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름다운 인간관계

우리가 어떻게 하면 아름다운 인간관계를 유지 할 수 있을까요? 그것은 인간관계에 있어 ‘너무 멀지도 않게 너무 가깝지 도 않게’하면 될 것 같은 생각이 들었습니다. 이것을 우리는 불가근불가원(不可近不可遠)이라고 하는 것입니다.

중국 춘추 전국시대 때 마지막 승자가 된 월(越)나라 왕 구천(句踐)에게는 두 명의 충직한 신하가 있었지요. 그 신하의 이름은 범려(范蠡)와 문종(文種)이었습니다. 당시 월 왕 구천은 경솔하게 오(吳)나라를 침략했다가 대패하여 나라가 위태롭게 되었습니다. 그러나 월 왕 구천은 문종과 범려라는 인재를 얻어 힘을 비축한 끝에 오나라를 멸망시키고 다시 월나라를 구할 수 있었습니다.

월 왕 구천은 나라를 구하기 위해 두 신하를 스승으로 모시고 열심히 지혜를 모았습니다. 한마디로 월나라의 왕이었지만 두 스승이 죽으라면 죽는 시늉까지 할 정도였지요. 그러나 월나라가 오나라를 이기고 강성해 졌을 때 범려는 문종에게 이런 말을 합니다.

 “월 왕 구천이라는 사람은 목이 길고 입이 튀어 나와 매의 눈초리에 이리의 걸음을 하는 상이오. 이 같은 상을 한 사람은 불가근불가원, 즉 어려움을 같이 할 수는 있어도 즐거움을 함께 누릴 수는 없는 것이지요. 만일 그대가 그를 떠나지 않으면 그는 장차 그대를 죽이고 말 것이오. 그러니 어서 이 왕궁을 떠나 그대의 살길을 도모 하시오”

그러나 문종은 범려의 말을 믿지 않았습니다. 범려는 이를 안타깝게 여기면서 문종을 버려두고 혼자서만 월 왕을 떠났습니다. 얼마 지나지 않아 범려가 예언하듯 월 왕 구천은 문종에게 자결을 명합니다.

“그대가 내놓은 비밀스런 계책으로 오나라를 전복하고 전국을 취할 수 있었소.그대가 말한 9가지의 계책 중 지금까지 겨우 3가지만을 사용하였는데도 강대한 오나라를 멸망시킬 수 있었소. 나머지 6가지는 아직 그대가 구사하지도 않고 있소. 남은 여섯 가지 계책 중에는 나를 토살(討殺)하여 왕위를 찬탈하는 계책도 있을 수 있으니 바라건대 나머지 계책은 나를 위해 죽어 지하에서 오나라를 도모하는데 써주기 바라오.”

이렇게 인간관계는 너무 가까이도 너무 멀리도 아닌 적당한 거리를 두어야 아름다운 관계가 이어질 수 있다는 것입니다. 참새가 떼를 지어 날아다니는 새들을 보면 나무나 줄에 앉을 때 서로 어느 정도의 일정한 거리를 두고 앉아 있습니다. 나중에 새가 날 때 서로 날개가 부딪히지 않게 하기 위해서라고 합니다. 사람들에게도 최적의 대인거리라는 것이 있는 것입니다.

너무 가까이 해도 안 되고 너무 멀리해도 안 되는 거리, 그것을 가리켜 서로의 존엄성을 위한 ‘배타적인 공간’이라고 하는 것이지요. 서로 가깝게 살면 좋을 것 같은데 막상 가깝게 살다 보면 서로 상처를 입고 미워하게 되고, 그렇다고 멀리 지내면 또 보고 싶은 것이 인간관계입니다. 바로 ‘배타적 공간’이 지켜지지 않아서 그런 것이 아닐까요?

종교생활도 마찬가지입니다. 흔히 교도(敎徒)들과 성직자는 너무 가까이 지내지 않는 것이 좋다고 합니다. 처음에는 좋지만 나중에는 서로 상처를 입고 사이가 안 좋아진다는 것이 생활의 지혜라는 것이지요. 사람이 살면서 가장 서글플 때가 언제일까요? 믿었던 누군가에게 뒤통수를 맞았을 때나 누군가에 대한 기대를 확 낮춰야 할 때일 것입니다.

사람에 대한 기대를 낮춘다는 의미는 그 사람에게 더 이상 기대를 하지 않겠다는 의미이기도 하고. 과도하거나 불필요한 기대로 인해 더 이상 마음의 상처를 받지 않겠다는 내적 다짐이기도 합니다.

사람들은 누구나 누군가에게 기대하는 어느 정도의 기대수준이란 것이 있습니다. 기대도 하지 않았던 사람이 기대 이하의 행동을 하면 우리는 화가 나지 않습니다. 왜냐하면 애당초 기대도 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상대에게 바라는 것이 없거나 적으면 그에 따른 서운함도 그만큼 줄어드는 것입니다. 그만큼 상처도 받지 않는다는 의미입니다.

그러니까 우리가 세상을 아름답고 지혜롭게 산다는 의미는 인간관계에 너무 큰 기대를 하지 않고 사는 것입니다. 세상에서 가장 당당한 사람은 바로 누구에게도 바라는 것이 없는 사람입니다. 그런 사람은 할 수만 있다면 많이 주되 그것이 내게 다시 돌아오기를 바라지는 말아야 합니다.

베풀 되 상(相)이 없어야 합니다. ‘상에 머물 바 없는 보시’는 ‘내’가 베푼다는 생색이나 칭송에 대한 기대, 미래에 얻게 될 복덕과 같은 상(相)에 집착 없는 보시를 뜻합니다. 그 어떤 상에도 집착과 주저 없는 보시(布施)는 이타(利他)의 극치입니다. 기대와 갈망은 집착을 갖게 됩니다. 집착은 번뇌를 낳고 번뇌가 자라 고통이 되므로 아름다운 인간관계는 적당한 거리를 두는 것이 아닐 런지요!

단기 4353년, 불기 2564년, 서기 2020년, 원기 105년 3월 4일

덕 산 김 덕 권(길호) 합장

SNS 기사보내기
뉴스프리존을 응원해주세요.

이념과 진영에서 벗어나 우리의 문제들에 대해 사실에 입각한 해법을 찾겠습니다.
더 나은 세상을 함께 만들어가요.

정기후원 하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뉴스프리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