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봉 20일만에 누적 관객 수 5천명 달성 기념 무료 초대 이벤트, 경북대 인류학과 동문회가 마련

다큐영화 '카일라스 가는 길' 포스터. 이 영화는 정형민 감독이 만 여든셋의 어머니 이춘숙 씨를 모시고 러시아 바이칼 호수부터 티베트 카일라스에 이르기까지 여행을 하면서 육로 2만㎞의 여정을 담아낸 로드무비다.
다큐영화 '카일라스 가는 길' 포스터. 이 영화는 정형민 감독이 만 여든셋의 어머니 이춘숙 씨를 모시고 러시아 바이칼 호수부터 티베트 카일라스에 이르기까지 여행을 하면서 육로 2만㎞의 여정을 담아낸 로드무비다.

[대구=뉴스프리존] 박상봉 기자 = 정형민(51) 영화감독은 지난 18일에 이어 24일에도 대구를 찾았다. 정 감독이 대구에 온 이유는 독립예술영화관 동성아트홀에서 자신이 연출한 다큐멘터리 영화 ‘카일라스 가는 길’ 상영과 관객과의 대화 때문이다.

그는 함안에서 태어나 초·중·고등학교를 마산에서 졸업했지만, 대구 경북대에 입학해 문화인류학을 전공했다. 대구가 제2의 고향인 셈이나 십수년만에 돌아왔다.

요즘 정 감독이 만든 다큐영화 ‘카일라스 가는 길’에 대한 입소문이 심상찮다. 상업성 높은 영화들도 관객 동원에 애를 먹는 코로나19라는 변수 속에서 극영화도 아닌 다큐영화가 사랑을 받기가 쉽지 않을 터인데 지난 3일 개봉된 이래 20일만에 누적 관객 수가 5500명을 넘었다.

이를 기념해 경북대 고고인류학과 동문회가 나서 무료 초대 이벤트 행사를 나흘간 대구 동성아트홀에서 진행하게 됐다.

지난 24일과 25일에는 영화 상영 및 관람 후 ‘정형민 감독과의 대화’ 시간이 마련됐다. 코로나19 감염을 염려해 카카오 오픈채팅방을 개설해 문자로 질문을 받고 정 감독이 응답하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지난 24일과 25일 대구 동성아트홀에서 '카일라스 가는 길' 영화 상영 및 관람 후 ‘정형민 감독과의 대화’ 시간이 마련됐다. 코로나19 감염을 염려해 카카오 오픈 채팅방을 개설해 문자로 질문을 받고 정 감독이 응답하는 방식으로 진행됐다./ⓒ박상봉 기자
​지난 24일과 25일 대구 동성아트홀에서 '카일라스 가는 길' 영화 상영 및 관람 후 ‘정형민 감독과의 대화’ 시간이 마련됐다. 코로나19 감염을 염려해 카카오 오픈 채팅방을 개설해 문자로 질문을 받고 정 감독이 응답하는 방식으로 진행됐다./ⓒ박상봉 기자

정 감독은 “동성아트홀은 국내 극장 중에서 최고의 영상 시스템을 자랑하는 곳으로 ‘카일라스 가는 길’의 최종 출력본의 색감과 품질을 가장 완벽하게 구현해낼 수 있는 곳이다.”고 강조했다. 영화에 입문하게 된 계기에 대해서도 입을 열었다. “카메라를 든 건 가슴 속 깊은 곳에 묻어뒀던 영화에 대한 사랑이 떠올랐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그는 비디오가 없던 초등학교 시절부터 ‘일요시네마’를 꼬박꼬박 챙겨 보았고, 중학교 시절에는 우리나라 최초 영화잡지 ‘스크린’ 애독자였으며, 고등학교 시절에는 친구랑 나중에 예술영화 전용관을 만들자는 약속을 할 정도로 단순한 영화 마니아 이상이었다고 추억했다.

또 ‘카일라스 가는 길’을 만들게 된 과정과 함께 다양한 그의 인생 이력에 대해서도 자세한 소개가 있었다.

