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덕권 칼럼니스트베풀고 사는 인생
 

어떻게 사는 것이 인생을 잘 사는 것일까요? 한 점의 후회 없이 살고 싶었는데 지금에 와서야 회한(悔恨)에 젖는 연유는 무엇인지 안타깝기만 합니다. 사람이 죽을 때가 되면 보통 세 가지를 후회한다고 합니다.

첫째, 베풀지 못한 것에 대한 후회입니다.

가난하게 산 사람이든 부유하게 산 사람이든 죽을 때가 되면 좀 더 주면서 살 수 있었는데 라고 말입니다. 긁어모으고 움켜쥐어 봐도 별 것 아니었습니다. 왜 좀 더 나누어 주지 못했고 베풀며 살지 못했을까요? 참으로 어리석게 살았네요.
 

둘째, 참지 못한 것에 대한 후회입니다.
그 때 내가 조금만 더 참았더라면 좋았을 걸, 왜 쓸데없는 말을 하고, 쓸데없이 행동했는지요? 당시에는 내가 옳다고 생각했습니다. 그것이 최선이라고 생각했고 그럴 수밖에 없다고 생각했습니다. 그러나 지나고 보니 좀 더 참을 수 있었고, 좀 더 여유를 가지고 참았더라면 내 인생이 좀 달라졌을 텐데, 참지 못해서 일을 그르친 것이 못내 후회가 됩니다.

 

셋째, 좀 더 행복하게 살지 못한 것에 대한 후회입니다.
 왜 그렇게 빡빡하고 재미없게 살았을까요? 왜 그렇게 짜증스럽고 힘겹고 어리석게 살았는지 알 수가 없습니다. 얼마든지 기쁘고 즐겁게 살 수 있었는데 말입니다. 나로 인하여 다른 사람들을 힘들게 한 삶을 살았던 것에 대해서 진정으로 참회(懺悔)합니다.

 

그럼 어떻게 사는 것이 잘 사는 것일까요? 그건 ‘베풀고 사는 인생’입니다. 노량진 수산시장에 ‘젓갈할머니’ 유양선님이 계십니다. “공부 혀! 돈 걱정 말구” 하시면서 전 재산을 장학금으로 기증하신 분입니다. 유난히 각박하고 을씨년스러웠던 지난 한해를 마감하면서 세상을 맑고 밝고 훈훈하게 만들어가는, 평범하지만 소금 같으신 어르신이지요.

 

“옛날 김장때면 하루에 새우젓 열 네 드럼도 팔았어. 지금은 김장들도 안하고, 젓갈도 안 먹으니 하루 종일 팔아도 이문이 남질 않아” 노량진수산시장에서 25년째 젓갈을 파는 유양선할머니(65)는 장사가 시원치 않다고 푸념입니다. ‘많이 벌어야 책을 많이 사서 아이들에게 보낼 텐데’, 세상 일이 마음 같지 않다고 하십니다.

 

가정형편 때문에 못 배운 한을 풀기 위해 전국 각지 초등학교에 책을 사 보낸 지 15년째. 그동안 보낸 책들이 어언 3억여 원어치에 이릅니다. 이렇게 보내는 책 앞장에는 ‘노량진수산시장 충남상회 유양선 드림’이란 글과 함께 ‘학생여러분! 공부는 때가 있습니다. 어린이 시절에 배우지 않으면 평생을 두고 후회하게 됩니다.’라는 문자를 찍어 넣는다고 합니다.

 

책만 보낸 게 아닙니다. 지난 3월에는 평생 걸려 장만했던 광명시의 4층짜리 건물을 고향인 서산 한서대학에 장학기금으로 써달라고 기증했습니다. 할머니는 “흥정을 붙여본 적도 없는데 그 돈이 얼만지 어떻게 알아?” “그래도 그거 장만하느라 평생 안 먹고 안 쓰고, 집 사고팔기를 몇 번이나 했어”라고 하십니다.
 

아무튼 이 일로 유 할머니는 유명인사가 됐다고 합니다. 노란색을 별나게 좋아해 당신의 별명도 ‘노랑아가씨’라 불러달라는 유 할머니는, 그러나 이와 함께 ‘도와 달라’는 요청이 부쩍 늘어 고민이라고 하네요. 수입이 따라주지 않기 때문이지요.

