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 오래전 우리 어머니는 서울 신당동 중앙시장에서 쌀장사를 했었지요. 키가 자그마한 어머니는 언제나 머리에 흰 수건을 둘러쓰시고는 쌀 먼지 속에 사셨습니다. 그러나 어머니의 몸에서는 늘 찔레꽃 향기가 은은하게 풍겼습니다.

생각해 보면 여인은 가슴을 설레게 하는 존재입니다. 하지만, 엄마는 그리움의 존재이지요. 어쩌면 여인은 소유하고 싶은 존재이나 엄마에게는 소유당하고 싶은 마음이 강하게 하는 마음의 고향 같은 분이 어머니인 것 같습니다.

옛날에 홀어머니를 모시고 사는 젊은 청년이 있었습니다. 어느 날 그는 어머니 곁을 떠나 깊은 산속으로 들어갔습니다. 부처님의 제자가 되어 도(道)를 닦기 위해서였지요. 한참 동안 산길을 헤매던 청년은 우연히 스님 한 분과 마주쳤습니다.

“스님, 어디를 가야 부처님을 만날 수 있을까요?” 스님은 물끄러미 청년을 훑어보며 이렇게 말합니다. “지금 즉시 집으로 돌아가면. 누군가 옷을 절반만 걸치고 신발을 거꾸로 신은 채, 자네를 마중 나올 걸세. 그 사람이 바로 부처님이시네!”

청년은 스님에게 연거푸 절을 올린 뒤 곧장 집으로 향했습니다. 청년은 집으로 돌아오는 길 내내 부처님을 만난다는 생각으로 들떠 있었습니다. 청년이 집에 도착했을 때는 이미 한밤중 이었습니다. 그는 잔뜩 설레는 마음으로 대문을 두드렸습니다.

이때 그의 어머니는 아들이 돌아온 소리에. 너무나 반가운 나머지 허겁지겁 방문을 뛰쳐나왔습니다. 옷은 절반 정도만 대충 걸친 데다 신발은 거꾸로 신은 채 말이지요. 젊은이는 그런 어머니의 모습을 보고서야 뜨거운 눈물이 솟구치는 동시에 스님의 말뜻을 깨달을 수 있었습니다.

해마다 5월이면 그 운명의 실타래에 묻어나는 그리움을 마주합니다. 카네이션을 단 가슴이 아름답게 다가옵니다. 비록 향기 없는 조화라 할지라도 가슴에 단 카네이션이 아름다운 이유는 꽃이기 때문이 아니라 그 꽃을 자랑스럽게 달고 있는 어머니의 젖가슴 때문이고 이날만큼은 어머니에게 꽃이고, 꽃이 되고 싶은 자식들의 마음을 달고 있기 때문입니다.

우리 덕화만발 카페 <안녕 김경희 시인의 시 사랑방>에 지금 찔레꽃 아픔을 장미꽃 향기로 간직하신 어머니를 노래한 시조(時調)가 올라와 있습니다. 원체 우리 덕화만발 가족들과 많은 독자들의 사랑을 받는 김경희님의 시인지라, 우리 모두 공유(共有)하고 싶어 올립니다.

<찔레꽃> -김경희-

닮은 듯 닮은 얼굴 누군가 그려 보니

흰 수건 동여매고 밭 매던 내 어머니

살며시 그 품에 안겨 밤새도록 우누나

엄마 품 그리워서 턱 괴고 바라보니

천사의 웃음으로 한없이 웃어 주신

찔레꽃 향기로 오신 보고 싶은 어머니

어떻습니까? 이 시조가요! 옛 부터 오뉴월에 피는 꽃이 향기가 제일 짙다고 합니다. 그중에서도 장미과에 속하는 ‘찔레꽃 향기’가 으뜸이라 했지요. 찔레꽃은 어딘가 모르게 때 묻지 않은 듯 마치 수줍은 시골 새색시처럼, 화려하지도 빼어나지도 않으면서 사람들의 마음을 사로잡는 것 같습니다.

찔레꽃 넝쿨

향기 또한 어질고 착한 듯 수수하고 고와서 소녀 같은 청초함이 묻어나 오랫동안 취해도 실 증이 나지 않습니다. 찔레꽃은 자리를 가리지도 않지요. 진흙구렁이건, 비탈언덕이든 어느 곳 어디서나 잘 자라고 잘 피어납니다. 찔레꽃의 꽃말은 ‘온화, 신중한사랑’이라 하는데, 이 순박한 꽃에도 슬픈 전설이 있다고 합니다.

옛날 고려시대에 조공(朝貢)으로 여러 처녀들과 함께 몽골로 끌려간 소녀 ‘찔레’는, 고향과 부모에 대한 그리움으로 수많은 세월을 보내다 어렵사리 고향으로 돌아왔습니다. 그러나 부모형제는 어디론가 사라지고 소식조차 알 길이 없었지요.

찔레는 가족을 찾아 밤낮없이 이곳저곳을 헤매며 애타게 찾았건만, 결국 가족들을 찾지 못하고 실성한 듯 울부짖다 그만 죽고 말았습니다. 그 뒤부터 그녀가 가족을 찾아 헤매던 골짜기 개울가마다 그녀를 닮은 하얀 꽃이 하나 둘 피어났어요. 그때부터 사람들은 그 하얀 꽃을 ‘찔레꽃’이라 부르게 되었답니다.

그래서 하얀 찔레꽃을 ‘한 많은 찔레꽃’이라 부르기도 했지요. 비록 밭 언저리 가시넝쿨 속에서 잡초처럼 피어나지만, 그 수수한 아름다움은 다른 꽃에 비할 수가 없습니다. 원래 장미꽃의 어머니를 찔레꽃이라 합니다. 그래서 그런지 장미의 화려함도 좋지만, 찔레꽃의 수수함은 더 좋은 것 같아요. 그리고 찔레꽃의 향기는 사람의 마음을 사로잡을 만큼 짙고 신선합니다.

그 옛날 찔레나무의 연한 순은 배고팠던 어린 시절, 한창 자라나는 어린이들에게 맛좋은 간식거리였습니다. 지금은 누가 먹으라고 권해도 거들떠보지도 않겠지만, 실제로 찔레순은 다양한 약효를 지닌 식품이라네요. 일례로 찔레 순을 많이 먹으면 겨우내 몸 안에 쌓여있던 독소를 제거해주는 약효가 있다 합니다.

찔레꽃의 열매를 ‘영실(營實)’이라 합니다. 이 영실은 여자들의 생리통, 생리불순, 변비, 신장염, 방광염, 각기, 수종 등에 치료 효과가 뛰어난 약재라고 한방(韓方)에서는 말합니다. 그 옛날 동심으로 돌아가 찔레 순이며, ‘시엉’을 꺽어 먹던 아련한 옛 추억에 한 번 잠겨 보시지요. 그러나 그때 그 시절 함께 뛰놀았던 동무들은 지금은 거의 찾아 볼 수도 없습니다.

벌써 찔레꽃이 활짝 피었다고 합니다. 어머니의 몸에 아련히 스며있던 찔레꽃 엄마의 향기는 디시 찾을 길이 없습니다. 하지만 6월에 피는 찔레꽃 향기에 취해 꿈속에서라도 엄마의 체취를 더듬어 보면 얼마나 좋을 까요!

SNS 기사보내기
뉴스프리존을 응원해주세요.

이념과 진영에서 벗어나 우리의 문제들에 대해 사실에 입각한 해법을 찾겠습니다.
더 나은 세상을 함께 만들어가요.

정기후원 하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뉴스프리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