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영찬 국민소통수석은 12일 기자들에게 보낸 문자메시지를 통해 '올해 답방이 어려울 것 같다'면서, '1월 답방은 계속 열려있다'고 언급, 2차 북미 정상회담 → 종전선언 → 4차 남북 정상회담으로 이어지는 '황금 시나리오'에 대한 기대가 깨저..

▲공동 취재단

[뉴스프리존= 유병수 기자] 청와대가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연내 서울 답방이 어려울 것 같다고 12일 공식적으로 밝혔다. 청와대가 김 위원장 답방이 내년으로 넘어갈 것임을 공개 시사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북측이 '先 북미정상회담·後 답방', 이렇게 명시적으로 통보한 것은 아니지만 접촉 과정에서 전달된 북한 측의 분위기가 그랬다는 분위기다.

윤영찬 청와대 국민소통수석은 이날 기자들에게 메시지를 보내 "올해 답방이 어려울 것 같다는 얘기는 제가 계속 해왔고, 1월 답방이야 계속 열려 있다. 상황 변화 없다"고 밝혔다. 2차 북·미 정상회담에 대한 가시적 전망이 서지 않는 가운데 김 위원장 연내 답방 성사를 통해 2차 북·미 정상회담의 새로운 동력을 만들어내려던 청와대 계획이 무산된 것으로 풀이된다. 답방 문제를 놓고 북한과 물밑 접촉을 해온 당국은 '북미회담이 답방보다 우선'이라는 북측의 기류를 확인한 것으로 전해졌다.

해외 순방 도중 "연내 답방 가능성이 열려 있다"며 기대감을 내비쳤던 문재인 대통령 또한 귀국 직후인 지난 10일 수석-보좌관 회의와 지난 11일 국무회의에서도 김정은 위원장의 답방에 대해 별다른 언급을 하지 않았다.  답방 준비에 열흘가량 소요되는 데다 오는 17일이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사망 7주기이고 연말이 북한 내부의 총화(결산) 기간인 점 등도 고려했을 가능성이 높다.

김정은 위원장의 연내 답방을 위해서는 준비 기간을 고려해 적어도 지난 주말이었던 9일까지는 북한으로부터 답변이 왔어야 한다는 해석이 지배적이다. 청와대는 김 위원장 답방 시점이 2차 북·미 정상회담 이전일지, 이후일지에 대해서도 확신하지 못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 9일 끝내 답이 없자 김의겸 청와대 대변인은 "재촉할 의사가 없다"면서 반쯤 단념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에 따라 김정은 위원장의 서울 답방은 2019년 1월 이후로 미뤄지는 분위기다. 북한의 정치 일정상 오는 17일은 고(故)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사망 7주기 행사가 있고, 연말에는 북한 내부의 총화 기간이어서 김정은 위원장이 일정을 빼기가 쉽지 않다. 하지만 이 경우, 2차 북·미 정상회담의 개최 시기 등이 현재로서는 매우 불투명하기 때문에 김 위원장의 답방도 시기를 장담할 수 없다는 것이 정부의 고민이다. 북측은 답방에 대한 남쪽의 부정적인 여론이 최근 늘어나고 있는 것도 면밀히 봤을텐데요, 좀더 우호적인 환경에서 방문하기 위해서는 미국과의 성과가 더 필요하겠다, 이렇게 판단했을 가능성이 높다.

SNS 기사보내기
뉴스프리존을 응원해주세요.

이념과 진영에서 벗어나 우리의 문제들에 대해 사실에 입각한 해법을 찾겠습니다.
더 나은 세상을 함께 만들어가요.

정기후원 하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뉴스프리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