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본대사관 앞 평와의소녀상[ 사진: 뉴스프리존 DB자료]

[뉴스프리존=안데레사기자] 우리나라 외 9개 국이 신청한 일본군 위안부 기록물의 세계기록유산 등재가 또 미뤄졌다. 한국과 중국, 타이완, 일본 등 9개 국이 신청한 일본군 위안부 기록물의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Memory of the World)등재가 또 일본 정부의 압박에 유네스코가 정치적 판단을 한 것으로 보인다.

"유일하고 대체 불가능한 기록물"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될 '가치'는 분명 충분했다. 애초 세계기록유산 등재심사소위원회는 일제 강점기의 만행을 자세히 드러내는 일본군 위안부 기록물을 이렇게 평가했다.

그러나 한국과 중국, 타이완 등 9개국이 공동 신청한 이 기록물의 세계기록유산 등재는 또 미뤄졌다. 문제는 '가치'가 아닌 다른 데 있었다. 분담금을 무기로 유네스코를 압박한 일본 정부의 저지를 이겨내지 못한 것이다. 일본 정부는 4년 전부터 위안부 기록물의 세계기록유산 등재를 막기 위해 총력전을 벌였다.

2015년 중국이 난징대학살 문건과 함께 처음 등재를 시도할 때 다른 피해국들과 공동으로 신청하라는 유네스코의 권고에 따른 것이지만 결과는 같았다. 마찬가지로 일본이 발목을 잡았다. 결국 유네스코는 중국이 함께 신청한 난징대학살 문건은 세계기록유산에 등재했으나, 일본군 위안부 기록물은 피해국과의 공동 등재를 권고하며 목록에 이름을 올리지 못했다. 이 같은 결과가 발표되자 중국은 다른 나라와의 공조를 시사하며 위안부 기록물을 재신청하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앞서 중국이 지난 2015년 단독으로 일본군 위안부 기록물의 등재를 신청했다가 유네스코로부터 다른 피해국과의 공동 등재 신청하라는 권고받았다. 일본은 먼저 역사인식에 이견이 있다면 합의 될때까지 등재 심사를 보류한다는 개혁안을 조기 적용하도록 했다. 이에 따라 8개국 14개 단체로 구성된 국제연대위원회와 영국 런던 임페리얼 전쟁박물관이 '일본군 위안부의 목소리'라는 명칭으로 지난해 등재를 재신청했지만 결과는 같았다.

앞서 팔레스타인에 대한 우호적인 입장을 취하자 분담금을 가장 많이 내던 미국과 이스라엘이 동반 탈퇴하는 전례도 있었다. 일본은 먼저 분담금을 볼모로 등재를 막았다. 일본은 지난해 10월 분담금 납부를 연기하면서 위안부 기록물 등재 저지에 나섰다. 명목상으론 반론권을 요청한 건데, 이후 실제론 분담금을 볼모로 등재를 막았고, 유네스코는 이에 굴복한 것으로 보인다.

유네스코 분담금의 약 10%를 부담하는 일본은 탈퇴한 미국을 제외하면 현재 가장 많은 분담금을 내는 나라이다.이런 가운데 조선통신사 기록물과 조선 왕실 어보와 어책, 국채보상운동 기록물은 세계기록유산에 등재됐다. 한편, 위안부기록물과 같이 등재를 신청한 '조선통신사 기록물'과 '조선왕실의 어보와 어책', '국채보상운동 기록물'은 세계기록유산에 이름을 올렸다.

SNS 기사보내기
뉴스프리존을 응원해주세요.

이념과 진영에서 벗어나 우리의 문제들에 대해 사실에 입각한 해법을 찾겠습니다.
더 나은 세상을 함께 만들어가요.

정기후원 하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뉴스프리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