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2014년 2월 남북이산가족상봉을 위한 준비가정모습

[뉴스프리존=안데레사 기자]‘2018 남북 정상회담’을 앞두고 이산가족 상봉 재개 문제가 의제로 다뤄질지 주목된다. 올해 1월 고위급회담에서 또 거론했지만, 북측은 2016년 집단 탈북한 여종업원 송환을 요구하며 응하지 않았다. 4.27 남북정상회담 의제 조율 작업이 거의 끝나가는 분위기다. 이에 따라 곧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 간에 역사적인 첫 통화도 이뤄질 전망이다.

문재인 대통령이 후보시절 공약한 내용인데다 정부가 이번 정상회담의 주요 의제로 남북 화해를 꼽은 만큼 이산가족 상봉 재개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 일각에선 과거와는 달리 남북이 이산가족 상봉을 위한 별도의 공간 만들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남북은 23일 오전 10시부터 판문점 북측 통일각에서 제3차 의전·경호·보도분야 실무회담을 연다. 실무회담 결과에 따라 정상회담 의제를 최종 조율하는 고위급회담을 건너뛸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문재인 대통령은 그동안 이상가족 상봉을 지속적으로 강조해왔다. 관심은 이산가족 상봉이 1회성 행사에 그치지 않고 정례화될지 여부이다. 무엇보다 이산가족의 고령화가 가속화되고 있기 때문이다.

후보 시절 이산가족 상봉을 신청한 이들 전원의 상봉을 추진하겠다고 공약했고 취임 이후에도 줄곧 이산가족 상봉을 제안해왔다. 지금까지 이산가족상봉을 신청한 13만천 5백여 명 가운데, 상당수가 세상을 떠나 생존 이산가족 상봉 신청자는 5만7천여 명 정도로 줄었다.

지난해 7월 발표한 100대 국정과제에 이산가족 신청자의 전면적인 생사 확인과 상봉 정례화를 포함시키기도 했다. 이 가운데 80세 이상의 상봉 신청자는 전체의 64.2%인, 3만 7천여 명에 이른다. 지난 18년간 1회 대면 상봉 평균인원이 640여 명인 점을 감안해 90회 가까운 행사를 치러야 모두 만날 수 있다는 통계도 있다.

같은 기간 상봉행사가 20차례에 그쳤던 만큼 시간이 얼마나 걸릴지도 가늠하기 어렵다. 특히 이번 남북 정상회담은 이산 가족을 논의하기에 절호의 기회로 꼽힌다. 이번 회담의 핵심 의제는 비핵화와 한반도 항구적 평화정착, 남북관계 개선이다.

이 때문에 화상 상봉이나 금강산 면회소 상시 운영, 서울과 가까운 남북 접경 지역에서 수시 상봉을 하는 방안 등으로 시간과 절차를 줄여야 한다는 지적도 제기된다. 남북관계 개선에 있어 이산가족 문제해결 등 인도적 사안은 필수적인 만큼 이번 기회에 어떤 방식으로든 이산가족 상봉에 대한 논의가 나올 것으로 보인다.

평창 동계올림픽 이후 남북 예술단의 상호 방문이 이뤄졌던 만큼, 이산가족 상봉문제가 진전되고 민간차원의 예술·문화·사회 분야까지 물꼬를 틀 경우 남북관계 개선이 가속화될 것으로 보인다. 2000년 남북 정상회담을 계기로 시작된 이산가족 상봉은 세 번째 정상회담이 열리는 현재까지 20차례 이뤄졌다. 신청자 13만1531명 중 총 2만3676명이 휴전선 너머 가족을 만났다. 그러나 행사는 남북관계 경색과 함께 축소되기 시작해 2015년 10월부로 끊겼다. 그 사이 사망자가 56.0%(7만3611명)로 생존자를 넘어섰다.

SNS 기사보내기
뉴스프리존을 응원해주세요.

이념과 진영에서 벗어나 우리의 문제들에 대해 사실에 입각한 해법을 찾겠습니다.
더 나은 세상을 함께 만들어가요.

정기후원 하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뉴스프리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