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을 찾는 중국 관광객 중 재방문자 비중이 줄어들고 한국 체류기간도 짧아지고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이는 방문지역이 서울과 제주로 국한된데다 쇼핑 위주의 상품에다 저가 패키지 관광에 따른 바가지 등의 부작용 때문으로 분석됐다.
[서울=연합통신넷/진상훈기자] 14일 한국경제연구원(원장 권태신)은 '중국 관광객 유치 활성화를 위한 대응 과제' 보고서에서 이같이 밝히며 "중국 관광객의 지속가능한 유치를 위한 대책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이에 따르면 방한 중국 관광객 수는 2001년 48만명에서 2014년 613만명으로 연평균 21.5% 증가했다. 방한 중국 관광객 수는 2013년을 기점으로 중국을 방문한 한국 관광객 수를 추월했다.

이에 따라 현재 추세대로라면 2020년 중국관광객을 1280만명까지 유치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반면 최근 중국 관광객의 재방문율과 체제기간이 감소하는 등 질적 수준 저하가 우려된다.

사진=한국을 찾은 유커들이 서울 경복궁을 둘러보고 있다.
실제로 최근 4년간 방한 중국관광객의 1회 방문자 비중은 2011년 68.5%에서 2014년 79.8%로 증가한 반면 재방문자 비중은 14.8%에서 11.6%로 감소했다. 또 중국 관광객의 체제기간은 2011년 10.1일에서 2012년 7.5일, 2013년 7.1일, 2014년 5.7일로 점차 줄고 있는 추세다. 관광활동도 쇼핑에 치우쳐 있으며 방문권역은 서울·제주 권역에 제한돼 있는 실정이다.

보고서는 "방한 관광객 수의 증가에도 관광 만족도 저하와 메르스와 같은 전염병 발생 등이 관광시장 흐름을 바꾸는 '게임체인저(Game Changer)'로 작용할 가능성이 높다"며 "양적 확대에서 질적 혁신을 추구하는 방향으로 정책기조를 선회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보고서는 태국의 경우 고소비층 중국 관광객을 유치하기 위해 정부가 저가패키지 상품을 근절하는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고 소개했다.

한경연은 특히 쇼핑관광과 바가지요금에 의존하는 저가 여행상품을 근절하고 중국의 고소비층인 20~30대 신세대(버링·쥬링허우 세대)를 대상으로 한 상품 개발을 추진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또 쇼핑활동에 치우친 관광소비구조를 개선하기 위해 한류·MICE·복합리조트 콘텐츠를 확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경쟁국인 일본은 중국인을 대상으로 단체관광객 비자, 복수비자, 가족관광비자 등을 발급하는 혜택을 제공하고, 항공노선 확충과 소비세 면세제도 확대, 크루즈·카지노 산업 육성 등 다양한 정책을 펼치고 있다. 최근에는 엔저 정책의 영향을 받아 2015년 1∼4월 일본을 방문한 중국인이 133만명을 기록하는 등 전년 대비 두배 증가했다.

SNS 기사보내기
뉴스프리존을 응원해주세요.

이념과 진영에서 벗어나 우리의 문제들에 대해 사실에 입각한 해법을 찾겠습니다.
더 나은 세상을 함께 만들어가요.

정기후원 하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뉴스프리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