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여(三餘)란 말이 있습니다. 세 가지 넉넉한 것이 있다는 말이지요. 그런데 세상 사람들이​ 가지고 있는 고민을 살펴보면, 무엇이 부족해서 힘든 것이 아니라 남과 비교하여 못하다는 고민이 더욱 큰 것 같습니다.

조선 중기 사재(思齋) 김정국(金正國 : 1485~1541) 선생은 비록 남보다 작은 집에 살고, 볼 품 없는 옷을 입고, 좋은 음식을 먹지는 못하였지만, 자신이 늘 넉넉하다고 생각하였습니다. ​그래서 자신을 남보다 세 가지 넉넉한 것이 있다고 석 삼(三)자에 남을 여(餘)자, ‘삼여’의 즐거움을 얘기 했다고 합니다.

첫째, 와외유여지(臥外有餘地)입니다.

‘내 한 몸 눕는 것을 제외하면 넉넉한 집이 있다.’는 뜻입니다. 비록 작은 집이지만 내 몸 뉘일 장소를 빼고도 꽤 넓은 공간이 있다는 것입니다.

둘째, 신변유여갈(身邊有餘褐)입니다.

‘내 몸에 입고 있는 옷 이외에 여벌의 옷이 있다.’는 뜻입니다. 지금 입고 있는 옷 이외에 남는 옷이 있어 행복하다는 것입니다.

​셋째, 발저유여식(鉢底有餘食)입니다.

‘지금 먹고 있는 밥 이외에 남는 음식이 있다.’는 뜻입니다. 지금 먹는 음식 이외에 먹을 음식이 더 있으니 여유가 있다는 것입니다.

이렇게 생각하면 참으로 우리는 부자입니다. 넓은 아파트가 있고, 장롱에 입지 않는 옷이 빼곡이 걸렸으며, 먹을 것이 냉장고에 그득하니 큰 부자 아닌가요? 그런데 세상엔 자신이 늘 남보다 부족하다고 생각하는 사람이 너무 많은 것 같아 안타깝습니다. 하지만 사람은 마음먹기에 달렸습니다.

지금 내가 눕고 있고, 먹고, 입는 것 이외에 여분이 있다면 늘 넉넉하고 행복할 수 있다고 생각할 수 있지 않을까요? 남들이 보면 비록 여유가 없는 것 같지만 자신은 늘 세 가지 넉넉함이 있다고 한 김정국 선생의 여유 있는 삶은 정말 대인(大人)의 심법(心法)을 가진 것 같습니다.

그리고 중국 삼국시대 위(魏)나라에 동우(董遇)라는 학식 깊은 사람이 있었습니다. 제자들이 글에 대해 물으면, “백 번을 읽으면 절로 알게 된다(讀書百編義自見)”고 답했다는 인물이지요.

제자들이 그럴 틈이 없다고 투덜대자 동우가 나무랐습니다. “시간이 없다니 무슨 말이냐. 책을 읽는 데는 삼여(三餘)만 있으면 되지 않느냐. 밤과 겨울, 그리고 비오는 날에만 읽어도 충분하다. 겨울은 한 해의 나머지이고, 밤은 하루의 나머지이며, 비오는 날은 때의 나머지 이니라.”라고 했습니다. 책을 읽자고 마음만 먹으면 언제든 글과 마주할 수 있다는 뜻이지요.

송나라 문인 소식(蘇軾)도 “갠 날에는 밭을 갈고, 비오는 날에는 책을 읽는다.”했습니다. 그리고 자투리 시간에 글을 읽는 즐거움을 가리켜 ‘이 세상을 살아가는 맛’이라고 했지요. 자투리 시간을 잘 활용하는 삶은 게으른 인생의 몇 배를 사는 셈입니다. 독서나 배움은 시간보다 마음가짐이 먼저 아닐 런지요?

사마천(司馬遷)의 《사기(史記)》 <공자세가(孔子世家)>에 나오는 ‘위편삼절(韋編三絶)’에 보면 책을 대하는 공자(孔子)의 자세를 잘 보여주고 있습니다. 공자는 말년에 주역(周易)에 심취했는데, 주역을 읽고 또 읽어 ‘책을 엮은 가죽 끈(韋編)’이 세 번이나 끊어졌다(三絶)는 고사가 있습니다.

시성(詩聖) 두보(杜甫)는 “남아수독오거서(男兒須讀五車書), 사람이라면 모름지기 다섯 수레의 책을 읽어야 한다.”고 했습니다. 프랑스 실존주의 철학자 사르트르는 “내가 새로운 세상을 알게 되었으니 그건 책에 의해서였다”고 했지요.

그렇습니다. 사람이 평생을 살면서 하루는 ‘저녁’이 여유로와야 하고, 일 년은 ‘겨울’이 여유로와야하며, 일생은 ‘노년’이 여유로와야 하는 것이 바로 ‘삼여’일 것입니다. 사람은 누구나 행복하길 원합니다. 하지만 행복의 기준은 다 다를 수 있습니다. 비록 행복의 기준은 달라도 여유로운 마음이 행복의 지름길이라는 것은 누구나 다 압니다.

젊음은 오래 머물지 않습니다. 젊음은 두 번 다시 오지 아니하며 세월은 우리를 기다려주지 않습니다. 저 역시 살아야할 날이 얼마나 남았는지 모릅니다. 하지만 항상 마음에 여유를 가지려고 무척 노력을 합니다. 살기 편한 아파트 한 채면 족하지 꼭 강남의 대형아파트에 살아야 행복한 것은 아닙니다. 옷이 너무 많아 몇 달 전에 거의 모두 헌 옷 수집하는 곳에 보냈습니다. 그리고 일년 내 입고 있는 동⸳하(冬⸳夏)한 복 한 벌이 고작입니다.

그리고 거의하루 종일토록 덕화만발 글쓰기에 몰두하고 있습니다. 단지 한 가지 안타까운 것은 몇 년 전 오른 쪽 눈이 안 보여 원불교 입교 후, 하루도 안 빼고 읽어 왔던 《원불교 전서》를 303번 까지 읽고 더 이상 계속하지 못한 것이 못내 아쉬운 것입니다.

우리네 삶에 남과 비교하지 않으면 꽤나 여유 있는 삶이라 할 수 있습니다. 이제 우리 마음에 여유를 가지고 ‘삼여’의 즐거움에 빠져 보면 어떨 까요!

단기 4353년, 불기 2564년, 서기 2020년, 원기 105년 12월 15일

덕 산 김 덕 권(길호) 합장

키워드
#삼여(三餘)
SNS 기사보내기
뉴스프리존을 응원해주세요.

이념과 진영에서 벗어나 우리의 문제들에 대해 사실에 입각한 해법을 찾겠습니다.
더 나은 세상을 함께 만들어가요.

정기후원 하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뉴스프리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