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승의 은혜
어제가 스승의 날이었습니다. 스승의 은덕(恩德)에 감사하고 존경하며 추모하는 뜻으로 제정한 날이 스승의 날입니다. 우리에게 진정 참 스승이 계신지요? 인생에 있어 스승이 계시다는 것은 참 감사한 일입니다. 진정한 스승은 우리에게 삶의 의미와 가치를 알려주고, 그 사람의 가치를 발견하고 실현해 나가는데 가르침을 주는 분입니다.

저 역시 인생의 스승이 계십니다. 천방지축(天方地軸)으로 살다가 겨우 나이 45세에 일원대도(一圓大道)를 만났습니다. 그리고 비로소 인생의 스승을 만나 오늘에 이르기까지 안빈낙도(安貧樂道)를 하고 있는 중입니다. 우리 인생에서 훌륭한 스승을 모신다는 것은 인생을 잘 살아갈 수 있는 행운입니다.

그리고 스승은 좋은 제자를 만나야 합니다. 훌륭한 제자를 만난다는 것은 뜻과 꿈을 물려줄 수 있는 후계자를 얻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스승은 등불, 제자는 후계의 관계가 이루어져야 하는 것이지요. 이러한 스승과 제자와의 관계가 이루어 질 때 숭고한 사제 애(師弟愛)가 생기는 것입니다.

원불교를 창립하신 소태산(少太山) 부처님께서는 별자리를 보고 약관의 제자 정산(鼎山) 송규(宋奎) 종사를 맞이하셨습니다. 경상도 성주에서 전라도로 스승을 찾아오는 것을 아신 것이지요. 그리고 손수 애제자를 찾아 영광에서 정읍 화해리 까지 찾아가 숙겁(宿劫)의 인연을 확인하신 것입니다. 만약 소태산과 정산의 위대한 만남이 없었던들 오늘날 100년 밖에 안 된 원불교가 한국 4대종교의 반열에 오르기는 어려웠을 것입니다.

그리고 사각의 정글에서 야수와 같이 울부짖던 제가 원불교를 만나 인생의 스승을 만나지 못했던들 제 인생이 오늘 같은 행복을 누릴 수는 없었을 것입니다. 저는 스승님을 만난 이후 한 번도 스승님의 명을 거역한 일이 없습니다. 죽으라면 죽는 시늉까지 했습니다.

일편단심 한 점의 의혹도 없이 스승님의 명을 하늘처럼 받들었습니다, 간혹 엄교(嚴敎)와 중책(重責)을 내리시더라도 한 점의 불평이나 불만이 없이 달게 받았습니다. 어쩌면 지금까지 칭찬 보다는 꾸중을 더 많이 받는 것이 오히려 기쁨이었는지도 모릅니다.

학문이 뛰어나고 잘 가르친다 해서 좋은 스승이 될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제자 사랑의 진정한 마음과 걱정으로 제자의 앞날을 인도해 주고 등불이 되어 줄 수 있어야 참 스승이 될 수 있는 것입니다. 제자에게 불보살의 꿈을 꾸게 만들고, 그 꿈을 이루도록 끊임없이 격려해주는 멘토가 될 때 참된 인생의 스승이 되는 것입니다.

훌륭한 스승은 인재 발굴안목과 인재양성능력을 지녀야 합니다. 그러므로 참된 스승은 좋은 인재를 고를 줄 아는 안목과 지혜 그리고 훌륭한 인재로 키울 수 있는 능력을 지녀야 합니다. 그래서 예로부터 ‘훌륭한 스승 밑에 뛰어난 제자가 있다.’ 한 것입니다.

당나라 최고의 문장가인 ‘한유’는 ‘백락(伯樂)의 천리마’라는 글에서 인재발굴의 중요성을 다음같이 비유하여 강조하였습니다. “이 세상에는 천리마는 있으나 천리마를 볼 줄 아는 ‘백락’은 늘 있다고 할 수 없다. 그리하여 천리마라 할지라도 보통의 말로 혹독하게 부려지다가 결국 마구간에서 죽고말리라.” 하였습니다.

