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설이 타령을 많이 들어 보셨는지요? 그러나 각설이타령에 이런 뜻이 있는 것은 자세히 알지 못하고 들었을 것입니다. ‘각설이’를 한문으로 쓰면 ‘각설이(覺說理)’가 됩니다. 각설이의 각(覺)은 ‘깨달을 각(覺)자 이고, 설(說)은 ’말씀 설(說)‘이며, 이(理)는 ’이치 리(理)‘자이지요.

이를 풀이하면 ‘깨달음을 전하는 말로서 이치를 알려 준다’는 뜻이 됩니다. 한마디로 깨치지 못한 민중들에게 세상이치를 알려준다는 뜻이라는 이야기입니다. 이 말의 원조(元祖)는 아마 신라의 원효대사로 보고 있는 것 같습니다. 원효대사가 한때 부처님의 진리를 설파하기 위해 중생들이 알기 쉽도록 바가지를 치며 민중 속에 들어가 법문(法門)을 노래하며 교화한 적이 있었기 때문입니다.

각설이 타령은 ‘얼씨구’로 시작됩니다. 여기서 얼씨구는 ‘얼의 씨’를 구한다는 의미라 합니다. “얼씨구씨구 들어간다.”는 얼의 씨가 몸 안에 들어간다는 뜻입니다. “저얼씨구씨구 들어간다.”이 또한 저 얼의 씨도 몸 안으로 들어간다는 뜻이고요. “작년에 왔던 각설이 죽지도 않고 또 왔네.”는 ‘전생에 깨달았던 영(靈)은 죽지 않고 이생에 다시 태어난다.’ 라는 뜻이지요.

“이놈의 자식이 이래 봐도 정승판서의 자제로서 ~ ”는 이생에서는 이 모양 이 꼴이지만 전생에는 정승판서의 아들 이었다는 전생 론을 말하고 있음 이지요. ‘영(靈)은 돌고 돌아 다시 태어나는데 살아생전에 덕(德)을 쌓지 않으면 다음 생에 이 꼴이 되기 쉬우니 이 사실을 잘 알아라.’ 따라서 각설이는 영(靈)의 윤회(輪廻)를 노래한 선각자들의 민중문화 운동이었음을 알 수 있습니다.

그리고 흥이 날 때 누구나 하는 소리로 ‘얼씨구절씨구’.라는 용어를 씁니다. 이 말의 어원도 살펴봅니다. 우리나라는 역사상 900여회나 되는 외세침략을 받았습니다. 한번 전쟁을 치르고 나면 전쟁에 나간 남자들은 거의 씨가 말라버릴 정도로 많이 죽을 수밖에 없었을 것입니다.

그러다 보니 졸지에 과부가 된 여자들과 과년한 처녀들은 시집도 못가고 아이를 낳고 싶어도 낳을 수가 없었습니다. 어디를 간다 해도 쉽게 씨를 받기가 어려웠던 것입니다. 그래서 한이 맺혀 하는 소리가 바로 “얼씨구절씨구 지하자졸씨구”이었지요.

그 말뜻의 한자 원문을 풀이해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얼씨구(孼氏求)란, 우리나라의 가족사에 서얼(庶孼)이란 말이 있습니다. 서자(庶子)와 얼자(孼子)를 합친 말이지요. 서자(庶子)는 양반의 남자가 양가나 중인의 여자를 소실로 얻어 낳은 자식을 말하며, 얼자(孼子)란 천민의 여자로부터 얻은 자식을 말합니다. 그러니 천대받는 서얼(庶孼)의 씨라도 구한다는 의미가 되는 것입니다.

그리고 ‘지하자졸씨구(至下子卒氏救)’는 세상에서 가장 바닥 생활을 하던 자로 어딘가 모자라고 신체적으로 불구(至下子)인 이들은 전쟁터에 나가는 최하위 졸병들의 수발을 들며 허드레 막일을 하던 사람들이었습니다. 한마디로 모자라고 불구자인 졸병의 씨라도 구한다는 의미라고 합니다.

우리는 각설이 타령에 이런 가슴 아픈 의미가 숨어 있는지도 모르고, 그저 각설이 타령은 거지들이 구걸하는 모습으로만 알고 있었습니다. 실로 안타깝기 그지없습니다. 더 나아가 술자리에서 건배를 하며 태평성대를 즐기는 듯, ‘얼씨구절씨구 지하자 좋다’하면서 술을 마시고 춤을 추고 있었으니, 이 일을 어찌하면 좋을 런지요?

이제라도 이러한 슬픈 역사와 각설이 타령에 숨어있는 비애(悲哀)를 가슴깊이 새기고, 다시는 이런 일이 없도록 부강한 나라, 강력한 나라를 만들어 평화를 만들어 가는 것이 우리들의 사명인 것입니다.

또한 <각설이타령>과 <장타령>은 각설이패와 장타령꾼이 다르듯 각기 다른 노래입니다. 각설이는 ‘거지’나 ‘동냥아치’로 불리는 걸인과 구별되고, 음악을 활용한다는 점에서 풍각쟁이, 초라니 패, 광대, 걸립패, 남사당, 사당패 등과 일면 유사한 점이 있습니다. <각설이타령>이 겉으로 보여주는 해학(諧謔) 이면에는 유랑(流浪)의 괴로움과 사회적 불평등에 항거하는 분노가 서려 있습니다.

구전 장타령(품바/각설이타령) 가사입니다.

「얼시구 시구 들어간다. 절시구 시구 들어간다./ 작년에 왔던 각설이가 죽지도 않고 또 왔네./ 요놈의 소리가 요래도 천냥 주고 배운 소리/ 한 푼 벌기가 땀난다./ 품! 품바가 잘한다./ 네 선생이 누군지 남보다도 잘한다./ 시전 서전 읽었는지 유식하게도 잘한다./ 논어 맹자 읽었는지 대문대문 잘한다./ 냉수동이나 먹었는지 시원시원이 잘한다./ 뜨물통이나 먹었는지 걸직걸직 잘한다./ 기름통이나 먹었는지 미끈미끈 잘한다.」

우리는 이러한 슬픈 역사와 각설이 타령에 숨어있는 비애(悲哀)를 가슴깊이 새겨야 합니다. 하지만, 각설이타령은 <불생불멸의 진리> <인과응보의 진리>를 모두 다 깨달을 수 있게 진리를 전파하는 소리로 들으면 얼마나 좋을 까요!

단기 4354년, 불기 2565년, 서기 2021년, 원기 106년 1월 8일

덕 산 김 덕 권(길호) 합장

SNS 기사보내기
뉴스프리존을 응원해주세요.

이념과 진영에서 벗어나 우리의 문제들에 대해 사실에 입각한 해법을 찾겠습니다.
더 나은 세상을 함께 만들어가요.

정기후원 하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뉴스프리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