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혜를 베푼 후에 상대가 갚지 아니하면 원망하는 것이 보통입니다.

지은보은
지은보은(知恩報恩)이라는 말이 있습니다. 남에게 입은 은혜를 알고 그 은혜를 갚는다는 뜻이지요. 오늘날 사회의 인심을 살펴본다면 사람들이 은혜 입기는 좋아하되 은혜 풀기는 싫어합니다. 그리고 입은 은혜는 잘 잊어버리되 베픈 은혜는 잊어버리지 아니하지요. 또한 은혜 받은 후에 그 은혜를 갚지 아니합니다. 또 은혜를 베푼 후에 상대가 갚지 아니하면 원망하는 것이 보통입니다.

그리하여 원망이 원망을 낳고 은혜에서도 원망을 낳아 배은망덕(背恩忘德) 하는 일이 그 수를 헤아릴 수 없습니다. 이와 같이 피차가 원망과 배은으로 얽히고 섥혀서 속담에 말하는「가는 방망이 오는 홍두깨」의 화(禍)를 불러일으키고 있는 실정이지요.

개인과 개인 사이, 사회와 사회 사이, 국가와 국가 사이, 사상과 사상 사이에 모두 이러한 관계로만 이어간다면, 역사의 방향은 과연 어떠한 방향으로 전개될 것이며, 인류의 운명이 어떻게 될지 예측하기 어려울 것입니다.

그러기 때문에 원불교에서는 종래의 윤리 즉, 소극적인 인간 중심의 윤리나 어떤 절대자와의 관계설정을 윤리로 규정하려는 의도를 지양(止揚)합니다. 그 대신 네 가지 큰 은혜, 즉《천지⦁부모⦁동포⦁법률》을 은혜의 덩치로 아는 것입니다. 그런 까닭에 원망생활을 감사생활로 돌릴 수 있는 입니다.

우리가 어떠한 물건을 막론하고 좋지 않은 것만을 발견하여 버리기로 하면 한 사람 한 물건도 유익하게 쓰일 곳이 없습니다. 하지만, 아무리 안 좋은 사람이요, 양잿물과 같이 독한 물질이라도 쓸 곳을 발견하고 좋은 것을 가려서 쓰기로 하면 한 사람 한 물건도 우리에게 유익하지 않는 것이 없습니다.

그러므로 우리에게 유익한 은혜만을 발견하여 활용하는 보은을 한다면, 천지도 부모도 동포도 법률도 물건도 사상도 모두 자비로운 보살로 화현(化現)될 것입니다. 그 은혜를 갚는 <노인과 갈매기> 얘기가 있어 전해드립니다.

「미국 보스턴 해안에서 있었던 일입니다. 날마다 일정한 시간이면 머리가 하얀 백발노인이 통에 가득 싱싱한 새우를 가지고 나와서 이리저리 날아다니는 갈매기들에게 먹이는 것입니다. 갈매기들은 이 노인을 알아보고 으레 그 시간이 되면 해안에 모여서 노인이 주는 새우를 맛있게 받아먹습니다.

하지만 싱싱한 새우를 왜 갈매기들에게 매일 같이 먹이는지, 아무도 노인에게 물어본 사람이 없었습니다. 그러던 어느 날, 철없는 어린아이 하나가 그 이유를 물었습니다. “할아버지, 이 싱싱한 새우를 왜 매일같이 저 갈매기들에게 먹이는 거예요?” 노인은 어린아이에게 그 이유를 설명합니다.

“나는 2차 대전 때 미군 함정의 함장이었단다. 그런데 내가 탄 배가 일본군들이 쏜 어뢰에 맞아서 그만 격침되고 말았지. 많은 부하들이 죽고, 나와 몇몇 사람만이 구명보트를 타고 간신히 살아남았어. 햇볕은 뜨겁고 식량은 다 떨어져서 거기에 남은 사람들마저도 하나 둘씩 죽어가는 형편이었단다. 나 역시 너무나 힘들어서 정신이 몽롱해졌어.

