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계 투명성 논란에 휩싸인 '일본군 성노예제 문제 해결을 위한 정의기억연대'(이하 정의연)가 최근 4년간 약 49억여원을 기부받았고, 이중 9억여원을 피해자 지원에 쓴 것으로 나타났다.

9일 정의연이 국세청 홈택스에 공시한 2016∼2019년 '연간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에 따르면 이 단체는 2016년 12억8천800만원, 2017년 15억7천500만원, 2018년 12억2천700만원, 2019년 8억2천500만원을 기부받았다.

이 기간에 정의연이 위안부 피해자에게 지원한 내역은 2016년 30명에게 270만원, 2017년 45명에게 8억7천만원, 2018년 27명에게 2천300만원, 2019년 23명에게 2천400만원이다.

정의연이 받은 기부금(약 49억2천만원) 대비 피해자 지원금(약 9억2천만원) 비율은 약 18.7%다. 지난해 말 기준으로 남아 있는 기부금은 약 22억6천만원이었다.

앞서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이용수(92) 할머니는 지난 7일 기자회견에서 "(정의연에) 성금·기금 등이 모이면 할머니들에게 써야 하는데 할머니들에게 쓴 적이 없다", "(수요집회에) 참가한 학생들이 낸 성금은 어디 쓰는지도 모른다"고 주장했다.

이 할머니 주장에 대해 정의연은 8일 입장문을 내고 "후원금을 피해 할머니 지원, 위안부 문제 국제사회 인식 제고를 위한 활동, 수요시위 개최, 피해자 소송지원, 관련 콘텐츠 제작 사업 등에 사용하고 있다"고 해명했다.

정의연은 11일 기자회견을 열고 기부금 관련 논란에 관한 입장을 상세히 밝힐 예정이다.

한편 21대 총선에서 더불어시민당 비례대표로 당선된 윤미향 전 정의연 이사장은 2015년 12월 한·일 합의 내용을 사전에 알고 있었는지와 관련해 말을 바꿨다는 논란에 휩싸였다.

윤 전 이사장은 이 할머니가 기자회견을 한 뒤 자신의 페이스북에 "2015년 12월 28일 한일 합의로 박근혜 정부가 받은 10억 엔에 대해 이 할머니의 기억이 달라져 있음을 알았다. 저와 다른 할머니들은 박근혜 정부가 10억엔을 받는 것을 미리 알고 있었는데, 당신만 몰랐다고"라고 적었다.

그러면서 "다시 기억을 끄집어내어 설명드렸다"며 "2015년 12월 28일 한일 합의 발표 당일 할머니가 일찌감치 사무실로 오셔서 저, 연구자, 변호사님들과 함께 TV 틀어놓고 윤병세 장관의 발표를 보고 할머니와 같이 기자회견했다고. 그런데 할머니는 아니라고 하셔서 더이상 대화를 이어갈 수 없었다"라고 덧붙였다.

이런 설명은 윤 전 이사장이 윤병세 당시 외교부 장관의 발표를 보고 한일합의 내용을 알았음을 시사한 것으로 해석됐다.

윤미향 전 이사장
윤미향 전 이사장

하지만 윤 전 이사장은 8일 한 매체와 인터뷰에서 "합의 발표 전날 외교부가 기자들에게 엠바고 상태로 뿌린 것과 똑같은 내용을 일방적으로 통보받았다"며 "당일 발표는 (사전에) 통보받은 내용과도 달랐다"고 밝힌 것으로 보도됐다.

연합뉴스는 입장을 듣고자 윤 전 이사장과 이나영 현 이사장, 한경희 사무총장에게 전화하고 문자메시지를 남겼지만 연락이 닿지 않았다.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이용수 할머니가 피해 할머니들을 지원해온 정의기억연대(정의연)을 비판하고 나선 가운데, 전 정의연 이사장이자 윤미향 더불어시민당 당선인이 입장을 전했다.

8일 새벽 윤 당선인은 페이스북에 글을 올려 "정의연 활동과 회계 등은 정말 철저하게 관리하고 감사받고 보고하는 과정을 거치고 있다. 모금 목적에 맞게 사업도 진행하고 있다"라고 설명했다.

윤 당선인은 "지난 1992년부터 할머니들께 드린 지원금 등의 영수증을 할머니들 지장 찍힌 채 보관하고 있다. 할머니들 기억 확인용으로 보관했지만 그 기록들은 사료가 되어 있다"라고 말했다.

이 할머니가 2015년 한일 위안부 합의에 따라 박근혜 정부가 10억 엔을 받을 때도 피해자들이 몰랐다고 밝힌 것에 관해선 "오늘 오전 이 할머니와 통화를 하는 중 할머니의 기억이 달라져 있음을 알았다"라고 털어놨다.

윤 당선인은 "저와 다른 할머니들은 박근혜 정부가 10억 엔을 받는 것을 미리 알고 있었는데 당신만 몰랐다고 하셨다"라며 "그래서 다시 설명 드렸다. '2015년 12월 28일 한일 합의 발표 당일 이 할머니와 사무실에서 함께 TV 틀어놓고 윤병세 전 외교부 장관 발표를 봤고, 발표 끝나자마자 기자회견 해서 할머니 말씀하시는 것 그 날 밤에 뉴스에 다 나갔다'라고 설명했다"라고 전했다.

이어 "그런데 할머니가 아니라고 하셔서 더이상 대화를 이어갈 수가 없었다. 피해자들과 함께한 그동안 제 경험으로는 그럴 때는 그 상태에서 멈출 수밖에 없는 듯하다"라고 말했다.

21대 국회의원 선거에 비례대표로 출마한 것에 대해서는 "'잘했다' 하시던 할머니 말씀, 제 의정활동 계획에 대해 '그래 그러자'라고 하시던 할머니의 말씀에 춤이라도 추고 싶었다"라며 "지금은 '우리 문제 다 해결하고 가라'라는 목소리로 바뀌었다"라고 안타까움을 드러냈다.

그러면서 "제게 대응을 하라고 하시는 분들이 있다. 그러나 오늘도 저는 이렇게 소극적으로 생각과 마음을 담아내는 글로 대신할 수밖에 없다. 대응 상대가 피해자이시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윤 당선인은 "이 할머니는 그동안 누구보다 주체적이고 용기 있는 인권 운동가로 활동해오셨다"라며 "수많은 할머니의 안타까운 시간, 그 세월의 몫까지 제 삶에 담아 21대 국회에서 '죽은자들의 몫까지 함께 해내는 운동'을 만들어가려 한다. 그 길밖에 제가 갈 길이 없는 것 같다"라고 글을 맺었다.

지난 7일 이 할머니는 대구 한 찻집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정의연을 비판하는 취지의 주장을 했다.

이 할머니는 "현금 들어오는 걸 알지 못하지만 모인 성금과 기금을 할머니들에게 쓴 적이 없다"라고 밝혔다. 또 "수요집회를 없애야 한다. 참가한 학생들이 낸 성금은 어디 쓰는지도 모른다"라고 말하면서 윤 당선인이 이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연합뉴스]

키워드
#윤미향
SNS 기사보내기
뉴스프리존을 응원해주세요.

이념과 진영에서 벗어나 우리의 문제들에 대해 사실에 입각한 해법을 찾겠습니다.
더 나은 세상을 함께 만들어가요.

정기후원 하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뉴스프리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