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약바이오협, 항생제 국제단체와 연대 ‘주목’... ‘GARDP’와 협력으로 경제성·공공성 도모 기대

이정희 한국제약바이오협회 이사장./사진제공=한국제약바이오협회

[뉴스프리존=전성남 기자] 항생제 내성 문제가 심각해지면서 전 세계가 대책 마련에 부심하고 있는 가운데 국내에서도 이에 동참하려는 움직임이 가시화 되고 있다.

한국제약바이오협회(이사장 이정희, 협회)는 25일 회원사에 공문을 보내 GARDP(글로벌 항생제 연구개발 비영리 국제단체)를 소개하고, 해당 단체가 추진하고 있는 항생제 개발 프로젝트 등에 참여 할 의향이 있는 기업체 파악 예정이다.

지난 2016년 영국 정부가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전 세계적으로 연간 70만명이 항생제 내성으로 사망하고 있다. 2050년에는 연간 1,000만명으로 치솟고 치료 비용은 100조 달러, 한화 10경원이라는 천문학적인 수준으로 늘어 날 전망으로 항생제 내성 문제를 해결할 새로운 약제 개발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항생제 내성문제의 원인은 다양한 것으로 파악되는데 그중 불필요한 처방과 오남용, 의료기관의 미흡한 관리시스템, 내성을 해소할 항생제 부재 등이 주요한 원인으로 손꼽힌다.

특히 기존 항생제에 내성이 생긴 세균에 대처할 수 있는 신약 개발의 지연되고 있다는 점에서 문제의 심각성은 더한다.

현재의 임상 파이프라인은 기존 항생제의 변형된 형태인 만큼 단기적인 해결책에 불과해 새로운 항생제의 개발이 절실하며, 제약 산업계의 보다 적극적인 참여가 요구되는 실정이다.

이 같은 맥락에서 국내·외 제약업계가 GARDP(글로벌 항생제 연구개발 비영리 국제단체)를 주목할 필요가 있다는 목소리가 커지면서 지난 2016년 말 UN이 항생제내성 문제 해결을 위한 국제 협력을 강조한 게 발단이 되어 WHO와 DNDi(소외질병치료제 개발을 위한 국제기구)가 GARDP를 결성했다.

GARDP는 항생제의 적절한 사용을 촉진하고 항생제 개발을 촉진하기 위해 구성된 민관 협력 국제단체로, 국가 및 민간으로부터 금전적 지원을 받고, 이를 항생제 개발 프로젝트에 지원하고 있다.

이 같은 토대로 현재 신생아 패혈증·성병·소아용 항생제 플랫폼 구축·과거 항생제 연구개발의 지적자산 또는 물질 복구 등 4개의 R&D 프로그램을 가동하고 있으며, 항생제 개발 전문기업과 공동으로 임질 신약의 임상 3상을 진행하고 있기도 하다.

협회는 국내 제약산업계가 GARDP 등 민관 협력 파트너십에 참여할 경우 경제성과 공공성 두 마리 토끼를 모두 잡을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협회는 “세계적인 공중 보건 문제로 대두되는 항생제의 연구개발 사업에 참여해 신약 연구개발의 비용 효율성을 도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을 다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고 밝혔다.

또한 “혁신 신약의 경쟁우위를 확보할 수 있고 나아가 항생제 이외의 연구개발 분야에서도 다양한 파트너십을 활용해 해외진출의 발판으로도 삼을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SNS 기사보내기
뉴스프리존을 응원해주세요.

이념과 진영에서 벗어나 우리의 문제들에 대해 사실에 입각한 해법을 찾겠습니다.
더 나은 세상을 함께 만들어가요.

정기후원 하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뉴스프리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