이 글의 뜻은 이 세상에 인재는 많이 있으나 그 인재를 발굴할 수 있는 스승은 드물다는 뜻이 아닐까요? ‘공자와 안회’ ‘소크라테스와 플라톤’ ‘예수와 베드로’ ‘소태산과 정산’ 같이 훌륭한 스승과 좋은 제자의 인연이야 말로 숙겁의 인연입니다. 다시 말해 훌륭한 스승을 모시고 좋은 제자를 갖는다는 것은 스승이나 제자 모두에 있어서 축복이요 또한 대업(大業)의 성취인 것입니다.

이와 같이 인생에 스승이 안 계시면 그 인생이 고달프기 마련입니다. 스승을 찾으면 사제 간에 사이가 없어야 합니다. 그 사이를 없애는 방법은 신(信)만 돈독하면 되는 것입니다. 그리고 스승의 허물이 눈에 뜨일 때에는 스스로 박복함을 한하는 것입니다. 그래도 의혹이 풀리지 않을 때에는 직접 고하여 해혹(解惑)을 하는 것이지요.

그러면 스승의 법(法)이 제자에게 전해지는 것입니다. 우리 저마다 인생의 스승을 모셔 인생의 성공을 거두지 않으시려는지요? 이러한 스승의 문화가 조성될 때, 사회는 건강하고 행복하고 평화로워집니다.

스승이란 말을 생각해봅시다. 진정한 스승이라면 우리는 그 스승을 공경합니다. 그것은 단지 무엇인가를 나에게 가르쳐주기 때문이 아니라, 올바르고 참된 것을 가르쳐주고, 그 가르치는 바에 따라 자기 자신도 실천하기 때문입니다. 즉, 스승을 공경하는 것은 그 분이 사람이기 때문이 아니라, 올바르고 참된 것을 가르친다는 점, 그것을 실천한다는데 있습니다.

어떻습니까? 스승님의 하해(河海) 같은 사랑을 크게 느끼시는지요? 어찌하면 스승의 법(法)을 이어 받아 대업을 성취할 수 있을까요? 스승이 제자를 만나면 먼저 그의 신성(信誠)을 봅니다. 제자가 독실한 신심이 있으면, 그 법이 건네고 공(功)을 이룰 것이요, 신심이 없으면 그 법이 건네지 못하고 공을 이루지 못하는 것입니다.

그럼 무엇을 일러 신심이라 할까요?
첫째, 스승을 의심하지 않는 것입니다.

둘째, 스승의 모든 지도에 오직 순종할 따름입니다.

셋째, 스승의 명을 달게 받는 것입니다.

넷째, 스승의 앞에서는 자기의 허물을 숨기지 않습니다.

이 네 가지를 구비(具備)하면 특별한 신심이라, 능히 불조(佛祖)의 법기(法器)를 이루게 되는 것입니다. 봄바람은 사(私)가 없이 평등하게 불어 주지마는 산 나무라야 그 기운을 받아 자라고, 스승님은 사 없이 평등하게 법을 설하여 주지마는 신 있는 사람이라야 그 법을 오롯이 받아 갈 수 있는 것입니다.

큰 스승은 천지의 대운을 타고 나오시는 분입니다. 따라서 그 스승에게 정성을 다 바치며 서원을 올리면 그 서원이 빨리 이루어집니다. 덕화만발 가족 모두가 저의 스승이십니다. 어찌 그 스승의 은혜를 잊을 수 있겠는지요? 스승님 사랑합니다!

관련기사
SNS 기사보내기
뉴스프리존을 응원해주세요.

이념과 진영에서 벗어나 우리의 문제들에 대해 사실에 입각한 해법을 찾겠습니다.
더 나은 세상을 함께 만들어가요.

정기후원 하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뉴스프리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