“민족과 민족, 사람과 사람 사이에 다리를 놓아 아름다운 세상을 만드는 데 이바지하고 싶어 인류학을 선택했는데, 대학을 졸업하고 캐나다 맥마스터 대학교에서 박사과정을 밟던 중 마주한 9·11테러와 아프간 난민 사태에 충격을 받고 과감히 학위를 포기하고, 한국으로 돌아와 다큐멘터리 영화 제작과 번역작가로 활동하게 됐다”는 것이다.

영화는 지난 2017년 정 감독이 당시 만 여든셋의 어머니 이춘숙(86) 씨를 모시고 러시아 바이칼 호수부터 티베트 카일라스에 이르기까지 여행을 하면서 육로 2만㎞의 여정을 담아낸 로드무비다.

정 감독이 어머니와 순례길을 떠난 것은 처음이 아니다. 2014년 히말라야 순례, 2015년 불교왕국 무스탕 순례, 2016년 미얀마 순례, 2017년 티베트 카일라스 순례 등 여러 차례 여행을 다녀왔다. 그리고 그 여정을 다큐영화로 담아 ‘무스탕 가는 길’과 ‘카일라스 가는 길’을 만들었다는 것이다.

정 감독은 앞으로 사회에 전하고 싶은 이야기가 있다면 계속 다큐멘터리를 찍을 생각이라고 밝혔다.

그의 어머니 소원은 가장 가난한 사람들이 산다는 북인도 보드가야에 가서 쌀과 담요를 나눠주는 것이라는데 이를 위해 노령연금을 매달 모으고 있다고 한다.

“기회가 된다면 어머니의 마지막 소원을 기록하고 싶다.”고도 말했다. 또 “기회가 된다면 극영화도 한 편 정도 만들고 싶다”고 했다.

“알래스카와 북미 원주민에 대한 이야기를 다큐로 제작 중인데 베링해 건너 북미 대륙까지 가보고 싶다”는 소망도 밝혔다. 관객들에게도 “코로나 물러나면 사랑하는 사람과 가족들과 멀든 가깝든 여행을 떠나보라”고 권유했다.

정 감독의 페이스북에 보면 “히말라야의 학교에서 아이들에게 그림을 가르치며 사는 김규현 선생님의 저서 『우주의 중심, 카일라스』를 어머니 드리라고 선물로 전달받고 봉화 산골에 들어가서 전해드렸더니 어머니가 책을 읽으며 우셨다”고 이춘숙 할머니의 근황을 전하고 있다.

경북 봉화 산골마을에 사는 이춘숙 할머니가 히말라야의 학교에서 아이들에게 그림을 가르치는 김규현 선생으로부터 그의 저서『우주의 중심, 카일라스』를 선물 받고 책을 읽으며 눈시울을 적시고 있다. / 사진제공=정형민 감독
경북 봉화 산골마을에 사는 이춘숙 할머니가 히말라야의 학교에서 아이들에게 그림을 가르치는 김규현 선생으로부터 그의 저서『우주의 중심, 카일라스』를 선물 받고 책을 읽으며 눈시울을 적시고 있다./사진제공=정형민 감독

어쩌면 우리 모두는 신비를 찾아 모험을 떠나는 여행자가 아닐까 싶다.

“나는 그저 어머니의 손을 잡고 오래 걷고 싶었다.”

영화 자막으로 등장하는 그가 어머니의 손을 잡고 순례에 나선 이유에 대한 은유적 표현이 너무 감동적이라서 오래 가슴 속에 여운을 남긴다. 

대구 동성아트홀에서 ‘카일라스 가는 길’을 무료로 관람할 기회가 아직 남아 있다. 9월 28일(월) 오전 11시 상영한다.

SNS 기사보내기
뉴스프리존을 응원해주세요.

이념과 진영에서 벗어나 우리의 문제들에 대해 사실에 입각한 해법을 찾겠습니다.
더 나은 세상을 함께 만들어가요.

정기후원 하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뉴스프리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