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잔병취금,자살까지 생각한다

'천안함 폭침은 북한 소행이 아니다'라는 거짓 선전은 사건 발생 5년이 되도록 한국 사회를 떠돌고 있다. 거짓 의혹 제기에 가장 큰 피해를 입는 사람은 바로 생존 장병과 유가족들이다.

[연합통신넷=정익철기자] 천안함 폭침 사건 5주기를 나흘 앞둔 22일 생존 용사들의 심경을 담은 설문 인터뷰가 공개됐다. 병사들은 자신들이 '살아남은 자' '죄인' '패잔병'으로 낙인 찍힌 채 살고 있다고 생각하며, 대부분이 극심한 외상 후 스트레스장애(PTSD)나 죄책감에 시달리고 있었다.


대한민국호국보훈협회가 천안함 생존 용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인터뷰 및 대면조사 자료에 따르면 전체의 56%가 "살아나가는 게 어렵다"고 대답한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생활에 만족한다는 답은 25%뿐이었다. 이들은 사건 5년 후에도 여전히 PTSD에 시달리고 있었다. 당시의 기억을 회피하며 사람들과의 접촉을 꺼리고, 예민함을 보였으며, 기억력 저하와 정서적 감정 조절의 어려움을 호소했다.

고 민평기 상사(사고 당시 34세)의 아버지 민병성 씨(75)는 가까운 지인에게서 "천안함 침몰은 북한 짓이 아니지 않으냐"는 말을 들은 적이 있다. 민 씨는 "친구라도 그런 소리 하면 안 된다"고 점잖게 타일렀지만 서운한 감정을 감출 수 없었다. 아들의 죽음으로 받은 보상금 중 1억 원을 기부한 민 씨는 "북한을 추종하는 사람들이나 할 법한 소리를 아무렇지도 않게 말하는 풍조에 놀랐다"고 말했다.

맹목적인 정부 불신이 유언비어를 만들었다는 지적도 나온다. 또한 생존 용사들이 정신적 불안정한 상태로 지내 오고 있는것 으로 알려졌다.
 
생존 용사 A씨는 "자살까지 생각했지만, 부모님·친구들을 생각해 못 죽었다"며 "그래서 마냥 웃고 즐거운 척하며 버텼지만 3월이 되면 숨기기 어려워지고, 5년이 지났는데도 여전히 똑같다"고 했다. B씨는 "아직도 사회 전반에 천안함은 '경계에 실패한 패잔병'이라는 인식이 만연하고, 그런 인식이 지도층과 고위층에서도 상당하다"며 "'보상 얼마나 받았어' '너희는 인사이동 신경 안 써도 되잖아'와 같이 무심코 던진 말에 당사자들은 화가 많이 난다"고 했다.
 
천안함 생존 용사들은 심각한 부상으로 국가유공자로 지정된 3명을 제외하고는 국가로부터 지원금을 받지 못했다고 호국보훈협회는 밝혔다. 한 생존 용사는 "천안함을 탈출할 때 상처라도 하나 만들고 나올 것 그랬다"며 "그만큼 힘들다"고 했다.
 

지금이라도 정신적 치료를 받겠다는 병사가 50%였다. 반면 44%는 "형식적인 상부 보고를 위한 치료라 더 스트레스를 받는다" "천안함 폭침 사건을 바라보는 주위의 시선 때문에 치료를 받기 어렵다"고 했다. 이렇게 내적으로 억누르던 정신적 후유증은 시간이 지나 증폭되기도 했다. 생존 용사 C씨는 "지금도 순간순간 '욱'하고, 잠을 자는 상황에도 악몽에 시달린다"며 "엘리베이터도 혼자 타지 못하고, 언제나 방에 불을 켜고 방문을 활짝 열어놓고 잔다"고 했다. C씨는 "정신과 치료를 받게 되면 기록이 남고, 이 때문에 취직이 안 될 것 같아 두렵다"고 했다.
 

생존 용사들은 매년 돌아오는 천안함 행사 때도 '천대'받았다. 한 생존 용사는 "매번 행사 때마다 유가족분들이 1순위인 건 당연한데, 우리는 항상 높은 분들에 밀려 2순위가 아닌 구석에 몰리는 신세였다"며 "매번 행사 때마다 들러리를 선다"고 했다. 그는 "유가족들을 만나면 '왜 우리 아들은 먼저 갔는데, 너는 살아 있느냐'라는 말이 들린다"고 했다.
 

호국보훈협회 임인수 회장은 "우리 사회는 그동안 천안함 생존 58 용사에 대해 무관심했고, 냉대의 시선을 보내왔다"며 "조국의 바다를 지키기 위해 전선으로 향했던 그들이 왜 이렇게 죄인 취급을 받아야 하는지 반문해 보고, 오히려 그 자리에 있었음을 자랑스럽게 여기도록 해줄 때가 됐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생존 용사들은 이번 조사에서 "생존자 전원이 같은 함정에 다시 승조하여 임무를 완수할 수 있었으면 좋겠다"고 했다.
 

호국보훈협회의 이번 조사에는 천안함 생존 용사 중 현역(32명)도 상당수 참여했다. 협회는 이번 조사의 참가 인원과 구체적 신상에 대해 "천안함 폭침 사건을 둘러싼 우리 사회 일부의 편협성과 군사적 비밀 유지를 위해 밝힐 수 없었다"고 했다.

그러나 아쉬운건 천안함 피격 사건에 대한 국민적 관심이 낮아진 때문인지 천안함 선체 방문자가 해가 갈수록 줄고 있다고 한다.

SNS 기사보내기
뉴스프리존을 응원해주세요.

이념과 진영에서 벗어나 우리의 문제들에 대해 사실에 입각한 해법을 찾겠습니다.
더 나은 세상을 함께 만들어가요.

정기후원 하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뉴스프리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