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손으로 활을 쏜다.

본래 이 말의 뜻은 무예가 높아 왼손᛫오른손 양손으로 활을 쏠 수 있다는 것이다. 원곡선(元曲選)과 백인보(白仁甫)가 쓴 ‘오동우‧계자(梧桐雨‧契子)에 보면 이런 이야기가 있다. 안록산이 거란과의 전투에서 패하고 유주(幽州) 절도사 장수규(張守珪)에 의해 장안으로 압송되어 현종 앞에서 처분을 받기에 이르렀다. 현종이 안록산에게 물었다.

“너의 무예 솜씨는 어떠냐?”

“나는 오른손과 왼손으로 활을 쏠 수 있고, 18가지 기본 무예를 못 하는 것이 없다.”

이 말은 군사 계략에서 전체 국면을 살펴 여러 방향에서 적을 공격한다는 뜻으로 쓰인다.

병력의 집중은 용병 작전의 기본 원칙이다. 적과 나 모두가 자신의 역량을 한데 모아 상대의 흩어진 곳을 찾아 공격하는 데 힘을 쏟는다. 그렇게 할 수 있어야 공격을 분산시키지 않고, 좌우에서 협공당하는 상황에 몰리지 않게 된다. 동시에 갖은 계략으로 상대의 힘을 분산시켜 상대를 협공할 수 있는 상황을 조성하고자 한다. 때로는 군을 좌우 두 부대로 나누어 적을 견제하기도 하고, 때로는 주력군을 동원하여 중간을 돌파하기도 한다.

이 ‘좌우개궁’의 용병술을 그저 병력을 분산시키는 뜻으로 이해해서는 안 된다. 왜냐하면, 이 계략의 진격 목표는 집중적이기 때문이다. 실제로 운용하는 가운데 ‘좌‧우’가 서로 호응하고 상호 보완 작용을 함으로써 성공을 거두는 실례가 많다.

기원전 478년, 유명한 고사 ‘와신상담(臥薪嘗膽)’의 주인공들인 월나라 왕 구천(句踐)과 오나라 왕 부차(夫差)가 이끄는 두, 군대는 입택(笠澤.-지금의 강소성 태호 동쪽의 오송강)에서 물을 사이에 두고 진을 치고 있었다. 월왕 구천은 부대를 셋으로 나누어 좌우 양군이 상‧하류 5리 지점에서 북을 치고 고함을 지르며 오 군을 공격하는 것처럼 꾸몄다. 오 군의 주력을 두 방향으로 분산시키려는 유인책이었다. 그러고 나서 구천은 정예병인 중군을 은밀히 강을 건너게 하여 오 군의 중앙을 공격하고, 이어 좌우 양군이 기세를 몰아 협공하게 했다. 오나라 군대는 대패하고 말았다. 이것이 바로 ‘좌우개궁’의 전술로 적을 견제하고 주력으로 중앙을 돌파한 전형적인 본보기였다.

SNS 기사보내기
뉴스프리존을 응원해주세요.

이념과 진영에서 벗어나 우리의 문제들에 대해 사실에 입각한 해법을 찾겠습니다.
더 나은 세상을 함께 만들어가요.

정기후원 하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뉴스프리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