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석 연휴 잘들 보내셨는지요? 추석연휴 동안 아마 9월 30일 방송된 ‘대한민국 어게인 나훈아’ 공연이 없었다면 우리는 꽤 우울한 추석을 보냈을지도 모릅니다. 나훈아는 15년만의 방송에 출연, 엄청난 콘서트를 우리에게 선사 해주었습니다. 이 공연은 시청률 29%를 기록하며 가히 폭발적인 반응을 얻었지요.

이번 추석연휴에는 정부의 적극적인 고향 방문자제 캠페인에 따라 아쉽지만 많은 사람들이 고향방문을 포기했습니다. 그런 때 ‘가황(歌皇)’ 나훈아는 고향에 가지 못한 시름을 달래 주었습니다. 나훈아는 공연 도중 “서로 눈도 좀 처다 보고, 오랜만입니다 라고 손도 잡아야 하는데, 눈빛도 잘 보이지도 않고 어쩌면 좋겠노?”라며 비대면 공연에 대한 아쉬움을 나타냈습니다.

그가 부른 신곡 중, ‘테스형!’이 국민들 사이에 화제의 곡으로 떠올랐습니다. 가황 나훈아는 ‘소크라테스’에게 인생, 세월, 죽음에 대해 물었습니다. 무엇보다 고대 그리스 철학자 소크라테스를 ‘형’이라 부르며 철학적 질문을 하는 화자(話者)의 표현이 참으로 이색적이었지요.

나훈아는 자신이 만든 노래 ‘공(空)을 소개하면서 직접 곡과 가사를 쓴다고 했습니다. 그러면서 스트레스에 대해 이야기도 했지요. 그는 “스트레스 때문에 사람들이 가장 주름이 생기는 범인이, 바로 스트레스라고 합니다.”라며 “우리는 스트레스를 너무 많이 받기 때문에. 아까 부른 신곡중에 테스 형한테 내가 물어봤거든요. ‘테스 형, 세상이 왜 이래? 아니 세월은 또 왜 저래?’ 물어봤더니. 테스 형도 모른다고 하네요.”라고 말했습니다.

또 “테스 형이 아무 말이 없습니다. 세월은 너나 나나 할 거 없이 어떻게 할 수 없는 모양입니다. 그런데 제가 잘 모르긴 해도 이렇게 살다 보니까, 여러분, 세월은 그냥 누가 뭐라고 하거나 말거나 가게 되어 있으니까. 이왕에 세월이 가는 거 우리가 끌려가면 안 됩니다.”라는 인생관을 이야기 했지요.

어쨌든 나훈아의 ‘대한민국 어게인’은 나훈아 15년 만의 방송 출연으로 코로나19의 장기화로 지친 국민들을 위로해 주었습니다. 우리 그 ‘테스형! 가사를 알아볼까요?

<테스형!/ 나훈아 작사 작곡>

「어쩌다가 한바탕 턱 빠지게 웃는다./ 그리고는 아픔을 그 웃음에 묻는다./ 그저 와준 오늘이 고맙기는 하여도/ 죽어도 오고 마는 또 내일이 두렵다./ 아 테스형!/ 세상이 왜 이래 왜 이렇게 힘들어/ 아 테스형 소크라테스형!/ 사랑은 또 왜 이래/ 너 자신을 알라며 툭 내뱉고 간 말을/ 내가 어찌 알겠소 모르겠소 테스형!

울 아버지 산소에 제비꽃이 피었다/ 들국화도 수줍어 샛 노랗게 웃는다./ 그저 피는 꽃들이 예쁘기는 하여도/ 자주 오지 못하는 날 꾸짖는 것만 같다/ 아 테스형!/ 아프다/ 세상이 눈물 많은 나에게/ 아 테스형 소크라테스형!/ 세월은 또 왜 저래/ 먼저가본 저세상 어떤 가요 테스형/ 가보니까 천국은 있던 가요 테스형!/ 아 테스형 아 테스형/ 아 테스형 아 테스형/ 아 테스형 아 테스형/ 아 테스형 아 테스형」

소크라테스(BC 470년경~BC 399년경)는 서구문화의 철학적 기초를 마련한 고대 그리스의 위대한 세 인물인 소크라테스·플라톤·아리스토텔레스 가운데 첫째 인물입니다. 소크라테스는 자연에 관한 생각에 머물렀던 당시 철학의 초점을 인간생활의 성격과 행위를 분석하는 데로 옮겼고, “너 자신을 알라”는 질문으로 유명한, 인간의 본질에 대한 탐구에 집중했습니다.

그는 공직이 자신의 원칙과 타협하는 것이라고 보고 정치적으로 어느 편에도 가입하지 않았지요. 그는 ‘젊은이들을 타락시키고’ ‘도시가 숭배하는 신들을 무시하고 새로운 종교를 끌어들였다’는 이유로 기소되어, 사형을 선고받고 독배(毒杯)를 마시고 죽었습니다.

소크라테스는 가난과 세속적 평가에 전혀 구애받지 않았고, 세 번 보병으로 참전한 전쟁에서 아군이 세 불리해 후퇴할 때도 동료들을 추스려 가장 늦게 물러난 담대한 인간이었다고 합니다. 그는 군중에게 영합하지 않았으며, 죽음으로써 ‘지행합일(知行合一)이라는 자신의 신념을 지켰습니다.

어쨌든 노래에 소크라테스를 불러들인 ‘테스형!’은 나훈아가 평소에 삶과 죽음 그리고 인과의 법칙에 대한 깊은 성찰이 있는 분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그렇지 않으면 어찌 ‘가황’이라는 수식어가 그의 이름 위에 붙었을까요?

가면 오고 오면 가고, 주면 받고 받으면 주는 인과의 이치를 깨치지 않으면 언제나 중생을 면치 못하는 것입니다. 우리 다시 한 번 <테스형!>을 들으며 <불생불멸(不生不滅)의 진리> <인과응보(因果應報)의 진리>를 깨쳐 보면 어떨 까요!

단기 4353년, 불기 2564년, 서기 2020년, 원기 105년 10월 6일

덕 산 김 덕 권(길호) 합장

SNS 기사보내기
뉴스프리존을 응원해주세요.

이념과 진영에서 벗어나 우리의 문제들에 대해 사실에 입각한 해법을 찾겠습니다.
더 나은 세상을 함께 만들어가요.

정기후원 하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뉴스프리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