그런데 뭔가 좀 이상한 생각이 들어서 눈을 떠보니 어깨에 갈매기 한 마리가 올라앉아 있더구나. 쫓으려고 했지만 영 도망도 가지 않았어. 그런데 못 견딜 정도로 배가 고파서 할 수 없이 그 갈매기를 잡아먹고 기운을 차려서 마침내 살아남았단다. 그래서 나는 갈매기를 볼 때마다 그때 갈매기의 은혜에 감사하지. 내가 잡아먹은 그 갈매기를 다시 만날 수는 없지만 너무도 고마웠던 그 때의 기억으로 인해 이렇게 새우를 사다가 먹이고 있는 것이란다.」

어떻습니까? 옛날 우리 글귀에 착한 사람과 같이 있게 되는 것은 마치 ‘지란지실(芝蘭之室)’에 들어간 것과 같다 하는 말이 있습니다. 지란은 난초를 의미합니다. 좋은 향기가 나는 난초가 있는 방안에 들어가면 온 방안이 향기로 가득해서 자연히 향기에 도취되는 것입니다.

저는 개를 기르지 않습니다. 왜냐고요? 이별이 너무 힘이 들어 기르지 않습니다. 제가 아주 어릴 적 고향집에서 ‘도꾸’라는 개를 길렀습니다. 언제나 저만 따르는 충견이었지요. 그러던 어느 날 학교를 다녀오니 동네 사람들이 모여 앉아 바로 우리 ‘도꾸’를 잡아먹자는 공론을 하는 것이었습니다.

얼마나 놀랐는지요! 즉각 ‘도꾸’를 데리고 도망을 쳤습니다. 그런데 이 ‘도꾸’를 때리며 도망가라고 해도 꼬리를 흔들며 제 주위를 맴돕니다. 그러다가 그만 어른들에게 잡혀 미류 나무에 목을 매달아 결국 보신탕 신세가 되고 말았지요. 그 때문인지 저는 평생 보신탕을 먹지 않습니다.

은혜를 입고 갚지 않는 자는 짐승만도 못한 저급한 인간입니다. 짐승은 주인을 알고 어떤 경우에도 그 주인을 배반하지 않습니다. 그런데 만물의 영장이라는 인간은 주인을 배반하고 배은망덕을 하는 것을 보면 너무나 가슴이 아픕니다.

사람이 서로 사귀는데 그 좋은 인연이 오래가지 못하는 것은 대개 유념(有念)할 자리에 유념하지 못하고, 무념(無念)할 자리에 무념하지 못하는데서 생기는 것입니다. 유념할 자리에 유념하지 못한다는 것은 우리가 무슨 방면으로든지 남에게 은혜를 입고도 그 은혜를 잊어버리는 것입니다.

그리고 무념할 자리에 무념하지 못한다는 것은 우리가 무슨 방면으로든지 남에게 은혜를 베푼 후에 보답을 바라는 마음이 있는 것을 말하는 것입니다. 또한 은혜 입은 사람이 혹 나에게 잘못하면 전날 은혜 입혔다는 생각으로 그 사람을 미워하는 것입니다. 그래서 좋은 인연이 오래가지 못하고 원수로 변하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우리가 그 이치를 잘 알아서 유념할 리에는 반드시 유념하고, 무념할 자리에는 무념 하는 지은보은의 이치를 잊으면 안 됩니다. 그래야 우리가 사귀는 동안에 그 좋은 인연이 오래가는 것이지요!

단기 4351년, 불기 2562년, 서기 2018년, 원기 103년 11월 20일

덕 산 김 덕 권(길호) 합장

관련기사
SNS 기사보내기
뉴스프리존을 응원해주세요.

이념과 진영에서 벗어나 우리의 문제들에 대해 사실에 입각한 해법을 찾겠습니다.
더 나은 세상을 함께 만들어가요.

정기후원 하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뉴스프리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