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공'은 공동체적 의식을 갖지만 '출세'는 개인적인 영달에 집착

이인권 문화경영미디어컨설팅 대표
이인권 문화경영미디어컨설팅 대표

[뉴스프리존=이인권 문화커뮤니케이터] 한국사회는 진정한 개인적 성공보다는 사회적 출세를 좇는 경향이 강하다. 이러한 세태는 갈수록 더욱 심화되고 있다. 참된 성공은 공동체적 의식을 갖게 되지만 출세는 오로지 개인적인 영달에만 초점을 맞춘다.  

그래서 인생에서 ‘출세’한다는 것과 ‘성공’을 이룬다는 것은 구분돼야 한다. 한국사회는 출세에 매달리다보니 더욱더 치열하고 때로는 졸렬한 삶의 경쟁을 벌여야 한다. 오로지 개인이 설정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는다.

국민소득 3만 달러 시대에 접어들었는데도 한국인들은 “가지면 가질수록 높으면 높을수록” 더 많이 더 높은 지점을 끝없이 추구한다. 그래서 만족의 한계가 없고 항상 더 많은 것을 누리려는 정욕(情欲)에 사로잡히게 된다.  그래서 소수에게만 주어지는 승자독식의 지위에 집착한다. 

자주 드러나는 다양한 갑질 행태들은 출세를 이룬 우월적 지위의 사람들이 보여주는 군림과 지배의 속성이다. 세상의 패러다임이 상전벽해처럼 바뀌고 있는데도 과거의 수직적 사고방식과 행동양식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아인슈타인은 ‘성공하는 사람이 아니라 가치 있는 사람(man of value)이 되라’고 했다. 사회적 환경이나 언어적 표현이 다름을 감안해 그가 말하는 성공은 한국의 사회문화적 기준으로 출세일 터이다. 반면 그가 말하는 가치는 바로 '진정한 성공'을 의미한다고 풀이할 수 있다. 

그래서 ‘출세하는 것보다 성공하는 사람’이 되라는 말은 곧 이인슈타인 어법의 ‘성공보다도 가치 있는 사람’이 되라는 말과 같은 맥락이다. 그런데 한국사회는 교육부터가 성공보다는 출세를 겨냥하고 있다해도 과언이 아니다. 아인슈타인 관점으로 보면 가치보다도 성공을 중시하고 있는 것이다. 

서양사회에서 보는 성공이나 한국사회의 출세는 한결같이 내면의 ‘정신’보다는 외형적 ‘물질’을 중요시 한다. 곧 서양의 성공이나 한국에서의 출세는 출신, 학력, 직업, 재력, 지역, 인맥, 권세, 명예 등이 특출해야 한다는 전제가 된다. 오로지 그것이 삶의 방향이며 인생의 목표가 되어 있다.

출세주의가 지배하는 사회는 사회문화체계가 수직적, 서열적이게 돼 보이지 않게 사회계층이 위계화 될 수밖에 없다. 이런 풍조 속에서는 공정하고 합리적이고 투명한 선진사회는 구축될 수가 없다. 매일 언론을 장식하는 우리사회의 적폐들은 모두 이런 전 근대적인 생각이나 행동의 양식에서 비롯된다. 

이제는 한국사회가 출세보다도 성공하는 사람, 곧 가치 있는 사람이 인정받고 나아가 존중되는 풍토로 발전해야 한다. 성공은 자신 뿐만 아니라 타인의 존재가치도 배려하고 인정하는 것이다. 그러나 출세는 그렇지 못하다.

그렇다고 출세 자체가 잘못된 것은 아니다. 출세도 하고 멋지게 성공하는 경우도 있다. 그러나 출세를 추구해 그것을 달성하게 되면 자신을 들여다보는 시각이 무디어진다. 만약 언제나 자신을 성찰하며 옳은 가치를 실천하려 한다면 그것은 출세이면서 동시에 성공을 이루어내는 것이다. 이럴 경우 성공은 출세라는 보조 여건을 통해 절묘한 조화를 이룬 사회적으로 더없이 값진 가치가 된다고 할 수 있다. 

▷ 이 인 권 필자는 중앙일보·국민일보·문화일보 문화사업부장, 경기문화재단 수석전문위원 겸 문예진흥실장, 예원예술대학교 겸임교수, 한국소리문화의전당 CEO 대표를 역임했다. 칼럼니스트, 문화커뮤니케이터, 문화경영미디어컨설팅 대표로 활동하며 <예술경영 리더십> <경쟁의 지혜> <문화예술 리더를 꿈꿔라> <예술공연 매니지먼트> <긍정으로 성공하라> <석세스 패러다임> 등 14권을 저술했다.

SNS 기사보내기
뉴스프리존을 응원해주세요.

이념과 진영에서 벗어나 우리의 문제들에 대해 사실에 입각한 해법을 찾겠습니다.
더 나은 세상을 함께 만들어가요.

정기후원 하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뉴스프리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