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9혁명 58주년, 최초 발포 현장인 청와대 사랑채 분수대광장에

인권현장 바닥 동판 설치 모습 및 설치 될 청와대 사랑채 앞 분수대 광장./사진제공=서울시

서울시는 4․19 혁명 58주년에 맞춰 청와대 영빈관을 바라보는 ‘청와대 사랑채 분수대광장 우측 보도 바닥’ 에 국가 폭력에 대한 저항을 상징하는 역삼각형 형태(가로‧세로 35cm)의 인권 현장 바닥 동판 설치를 했다고 밝혔다.

지난 1960년 4월 19일 화요일 오후 1시 40분 경 시민을 향해 첫 발포된 총격 현장은 ‘경무대’. 지금의 ‘청와대’ 앞이다. 이날 첫 발포로 시민 21명이 죽었고, 172명이 다쳤다.

사건 발단은 지난 1960년 4월 19일 동아일보 기사에 3.15 부정 선거에 항의하던 고대생 피습 사건이 도화선이 되어 대학생은 물론 중·고등학생들이 시민들과 함께 대통령이 있는 경무대(지금의 청와대)로 가기 위해 경찰과 대치하는 과정에서 무차별 총격이 시작됐다.

지금의 청와대는 ‘경무대(景武臺)’는 경복궁(景福宮)의 ‘경’자와 경북궁의 북문인 신무문(神武門)의 ‘무’자를 따온 것으로, 이승만 전 대통령 독재의 상징처럼 인식되어 윤보선 전 대통령(1960.8.~1962.3.) 때 ‘청와대(靑瓦臺)’로 이름을 바꿨다.

서울시는 지난 2015년부터 근현대 흐름 속에서 자행되었던 인권 탄압과 이에 맞서 저항했던 인권 수호의 생생한 역사를 품고 있는 곳에 황동으로 만든 바닥 동판을 설치해 인권의 가치를 되새기는 ‘인권 현장 표석화 사업(인권 서울 기억)’을 추진하고 있다.

시는 또한 지난 1894년 동학 농민 운동부터 인권사의 역사적 현장 가운데 시민과 전문가 추천, 전문가 자문 회의 등을 거쳐 최종 62곳을 선정, 현재까지 서울 곳곳에 설치된 인권 현장 바닥 동판은 총 46개다.

지난 2015년에는 ‘세계 인권 선언의 날’(2012년 10월)을 맞아 서울시청 앞 녹지대에 인권 조형물(1개소)과 남산 옛 안기부 자리에 인권 현장 안내 표지판(9개소)도 설치했다.

시는 인권 현장을 시민들이 쉽고 친근하게 방문할 수 있도록 이야기를 엮은 도보 탐방길(코스) 7개를 개발하고 현재 4개 탐방길을 운영 중에 있으며, 올해 2개 탐방길을 추가로 운영 할 계획이다.

전효관 서울혁신기획관은 “청와대의 협조로 그동안 설치가 어려웠던 4.19 최초 발포 현장인 청와대 영빈관 앞에 국가 폭력을 알리는 역삼각형 인권 표지석을 설치했다. 서울시는 그동안 잘 알지 못했던 인권 현장에 얽힌 사연과 아프지만 반드시 기억해야 하는 역사에 대해 다시 한번 관심을 가지는 기회가 되기를 바란다”라며 “이런 활동이 서울시 뿐만 아니라 시민의 인권 감수성을 높이고 시민의 존엄을 보장하는 사회분위기를 조성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했다.

 

SNS 기사보내기
뉴스프리존을 응원해주세요.

이념과 진영에서 벗어나 우리의 문제들에 대해 사실에 입각한 해법을 찾겠습니다.
더 나은 세상을 함께 만들어가요.

정기후원 하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뉴스프리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