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까이 있는 것을 멀리 보이게 한다.

적과 싸울 때 강 가까이 진을 치고, 아군이 근공(近攻) 하려면, 반대로 나타내기를 멀리한다. 반드시 많은 의병을 설치, 상하 멀리서 강을 건너면, 적은 반드시 병력을 나누어 응전해 온다. 아군이 은닉한 부대(潛師)로 이를 가까이서 치면 적군을 깨뜨릴 수 있다. 병법에 이르기를 ‘가까이서 멀리를 나타낸다.’라고. 즉 근거리에 있는 적을 격파하고자 하면서, 원거리에 있는 적을 먼저 격파하는 것처럼 보이게(기만) 한다는 뜻이다.

‘원이시근(遠而示近)’과 상대되는 이 계략 역시 『손자병법』 「계편 計篇」이 그 출전이다. ‘가까운 곳에서 진군해오면서 먼 곳에서 진군하는 것처럼 꾸민다.’ 『백전기법』 「근전 近戰」에서는 “가까운 곳을 공격하고자 한다면 오히려 먼 곳을 공격하려는 것처럼 보여, 적이 먼 곳을 대비할 때 가까운 곳을 기습한다.”고 했다. 이 계략은 ‘원이시근’과 같이 진공 노선‧주공격 방향‧공격 지점을 은폐하는 계략에 속한다. 본래는 거리가 매우 가깝지만 먼 곳에서 돌아오는 것처럼 보인다. 본래는 곧장 공격할 계획이지만 조건이 아직 무르익지 않아 장차 공격할 준비를 하는 것처럼 위장한다. ‘성동격서(聲東擊西)’나 ‘명수잔도(明修殘道), 암도진창(暗渡陳倉)’ 등이 모두 ‘근이시원’을 포함하고 있는 용병 사상들이다.

『자치통감』 「진기 晉紀」에 실린 경우를 살펴보자. 392년, 후연(後燕)의 왕 모용수(慕容垂)는 중산(中山-지금의 하북성 정정)에서 병사를 이끌고 활대(滑臺-하남성 활현)에 포진하고 있는 적소(翟釗)를 향해 진군하여, 여양진(黎陽津-활현 북부)에서 강을 건널 준비를 했다. 이때 적소는 강 남쪽 기슭에 정예병을 포진해놓는 등 만반의 태세를 갖추고 있었다. 모용수는 도하작전을 성공적으로 이끌기 위해 고의로 부대를 이곳에서 40여 리 떨어진 서쪽 나루로 이동시킨 후 쇠가죽으로 만든 배 1백여 척을 이용하여 ‘의병(疑兵-상대에게 혼란과 의심을 일으키기 위해, 일부러 내보내는 병사나 군대)’을 싣고 강을 건너는 것처럼 꾸몄다.

적소는 이를 진짜로 믿고 즉각 주력군을 서쪽 나루 맞은편 기슭으로 이동시켰다. 모용수는 자신의 ‘시형술’이 성공한 것을 보자, 부장 모용진(慕容鎭)에게 명하여 여양진에서 밤을 틈타 강을 건너게 했다. 모용수의 군대는 날이 밝을 무렵 맞은편 기슭에다 진영을 칠 수 있었다. 속았다는 사실을 안 적소는 서둘러 회군했으나 이미 때는 늦었다. 급히 되돌아오느라 지친 군대는 결국 모용수의 공격을 견디지 못하고 대패하고 말았다.

관련기사
SNS 기사보내기
뉴스프리존을 응원해주세요.

이념과 진영에서 벗어나 우리의 문제들에 대해 사실에 입각한 해법을 찾겠습니다.
더 나은 세상을 함께 만들어가요.

정기후원 하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뉴스프리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