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방사 기술을 나노섬유 멤브레인(얇은 막)에 적용해 인간의 체온(31.6~42.7℃)을 색 변화로 확인할 수 있는 초고감도 센서 플랫폼을 개발한 카이스트 김일두 교수팀 연구는 나노 분야의 권위적인 학술지 어드밴스드 펑셔널 머티리얼즈(Advanced Functional Materials)에 6월호 게재됐다.(자료=어드밴스드 펑셔널 머티리얼즈·카이스트 김일두 교수팀)
전기방사 기술을 나노섬유 멤브레인(얇은 막)에 적용해 인간의 체온(31.6~42.7℃)을 색 변화로 확인할 수 있는 초고감도 센서 플랫폼을 개발한 카이스트 김일두 교수팀 연구는 나노 분야의 권위적인 학술지 어드밴스드 펑셔널 머티리얼즈(Advanced Functional Materials)에 6월호 게재됐다.(자료=어드밴스드 펑셔널 머티리얼즈·카이스트 김일두 교수팀)

[대전=뉴스프리존] 이기종 기자=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신소재공학과 김일두 교수팀이 전기방사 기술을 나노섬유 멤브레인(얇은 막)에 적용해 인간의 체온(31.6~42.7℃)을 색 변화로 확인할 수 있는 초고감도 센서 플랫폼을 개발했다고 30일 밝혔다.

일반적으로 색 변화 센서는 오직 육안으로 센서의 물리화학적 변화(온도, pH 등)를 감지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한 장점이 있다.

하지만 기존의 상용화된 필름(film) 타입의 온도 감응 색 변화 센서는 염료의 색상이 필름 내부에 갇혀 외부로 효과적으로 전달되지 않아 색 변화 감도가 낮다.

이번 연구팀은 이러한 제한점을 해결하기 위해 넓은 비표면적과 높은 기공도를 나타내는 나노섬유 멤브레인에 온도 감응 색염료를 효과적으로 결착해 기존의 필름 타입의 색 변화 멤브레인 대비 인간의 체온 범위의 온도에서 색 변화 민감도를 최대 5배 이상 높일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연구과정을 보면 연구팀이 개발한 전기방사 기술을 이용해 다공성 나노섬유 멤브레인을 합성했다.

이 과정에서 필름 타입의 센서 대비 매우 높은 기공도(~95%)와 10배 이상 높은 빛 투과율을 보였다.

특히 나노섬유 멤브레인에 결착된 염료의 색을 효과적으로 외부로 전달할 수 있어 색 변화 센서 감도를 극대화시켰다.

이 연구결과에 의하면 기존에 주로 보고됐던 무정렬(random) 나노섬유 멤브레인 등을 초고밀도로 나선상으로 꿰어진 나노섬유 얀(yarn) 구조의 온도 감응형 색 센서로 제조하고 나노섬유의 밀도와 기공 구조를 더욱 세밀하게 조절해 색 변화 강도를 한층 더 높였다.

카이스트 김일두 교수는 “기존에 활용되는 필름 타입의 멤브레인이 아닌 진보된 전기방사 기법을 도입함으로써 나노섬유 멤브레인의 밀도와 정렬 방향을 조절해 온도 감응 색 변화 센서의 반응성을 극대화할 수 있었다”면서 “정렬된 나노섬유 및 얀 타입의 나노섬유 멤브레인을 활용해 마스크, 팔찌, 또는 몸에 붙이는 패치(patch) 타입의 웨어러블 온도 감응 색 변화 센서로 활용 가능성을 제시했다는 측면에서 매우 의미가 있는 연구 결과”라고 말했다.

이어 “저비용, 대량생산이 가능한 전기방사 기법을 활용했기 때문에 상용화 가능성이 큰 기술이며 누구나 손쉽게 스스로 체온을 육안으로 진단할 수 있는 자가 진단 기기의 진보는 개인의 지속적인 건강관리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공동 제1저자인 KAIST 신소재공학과 김동하 박사(現 MIT 박사후 연구원)와 배재형 박사(KAIST 신소재, 現 하버드대학 박사후 연구원)의 주도하에 진행된 연구는 나노 분야의 권위적인 학술지 어드밴스드 펑셔널 머티리얼즈(Advanced Functional Materials)에 6월호 게재됐다.

SNS 기사보내기
뉴스프리존을 응원해주세요.

이념과 진영에서 벗어나 우리의 문제들에 대해 사실에 입각한 해법을 찾겠습니다.
더 나은 세상을 함께 만들어가요.

정기후원 하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뉴스프리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