관한 학문이다. 세계관이란 세계에 대한 일반적인 견해이다. 세계관의 내용을 이루는 주요문제는 무엇인가? 세계를 이루는 중요문제는 시계는 자체로서 영원히 존재하는가? 어떤 방법으로 만들어 진 것인가? 세계에 대해서 인간은 어떤 관계를 가지고 있는가? 인간은 세계를 인식할 수 있는가?..같은 문제다.

철학의 기본문제는 물질과 의식이 어떤 관계에 있는가? 하는 문제다. 철학의 기본 문제에는 두 측면이 있다. 첫째 측면은 물질과 의식과의 관계에서 어느 것이 일차적이고 어느 것이 이차적인가? 하는 문제다. 이 문제에 대해 어떻게 대답하는가에 따라 대립되는 두 진영으로 나뉜다. 물질이 일차적이고 시원적이라고 인정하는 철학을 유물론이라고 한다. 유물철학은 물질이 정신보다 먼저 있어서 물질이 정신을 탄생시켰으며 또 정신은 물질에 의해서 규정된다고 주장한다.

관념론철학은 정신이 물질보다 먼저 있었고 물질은 정신에서 나왔으며 또 그것에 의하여 규정 진다고 주장한다. 물론 물질과 의식을 다 세계의 시원으로 인정하는 2원론도 있는데 이러한 견해는 불가피하게 모순에 빠지며 결국은 관념론으로 빠지고 만다.

철학의 기본문제의 둘째 측면은 ‘인간이 물질 세계를 인식할 수 있는가 없는가’ 하는 문제다. 이 문제에 있어서도 유물론과 관념론은 대립된다. 유물론자들은 물질세계는 인간의 의사와는 관계없이 객관적으로 존재하지만, 그것은 인간의 의식에 반영되어 인간의 세계를 있는 그대로 인식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관념론자들은 이것을 반대한다. 관념론자들 중 일부는 세계를 인식할 수 없는 것이라고 보고 일부는 인간의 의식이 객관세계를 반영한다는 것을 자부한다. 관념론자들은 결국은 세계를 있는 그대로 인식할 수 없다고 생각한다.(계속)

키워드
#인문학 #철학
SNS 기사보내기
뉴스프리존을 응원해주세요.

이념과 진영에서 벗어나 우리의 문제들에 대해 사실에 입각한 해법을 찾겠습니다.
더 나은 세상을 함께 만들어가요.

정기후원 하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뉴스프리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