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칙 전술로 매복을 숨긴다.

명나라 때의 『초려경략 草廬經略』 「수험 守驗」에 보면 험준한 곳을 수비하는 요령의 하나로 ‘예상 밖의 매복’이란 뜻의 ‘출기익복’을 거론하고 있다. 그리고 『백전기법』 「지전 地戰」에는 이런 대목이 있다.

무릇 적과 싸울 때 삼군이 지리적 이점을 얻는다면, 적은 숫자로 많은 수의 적을 대적할 수 있고 약함으로 강함을 꺾을 수 있다. 이른바 저쪽을 알면 공격할 수 있고 내 쪽을 알아도 공격할 수 있으나, 지리적 이점을 모르면 반쪽 승리밖에 거두지 못한다. 이는 ‘지피지기’하고도 지리적 이점을 얻지 못하면 완전한 승리가 될 수 없다는 말이다.

『울료자 尉繚子』 「전위 戰威」에서는 “천시(天時)가 지리적 이점만 못하다”고 까지 했다. 적의 예상을 벗어난 매복으로 적을 공격하는 것은 ‘출기제승(出奇制勝)’의 구체적인 방법이다. 이 계략의 성공은 적의 정세‧나의 상태‧지세(地勢)에 대한 전면적이고도 깊은 이해에 달려 있다.

먼저 적을 알아야 한다. 적장‧적의 병사‧적의 행동반경‧적의 행동형태‧나에 대한 적의 정보량 따위에 대해 숙지하고 있어야 한다.

그 다음으로 나를 알아야 한다. 아군의 장수와 병사 등에 대해 알아야 한다.

세 번째로는 지세를 알아야 한다. 무릇 매복은 지세를 이용하지 않고는 불가능하다. 지세라는 조건이 없으면 ‘출기익복’은 근본적으로 불가능하다.

병가에서는 선수(先手)가 중요하다. 그렇기 때문에 적의 마음을 공략할 수 있는 것이다. 예로부터 전투에 능한 자들치고 먼저 유리한 전투지를 차지하고 난 다음 적을 상대하지 않은 자는 없었다.

싸우는 쌍방은 모두 지혜를 겨루며, 상대보다 수준 높은 한 수를 구사하려 한다. 적과 나, 그리고 지세를 알아야만 비로소 정확한 결심을 내릴 수 있을 것이다.

231년, 제갈량은 위나라 공격에 나서 사마의와 기산(祈山)에서 맞붙었다. 식량이 떨어져 제갈량의 촉군이 후퇴하려 하자 사마의는 장합을 보내 추격하게 했다. 목문(木門)까지 추격했을 때, 촉군의 복병들이 높은 지세에서 비 오듯 화살을 퍼부었다. 장합도 화살에 맞아 전사하고, 촉군은 무사히 후퇴를 마칠 수 있었다.

관련기사
SNS 기사보내기
뉴스프리존을 응원해주세요.

이념과 진영에서 벗어나 우리의 문제들에 대해 사실에 입각한 해법을 찾겠습니다.
더 나은 세상을 함께 만들어가요.

정기후원 하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뉴스프리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