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에 나 보다 못한 사람은 없다고 생각하고 살아 왔습니다. 그런데 돌이켜 보면 저도 별 수 없었는지 저도 모르게 사람을 비판하고, 함부로 판단하는 우(愚)를 얼마나 저질렀는지 모릅니다. 그래도 언제나 생각을 중도적으로 하고 사람도 살리면서 살아간다고 열심히 살아 온 것이 사실입니다.

그래도 이런 어리석음을 저질렀다고 생각하면 얼마나 양심이 찔리는지 모르겠네요. 인조(仁祖 : 조선 17대왕) 임금 때, 큰 가뭄이 들어서 농작물이 모두 타들어가고 민심은 흉흉해졌습니다. 인조대왕은 베옷을 입고 신하들과 함께 남한산성에 올라가 기우제(祈雨祭)를 올렸습니다. 기우제에 하늘이 감동을 했는지 하늘에 먹구름이 몰려오더니 굵은 빗방울의 소나기가 내리기 시작 했습니다.

얼마나 기다린 비입니까? 더욱이 임금님이 친히 베옷을 입고 기우제를 드린 후에 내리는 비가 아닙니까! 만조백관들과 백성들은 얼싸안고 비를 맞으며 춤을 추며 기뻐했습니다. 인조대왕도 기뻐서 같이 비를 맞으며 춤을 추며 기뻐했습니다. 그때 임금의 눈에 아주 거슬리는 행동을 하는 자가 보였습니다.

그건 한 선비가 갑자기 비가 오니까, 황급히 갓 끝을 붙잡고 비를 피해 처마 밑으로 후다닥 피하는 것이 보였습니다. ‘아니 비를 맞으며 춤을 추어도 모자랄 판에 그 비를 맞지 않겠다고 비를 피해서 처마 밑으로 피하다니 저런 고연 놈이 잇단 말인가?’ 화가 난 임금의 불호령이 내렸습니다. “저놈을 당장 잡아서 끌어내려라!”

선비는 졸지에 비를 피한 죄로 잡혀왔습니다. “네 이놈! 지금 오는 이 비가 무슨 비 인줄 아느냐? 3년 동안 내리 가물어서 짐이 신하들과 함께 베옷을 입고 이곳에 올라와 하늘에 죄를 청하고, 치성(致誠)을 드리니 하늘이 감복하시어 비를 내리셨고, 만조백관들과 백성들은 너무 기뻐서 비를 맞으며 춤을 추고 노래를 하는데, 너는 그 비를 피해 처마에 피하다니 비를 맞는 게 그렇게 싫은 거냐?”

“여봐라~~~! 저놈을 당장 형틀에 묶고 주리를 틀어라!” 그때 잡혀온 선비가 외쳤습니다. “전하! 소인의 말을 한 번만 들어 주시옵소서!” “죄인이 무슨 할 말이 있느냐?” “그래 무슨 말이냐?” “전하! 지금 오고 있는 비가 얼마나 귀한 비입니까? 내리 3년 동안 내리지 않던 비가 임금님께서 베옷을 입으시고 기우제를 드리시니, 하늘이 감복하시어 비를 주셨습니다.

빨리 한 방울의 비라도 메마른 땅을 적셔야지, 이런 비를 저 같은 비천한 몸이 맞을 수가 있겠습니까? 그래서 처마 밑으로 피한 것이옵니다.“ 인조 임금이 그 말을 들으니 자기의 생각도 틀렸고, 비를 맞으며 춤을 춘 신하와 백성들 보다 비를 피한 선비가 더 충성스런 백성이 아니던가요?

어떻습니까? 대문호(大文豪) 톨스토이는 “어리석은 사람이 현명해지기도 하고, 악한 사람이 착해지기도 한다. 그러니 사람을 함부로 판단하지 마라!”고 말했습니다. 의외로 자신의 생각이 옳다고, 자신의 판단이 정확하다고 하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정치인들은 이념의 잣대로, 종교인들은 자기 신앙의 잣대로, 지식인들은 학문의 잣대로, 상식의 잣대로, 경험의 잣대로, 지역의 잣대로, 모두 한 가지씩 잣대를 가지고 주관적인 판단을 내립니다. 섬에 사는 사람, 도시 빌딩에 사는 사람, 그리고 첩첩산중에 사는 사람이 ‘해는 어디서 떠서 어디로 지는가?’의 논쟁이 벌어졌습니다.

섬에 사는 사람은 “해는 앞 바다에서 떠서 뒷 바다로 진다”고 하고, 도시 빌딩에 사는 사람은 “해는 앞 빌딩에서 떠서 뒷 빌딩으로 진다”고 하며. 첩첩산중에 사는 사람은 “해는 앞산에서 떠서 뒷산으로 진다”고 했습니다. 각자 자기 경험만이 옳다고 주장하니 소리만 높아지고 결론이 내려지질 않습니다.

우리의 주관적인 생각, 경험, 지식 등은 이렇게 오류가 많습니다. 내 입술이라고 상대방을 내 잣대로 판단하고, 배우자를, 자녀들을, 또는 주변의 사람들을 함부로 비난하지 않았는지 한 번 되돌아보면 어떨까요? 내가 가진 생각이 전부가 아닙니다. 내가 경험한 것이 전부가 아닙니다.

내가 가진 지식이 전부가 아닙니다. 내가 가진 신앙이 전부가 아닙니다. 우리 역지사지(易地思之)의 마음으로 상대방을 이해하고 그런 다음에 말하면 참 좋겠습니다. 그런데 요즘 대선 출마자들은 저마다 상대를 자기의 잣대로 비방하고, 비난하며, 자신이 아니면 이 나라를 구할 수 없다고 악을 씁니다.

어떤 후보는 ‘전두환 옹호 발언’으로 오히려 지지율에 영향을 미쳤습니다. 또 어떤 후보는 여성 비하발언 막말을 인정했습니다. 그러면서 서로 막말을 25~26번이나 했다고 고래고래 소리를 지릅니다. 왜들 이러는지 알 수가 없습니다. 그렇게 악담을 해야 이 나라의 대통령이 되는 것입니까?

소태산(少太山) 부처님께서는 「그 사람이 보지 않고 듣지 않는 곳에서라도 미워하고 욕하지 말라. 천지는 기운이 서로 통하고 있는지라 그 사람 모르게 미워하고 욕 한 번 한 일이라도 기운은 먼저 통하여 상극의 씨가 묻히고, 그 사람 모르게 좋게 여기고 칭찬 한 번 한 일이라도 기운은 먼저 통하여 상생의 씨가 묻히었다가, 결국 그 연(緣:조건)을 만나면 상생의 씨는 좋은 과(果)를 맺고 상극의 씨는 나쁜 과를 맺느니라.」 하셨습니다.

우리 이왕이면 모두 사람을 함부로 판단하지 맙시다. 절대로 막말은 삼가며, 사람을 살리는 말을 해서 그 무서운 과보를 피할 수 있으면 얼마나 좋을 까요!

단기 4354년, 불기 2565년, 서기 2021년, 원기 106년 11월 3일

덕 산 김 덕 권(길호) 합장

SNS 기사보내기
뉴스프리존을 응원해주세요.

이념과 진영에서 벗어나 우리의 문제들에 대해 사실에 입각한 해법을 찾겠습니다.
더 나은 세상을 함께 만들어가요.

정기후원 하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뉴스프리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