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수옹(無愁翁)이라는 말을 아시는지요? 근심 없이 사는 늙은이라는 말입니다. 저 보고 우리 가족이나 이웃들이 ‘무수옹’이라고 놀립니다. 칭찬하는 말인지 놀리는 말인지 알 수 없으나, 저는 그 말을 기쁨으로 받아들이고 있습니다. 세상에 근심 없이 사는 삶이 얼마나 좋겠습니까? 그야말로 안빈낙도(安貧樂道)하는 사람이 ‘무수옹’입니다.

정말 옛날에 근심 걱정이 없는 노인이 살고 있었습니다. 그 노인한테는 열세명의 자녀가 있었지요. 자그마치 아들 열둘에 딸이 한 명이었습니다. 그들은 모두 혼인을 해서 아들딸 낳고서 유복하게 살아갑니다. 그리고 하나같이 부모에 대한 효성이 지극했습니다.

어느 날 열세 남매가 모여서 부모님 모실 일을 의논했습니다. 맏아들을 비롯한 열세남매 모두가 부모님을 모시겠다고 나섰지요. 결국 열세남매가 돌아가면서 부모님을 모시기로 결정했습니다. 열두 형제가 돌아가면서 한 달씩 부모님을 모시고, 4년마다 한 번씩 윤달이 찾아오면 딸이 부모님을 모시기로 했지요.

노인은 유람을 다니듯 한 달에 한 번씩 자식 집을 옮겨 다니며 극진한 공대를 받았습니다. 가는 곳마다 따뜻한 방과 맛난 음식, 그리고 손주들의 재롱이 노인을 반겼습니다. 사람들이 그 모습을 보면서 감탄해서 한 마디씩 했습니다.

“정말 근심 걱정이란 없는 노인이야.” “그러니 무수옹(無愁翁)이지.”

‘무수옹’에 대한 소문은 돌고 돌아 임금의 귀에까지 들어갔습니다. “임금인 나한테도 근심 걱정이 적지 않은데, 근심 없는 노인이라니 이게 웬 말인고? 한번 만나보고 싶으니 불러들여라.” 그렇게 해서 무수옹은 임금 앞에 불려갔지요. “정말 그대는 아무 걱정이 없단 말이오?”

“몸이 건강하고, 자식이 번창하며, 먹고 입는 데 걱정이 없으니 마음에 거리낄 일이 없습니다.” 그러자 임금은 탄복을 하면서 무수옹에게 오색이 찬란한 구슬 하나를 내주었습니다. “내가 주는 정표이니 다시 만날 때까지 잘 간직하도록 하시오.” “황감합니다.” 무수옹은 임금님한테서 귀한 선물을 받아들고 대궐을 나서서 집으로 향했습니다.

집으로 가는 길에는 강이 하나 있어 배를 타고서 건너야만 했지요. 무수옹이 배에 올라타자 뱃사공이 노를 저어가면서 물었습니다. “노인장은 어디를 다녀오시는 길입니까?” “허허. 대궐에 가서 임금님을 뵙고 오는 길이라오. 이렇게 선물까지 받았지요.” 그러면서 노인은 뱃사공에게 오색이 찬란한 구슬을 보여주었습니다.

그런데 사공이 구경 좀 하겠다며 구슬을 받아서 만지다가 강물에 빠뜨려 버리고 말았습니다. “아이고! 이걸 죄송해서 어쩝니까? 귀한 물건인데…….” 무수옹은 깜짝 놀라 당황했지만 금방 체념한 듯 말했습니다. “어쩌겠습니까. 일부러 그런 것도 아닌걸요.”

하지만 거기에는 숨겨진 내막이 있었습니다. 임금님이 미리 아랫사람을 시켜서 사공으로 하여금 그 구슬을 강물에 빠뜨리도록 한 것이었습니다. 노인에게 근심거리를 만들어 보기 위한 술책이었지요. 무수옹이 구슬을 잃어버리고 집에 돌아온 지 얼마 되지 않아서 임금님이 무수옹을 부른다는 전갈이 왔습니다.

“전에 임금이 하사하신 구슬을 반드시 가지고 오시라고 합니다.” 그러자 무수옹은 그만 아주 난처한 지경에 빠지고 말았습니다. 임금이 특별히 하사한 구슬을 소홀히 다루다가 잃어버렸으니 큰 벌을 받게 될 것이 분명했습니다. 소식을 들은 열세 남매가 함께 모였습니다.

머리를 맞대고 함께 걱정을 했지만 뾰족한 방법을 찾을 수가 없었지요. 그러자 무수옹이 말했습니다. “걱정들 말거라. 어떻게든 되겠지.” 그때 무수옹의 맏며느리가 한자리에 모인 식구들의 음식상을 차리려고 생선을 여러 마리 사가지고 왔습니다. 며느리가 무심코 생선 배를 가르는데, 한 마리 뱃속에서 이상한 구슬이 또르르 굴러 나왔네요.

“이것 좀 보세요. 글쎄 생선 뱃속에서 이게 나왔어요.” 그러자 무수옹이 그 구슬을 보고서 말했습니다. “얘야! 바로 그거야! 그게 바로 임금님이 주신 구슬이란다.” 그러자 식구들이 다들 웃으며 손뼉을 쳤습니다.

무수옹은 구슬을 품에 간직한 채 대궐로 들어갔습니다. 무수옹이 아무 근심도 없는 표정으로 임금 앞으로 나아가자 임금이 의아하게 여기면서 말했습니다. “그 동안 잘 지냈는지 궁금하오. 내가 준 구슬은 잘 가지고 있겠지요?” “물론입니다.” 무수옹은 품에서 오색찬란한 구슬을 꺼내 보였습니다.

그러자 임금이 깜짝 놀라고 말았습니다. “아니 그 구슬은 강물에 떨어졌다고 하던데……” “그랬었지요. 하지만 이렇게 되찾았답니다.” 무수옹은 생선 뱃속에서 구슬을 되찾은 사연을 아뢰었지요. 그러자 임금은 무릎을 치면서 탄복했습니다. “그렇구려! 하늘이 준 복을 인간이 어쩌지 못한다는 사실을 이제야 깨달았소. 노인장은 과연 무수옹(無愁翁)입니다그려.”

어떻습니까? 근심 없이 살아가면 천복(天福)이 내리는 것입니다. 그럼 인간의 근심과 걱정은 어디서 올까요? 요란하고, 어리석고, 그른 결과의 그림자 때문에 생긴 것입니다. 우리 이 삼독 심(三毒心) 없애는 수행을 통하여 안빈낙도의 삶을 영위하면 얼마나 좋을 까요!

단기 4354년, 불기 2565년, 서기 2021년, 원기 106년 7월 30일

덕 산 김 덕 권(길호) 합장

SNS 기사보내기
뉴스프리존을 응원해주세요.

이념과 진영에서 벗어나 우리의 문제들에 대해 사실에 입각한 해법을 찾겠습니다.
더 나은 세상을 함께 만들어가요.

정기후원 하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뉴스프리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