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략의 운용은 변화가 무쌍하다. 모든 계략은 한결같이 ‘적을 계산하고 적에게 계산 당하지 않기 위해’ 주도권을 쟁취하고 수동적인 위치에서 벗어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허즉실지’는 자신이 불리한 형세에 놓여 있을 때 고의로 실력이 센 것처럼 위장하여 상대에게 위험을 가하고 함부로 진군하지 못하게 만드는 것이다.

『백전기법』 「허전 虛戰」에서는 “아군의 형세에 허점이 있을 때 거짓으로 그 허점을 튼튼한 것처럼 보여 허실의 소재를 가늠하지 못하게 함으로써 감히 아군과 싸우지 못하게 하면 전군을 보전할 수 있다”고 했다. 이것은 가짜로 진짜를 혼동시키는 계략이다.

기원전 207년, 유방(劉邦)은 요관을 차지하기 위한 전투에서 ‘허즉실지’의 전법을 구사했다. 그해 8월, 유방은 군대를 이끌고 무관(武關-지금의 섬서성 상남현 서남쪽, 섬서성과 하남‧호북성의 경계 지점)에 이르렀다. 당시 진의 승상 조고(趙高)는 2세 황제가 될 태자인 부소(扶蘇-진시황의 큰 아들)를 협박하여 자살하게 만들고, 부소의 이복동생인 호해(胡亥)를 2세 황제로 세웠다가 자기 사위 염락(閻樂)을 시켜 망이궁(望夷宮)에서 시해하고, 부소의 첫째 아들인 자영(子嬰)을 무리하게 황제로 세웠다.

9월 자영은 조고를 암살하고 군을 정비하여 요관(嶢關-지금의 섬서성 남전현 동남에 자리 잡은, 관중 평원에서 남양분지로 통하는 교통의 요지)을 거점으로 삼아 유방의 군대가 서쪽으로 전진하는 것을 막도록 했다. 이 소식을 접한 유방은 신속하게 요관을 향해 진군하려 했다. 이때 장량(張良)이 나서 가로막으며 말했다.

“현재 진나라 군대의 힘은 상당히 강합니다. 가벼운 마음으로 섣불리 공격해서는 안 됩니다. 먼저 일부 병사를 보내 무관 주위의 산꼭대기에 아군의 깃발을 꽂게 하여 진의 군대로 하여금 아군의 허실에 대해 의심하고 두려운 마음을 갖게 해야 합니다. 그런 다음에 역이기(酈食其)와 육가(陸賈)에게 많은 예물을 주어 진의 장수들을 매수하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유방은 장량의 건의에 따라 ‘허장성세(虛張聲勢)’의 계략으로 자신의 역량을 뽐내는 한편, 역이기로 하여금 후한 뇌물을 진의 장수에게 보내 현 상황의 이해관계를 들어 회유와 협박의 강‧온 양면책으로 유방과 함께 진의 수도 함양으로 쳐들어가자며 설득하게 했다. 그리고 때를 기다려 갑자기 진군을 공격했다. 유방은 요관을 돌아 궤산(蕢山)을 넘어 남전 이남에서 진군을 대파하고, 빠른 속도로 함양(咸陽-지금의 함양시 동쪽)으로 진군하여 진 왕조를 끝장냈다.

유방은 장랑의 꾀에 따라 ‘허즉실지’의 계략을 채용하여 진나라 군대에게 겁을 주어 복속시켰으며, 자영은 옥새를 들고 ‘백마가 이끄는 빈 수레를 타고’ 성을 나와 유방에게 항복했다.

관련기사
SNS 기사보내기
뉴스프리존을 응원해주세요.

이념과 진영에서 벗어나 우리의 문제들에 대해 사실에 입각한 해법을 찾겠습니다.
더 나은 세상을 함께 만들어가요.

정기후원 하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뉴스프리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