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자병법』 「계편」에서 제기하고 있는 ‘궤도 12법’의 하나다. 본래는 공격할 수 있고 수비할 수 있고 전투력도 있으면서 일부러 그렇지 못한 것처럼 가장한다는 뜻이다. 『육도 六韜』 「무도 武韜‧발계 發啓」 제12에서는 이와 관련하여 “사나운 새가 다른 새를 습격하려고, 할 때는 날개를 움츠리고 나직이 날며, 맹수가 다른 짐승을 노릴 때는 귀를 세우고 엎드리며, 성인(聖人)이 움직이려고 할 때는 반드시 어리석은 듯한 얼굴빛을 하는 것입니다”고 했다. 이는 막판에 가서 단숨에 성공을 거두기 위한 행동이다.

『오월춘추 吳越春秋』 「합려내전 闔閭內傳」에 이런 내용이 있다. 춘추시대 오나라의 명장 오자서(伍子胥)의 친구 요리(要離)는 체구도 작고 몸도 비쩍 말랐지만 무적의 검객이었다. 그는 다른 사람과 겨를 때면 언제나 수비 자세를 취해 상대방이 먼저 공격해 들어오게 만들었다. 상대의 검이 자신의 몸에 닿으려 할 때 아주 교묘하게 피한 다음 상대를 찌른다. 오자서가 그에게 승리의 비결을 묻자 요리는 다음과 같이 말했다.

적을 마주 대하면 능력이 없는 척하여 적을 교만하게 만든다. 그런 연후에 다시 이득이 될 만한 것을 이용하여 적의 탐욕스러운 마음을 부추긴다. 적이 성급하게 헛된 공격을 해오기를 기다렸다가 그 허점을 틈타 별안간 공격해 들어가는 것이다.

검객의 논리라기보다는 의미심장한 용병 사상이 숨어 있는 지략가의 모습임을 알 수 있다.

양군이 대치하고 있을 때 총명한 장수는 가상으로 적의 착각을 불러일으킨다. 대적할 힘이 없는 것처럼 보여 적이 나를 깔보게 만든 다음, 적극적인 준비를, 갖추고 기회를 엿보다가 적을 제압한다. 능력이 있으면서도 없는 것처럼 보일 때, 할 수 없는 모습은 가짜며 할 수 있는 모습이 본질이요 기본이다. 이렇게 해야 적이 마비되었을 때 적에게 타격을 가해 승리를 끌어낼 수 있다. 이 계략은 전쟁의 전체 국면에 대해 전면적으로 파악한 다음에야 하는 것이므로, 소극적인 것이 아니라 적극적이고 주동적인 일이다. 이는 적을 다루는 책략이자, 적에게 통제당하지 않는 계책이기도 하다.

관련기사
SNS 기사보내기
뉴스프리존을 응원해주세요.

이념과 진영에서 벗어나 우리의 문제들에 대해 사실에 입각한 해법을 찾겠습니다.
더 나은 세상을 함께 만들어가요.

정기후원 하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뉴스프리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