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자가 약한 것처럼 한다.
『백전기법』 「강전 强戰」에 이런 대목을 볼 수 있다.

적과 싸울 때 내 쪽의 수가 많고 강하면 일부러 겁먹은 것처럼 보여 적을 유인한다. 그러면 적은 틀림없이 공격해올 것이다. 그때 정예군으로 치면 반드시 적을 패배시킬 수 있다.

이는 내 쪽이 강하고 적이 약한 상황에서 활용하는 계략이다. 일부러 약한 것처럼 보여 적을 유인하여 싸우게 한 다음, 정예군으로 불의의 타격을 가한다. 이것은 ‘능력이 있으면서도 싸우지 못하는 척한다.’는 ‘능이시지불능(能而示之不能)’의 구체적 운용이다.

기원전 342년, 위(魏)‧조(趙) 연합군이 한을 공격했을 때 손빈이 취사용 솥을 줄이고 일부러 겁먹은 듯 피하며 적을 유인하여 마침내 방연을 죽음으로 몰고 간 것도 바로 이 ‘강이시약’의 계략을 아울러 구사한 결과였다.

당시 대장군 전기와 손빈은 강한 군사를 거느리고 있어 적과 싸울 힘이 충분했다. 그런데도 적에게 허점을 보인 것은 위 나라 군의 교만함과 상대를 깔보는 심리를 이용하여 적의 오판을 유도, 최후의 승리를 거두기 위해서였다.

이정랑 고전연구가
이정랑 고전연구가

나폴레옹은 아우스터리츠 전역에서 적의 상황을 정확하게 판단하여 우세한 프랑스 군의 전력을 충분히 발휘했다. 러시아와 오스트리아 동맹군을 유인하여 신속하게 결전을 벌이고자 나폴레옹은 일련의 기만술을 썼다. 우선 고의로 취약한 부분을 노출 시키는 한편, 교통로가 끊기는 것을 몹시 두려워하는 모습을 암시하고 심지어는 유리한 진지에서 철수하는 등의 기만 작전으로 철저히 자신의 의도를 엄폐했다. 이 때문에 적은 연속적으로 판단 착오를 저질렀다. 나폴레옹은 동맹군의 계산 착오를 통찰하자마자 즉각 반격을 가했다. 나폴레옹군은 1만2천 명의 비교적 적은 사상자를 낸, 반면 2만7천여 명의 동맹군을 살상하고 대포 155문을 노획하는 전과를 올렸다. 나폴레옹은 이 전역에서의 승리로 유럽 최고의 명장으로 꼽히게 되었다.

관련기사
SNS 기사보내기
뉴스프리존을 응원해주세요.

이념과 진영에서 벗어나 우리의 문제들에 대해 사실에 입각한 해법을 찾겠습니다.
더 나은 세상을 함께 만들어가요.

정기후원 하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뉴스프리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