 

비누가 아까워 물로만 세수할 정도로 근검절약이 몸에 밴 ‘노랑아가씨’는 “할머니처럼 남을 도우며 살고 싶어요.”가 주류인 어린이들의 팬레터를 꺼내 보이면서도 한 학급 30여명의 편지를 한 봉투에 넣어 보낸 어린이들의 ‘절약정신’을 먼저 칭찬하십니다.
 

어떻습니까? 이렇게 베풀고 사는 인생이요! 우리는 무엇을 바라기 이전에 ‘되어 주는 것’이 세상을 잘 사는 법입니다. 좋은 친구를 찾지 말고 내가 먼저 좋은 친구가 돼 주고, 좋은 사람을 찾지 말고 좋은 사람이 돼 주는 것입니다. 또 행복해지기를 바라지 말고 나 스스로 행복한 마음을 갖는 것입니다.

 

인생을 살아오면서 아프지 않은 사람은 없을 것입니다. 그리고 슬프지 않은 사람도 없고, 힘들지 않은 사람도 없을 것입니다. 또한 눈물 흘리지 않은 사람 없고, 사연 없는 사람은 없을 것입니다. 또 고민 없는 사람 없고, 삶의 무게가 힘겨운 사람도 아마 없을 것입니다.

 

그런 우리들이 베풀고 사는 인생을 영위하려면 인격을 도야하기 위한 노력이 선행되어야 합니다. 그러려면 먼저 다른 사람의 훌륭한 인격을 본받기 위해 노력을 해야 합니다. 그리고 자신이 처한 현실을 더 나은 것으로 개선하고 극복할 수 있는 노력을 하지 않으면 베풀고 살 수가 없습니다.

 

우리가 이렇게 사는 것이 부처님법대로 살아가는 것이 아닐까요? 그렇게 되면 사람끼리, 중생끼리 서로 도와가며 유익하게 살아가게 됩니다. 물론 그렇게 하는 것은 쉽지 않습니다. 인간의 마음속에 욕망이 있어서 서로 질투와 시기가 생기고 비방하는 마음이 생깁니다. 부처님은 인간으로서 극복하기 어려운 그 마음을 극복하신 분입니다. 그래서 우리가 부처님을 큰 스승으로, 혹은 부모처럼 여기고 존경하고 의지하는 것입니다.
 

우리 타인을 돌볼 줄 아는 사람이 되면 어떨까요? 자동차를 타고 가다가 바퀴가 고장이 나면 스스로 고치는 수밖에 방법이 없습니다. 만약 우리가 스스로 돌볼 수 있다면, 다른 사람을 돌 볼 수 있을 겁니다. 그게 우리의 삶의 방식이 되어야 베풀고 사는 인생이 됩니다.
 

그리고 인생을 긍정적이고, 적극적이며, 정열적으로 살아가는 것입니다. 이렇게 살면, 우리가 어려움에 봉착해도 ‘좋은 일들이 일어날 것’이란 희망을 갖게 됩니다. 우리가 유일하게 가진 건 희망뿐입니다. 우리가 원하는 그 일이 실제로 일어나기를 바라는 것입니다. 또 우리가 원하는 그것을 실제로 보게 되고, 원하는 일에 참여하게 될 것이라고 희망을 가져야 합니다. 그것이 베풀고 사는 인생이 되는 지름길이지요.

 

베풀고 사는 인생이 잘 사는 인생입니다. 현재를 잘 살아야 합니다. 인생에 예행(豫行)이 없습니다. 보시(布施)이상의 공덕은 없습니다. 누구나 베풀고 살 수 있습니다. 정신 육신 물질 삼 방면으로 베풀면 됩니다. 그것이 내생에 잘 나서 잘 살아가는 비결이니까요!

 

단기 4350년, 불기 2561년, 서기 2017년, 원기 102년 4월 28일
 
덕 산 김 덕 권(길호) 합장

SNS 기사보내기
뉴스프리존을 응원해주세요.

이념과 진영에서 벗어나 우리의 문제들에 대해 사실에 입각한 해법을 찾겠습니다.
더 나은 세상을 함께 만들어가요.

정기후원 하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뉴스프리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