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의당 정혜선의원과 최시중 前 방통위원장

[뉴스프리존=안데레사기자] 어느덧 한 달째 계속되고 있는 두 공영방송의 총파업 TV를 예전만큼 보지 않아 괜찮다지만, 경영진 퇴진과 공영방송 정상화를 요구하며 전국언론노동조합 KBS본부(KBS노조)와 MBC본부(MBC노조)가 벌이고 있는 파업이 오는 4일 한 달째를 맞는다.

‘MBC 파업 언제까지’를 검색해보지만 아직 끝날 기미는 보이지 않는 것 같다. 파업으로 인한 방송 차질로 시청자 불편은 커져만 가지만 방송사 노조는 경영진 퇴진을, 사측은 업무 복귀를 대화의 선결 조건으로 내세우고 있어 양측의 협상은 진전 없이 헛바퀴만 돌고 있다.

그런데 옆을 보니 부쩍 실시간 검색어에 오르내리는 사람이 있다. 어느덧 10년 전 사람이 되어버린, 이명박 대통령이다. 이명박 정부 시절 국가정보원이 양 방송사 구성원을 사찰하고 사내 인사에 개입해 특정 인물을 업무에서 배제시켰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갈등의 골은 더 깊어졌다. KBS노조는 지난달 13일 국정원의 KBS 사찰, 개입 문건 존재가 알려지자 성명을 내고 "고대영 사장 역시 블랙리스트 사태에서 자유롭지 않다"며 고 사장을 비롯한 경영진은 이번 사태에 책임을 지고 자리에서 물러나라고 요구했다. 이명박 대통령 재임 당시 이루어졌던 많은 정책은 10년의 대한민국을 완전히 바꿔놓았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만큼, 적잖은 영향을 미첬다.

그중 가장 달라진 것 중 하나는 바로 공영방송이 아닐까?

그간 종편이 생산해온 자극적인 뉴스는 극우 보수의 결집을 이끌어냈고, 많은 국민에게는 공영방송에 대한 굳건한 신뢰 대신 어느 언론도 믿지 않는 불신,공영방송은 없어도 그만이라는 무관심이 자리 잡았다. KBS는 경영진 입장문을 발표하고 "국가 기간방송 경영진으로서의 무거운 책무를 가벼이 던지는 일은 결코 없을 것"이라며 사퇴 요구를 일축했다. MBC노조도 지난달 19일 "MBC에서 벌어진 불공정·편파·왜곡보도와 제작 자율성 침해, 수많은 부당노동행위들은 모두 이명박 정권 이후 청와대와 국정원, MBC 경영진의 공동 범죄였음이 드러났다"며 "김장겸 사장을 비롯한 현 MBC 경영진은 지금이라도 이 모든 사태의 책임을 지고 회사를 떠나라"라고 주장했다.

그래서 추억의 인물을 소환해보면, 이명박 대통령과 그의 멘토라고 불리던 최시중 전 방통위원장이다.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소속 정의당 추혜선 의원은 24일 이 전 대통령과 원세훈 전 국정원장, 최시중 전 방송통신위원장, MBC·KBS 전·현직 사장 등을 국감 주요 증인으로 신청했다고 밝혔다.

2008년 이명박 대통령이 취임한 지 4일 만에 만들어진 방송통신위원회의 등장은 공영방송 자멸의 시작이었다. 방통위는 지난달 22일 MBC의 대주주이자 관리·감독기관인 방송문화진흥회에 대한 검사·감독에 착수해 김 사장 추천 자료 등 MBC 경영과 노사관계에 대한 자료 일체를 제출해달라고 요구한 상태다.

혹시 이 이름이 낯설다면, MBC, KBS 총파업의 속사정이 궁금하다면 한번 영상을 참고해보세요!

KBS와 MBC 두 방송사의 파업이 노사가 첨예하게 대치하고 있고 방통위 안팎에서도 정부의 직접적인 개입에 대한 이견이 표출되는 상황이어서 장기화하는 게 아니냐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SNS 기사보내기
뉴스프리존을 응원해주세요.

이념과 진영에서 벗어나 우리의 문제들에 대해 사실에 입각한 해법을 찾겠습니다.
더 나은 세상을 함께 만들어가요.

정기후원 하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뉴스프리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