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G신진작가 대상 김동진 작가 인터뷰②] 신진작가들의 현실과 공모전

코로나19 확산 피해는 전방위적이다. 언택트를 기반으로 한 분야는 오히려 수혜를 본 곳도 있지만, 이는 제한적이고, 대부분 각 개인들은 일상생활에서의 불편함을 공유해야 했다. 피해를 가장 크게 입은 분야 중 하나가 예술 분야다. 특히 이제 막 싹을 띄워야 하는 신진 작가들의 경우 막막한 현실을 호소하고 있다. 이에 뉴스프리존에서는 '안국약품 갤러리AG 신진작가 공모전' 1회(2018년) 대상 수상자인 김동진 작가를 만나 작품에 대한 이야기를 들어보고, 신진작가로서의 어려움, 기업 신진작가 공모전에 대한 생각을 들어보았다. 인터뷰는 코로나19 상황을 감안, 주변사람들이 없는 넓은 공간에서 마스크를 착용한 상태로 진행됐다. [편집자 주]

①"사회비판 작업에서 자기고백에 이르기까지“
- 수상작에 대한 뒷 이야기

②"안국약품 공모전 대상, 작가로 걸어갈 힘 됐다“
- 신진작가들의 현실과 공모전

[서울=뉴스프리존]이동근 기자=김동진 작가와 같은 신진작가에게 현실은 녹녹하지 않다. 작품이 '팔리는' 위치에 이르기까지 많은 고민과 어려움을 헤쳐나가야 한다. 이같은 상황에 대해 그는 "나는 비교적 운이 좋았다"고 표현했다.

"저 같은 경우 작년에 코로나가 심각해지면서 수익 창출이 끊기기도 하는 등 어려웠지만, 운 좋게 전시 기회가 많았다. 이 시기에 작업적인 발전을 도모해 보려고 평소 했던 작업의 두 세배를 했다. 하지만 금전적인 어려운 상황에 몰렸다. 다른 사람 일할 때 그림을 그리고, 다른 사람들 잘 때 그림 그리고 했는데, 결국 나에게 남은 것은 허탈함이었다. 그런 것이 심해지니까 '이런 것도 조절하면서 해야겠구나'라는 생각이 들었고, '이것을 어떻게 영리하게 보여줘야 할까' 하는 고민에 놓이게 됐다. 저도 힘들지만 다른 사람들도 다 힘드니까.“

김동진 작가 /ⓒ뉴스프리존
김동진 작가 /ⓒ뉴스프리존

 

공모전은 작가에게 원동력이 된다

그에게 지난해 코로나19는 어떤 영향을 미쳤을까. 오히려 그는 덤덤했다.

"코로나 때문에 다 힘들다고 했는데, 사실 힘든 건 크게 못 느끼겠다. 코로나 이전이나 이후는 비슷하다. 전시의 형태를 보여줄 수 있는 시스템이 부족하다 뿐이지. 신진작가들의 현재는 다 비슷한 것 같다. 금전이 부족하기 때문에 그것을 감당하면서 작업을 하기에도 버거운 시기다. 스스로의 작업도 발전시켜야 하고, 현실적인 문제도 해결해야 하기 때문에. 신진작가들은 일단 방법 자체를 몸으로 부딛히면서 해나가야 하니까, 그러면서 작업을 포기하는 작가들도 있을 것이고, 감사하게도 저처럼 기회를 부여받아서 보여줄 수도 있는 것이고."

이어 그는 신진작가들을 위한 기업들의 지원을 언급했다. 현실적으로 신진작가들에게 공모모전이 필요한데, 이 때 기업들의 역할이 중요하다는 것이다.

"안국약품 공모전 같은 것이 많이 생기는 것이 신진작가들에게는 정말 좋은 기회다. 기업들이 더 신진 작가들에게 주목을 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신진작가들이 점점 성장해 나가면서 한국 미술계에서 파이를 넓힐 수 있기 때문에 발굴하는 측면이 더 맞다고 생각한다. 그러려면 주목도가 높은 전시회가 열리면 좋은데, 그게 적절한 케이스가 기업에서 주최하는 전시시스템이 될 수 있다.

기업 입장에서는 신진작가전 상금이 적지는 않지만, 기회비용으로만 따지면 큰 돈이 아닐 수 있다. 제가 안국약품 대상을 받았을 때 정말 힘들 때였다. 너무 힘들어서 주기적으로 일할 수 있는 직업을 구하고, 작업은 조금 여유가 생기면 해야 하나 고민하던 시기에 이 공모전에서 상을 받았다. 그게. 작가들을 움직이게 만드는 힘이 된다. 엄청난, 금전적인 보상이 먼저가 아니라 '좋은 방향으로 발전되고 있구나'라는 걸 보여주는 어떤 척도가 되기 때문이다. (저는) 이 공모전에서 당선 됐을 때, 대상을 받아서 좋은 것도 있지만, 바닥나 했던 원동력이 다시 채워졌다는 느낌을 받았다.

무조건 기업에서 돈을 써라 이게 아니라 상대적인 기회비용으로 따지면 작가한테는 엄청나게 큰 힘이 되고 원동력이 될 수 있는 것들이 기업 일정에서는 적은 비용의 투자로 효율성을 극대화 시킬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한다"

순간의 방치와 가중된 무게의 인과관계, 193.9 x 260.4㎝, oil on canvas, 2019 /ⓒ김동진
순간의 방치와 가중된 무게의 인과관계
193.9 x 260.4㎝, oil on canvas, 2019 /ⓒ김동진

 

우리의 필연은 우연에서 비롯되고, 너와 나의 절망은 희망에서 시작되었다 182.0 X 233.6㎝ oil on canvas 2020 /ⓒ김동진
우리의 필연은 우연에서 비롯되고, 너와 나의 절망은 희망에서 시작되었다
182.0 X 233.6㎝, oil on canvas, 2020 /ⓒ김동진

더 나아가 그는 기업들의 지원 방향이 순수예술의 대중화를 위해 고민해야 하는 시점이라고도 설명했다. 예술, 특히 신진작가들과 대중의 접점이 돼 주었으면 하는 바람이었다.

"경쟁사회가 심해지면서 미술에 대한 보편적 대중화는 많이 이뤄졌다고 생각한다. 유튜브도 있고, 그만큼 대중들의 보편적인 관심도는 높아졌다고 생각한다. 그렇다면 순수미술을 하는 입장에서 고급미술로 벽을 세우는 것이 아니라 대중적인 시선으로 끌고 들이기 위해서는 뭔가 대중적으로 노출이 조금 더 용이한 곳에서 그런 전시 기회를 부여해 주면 문화의 폭이나 양이나 가치가 조금 더 크게 형성되지 않을까 생각한다.

사실상 전시가 이루어지는 데는 엄청 많다. 그런데 아는 사람만 알게 돼 있는 구조인 것 같다. 언론 노출의 영향도 있고, 대중들의 관심도, 제가 겪어본 사람들은 어려워한다는 인식이 느껴진다. 어려워도 궁금증을 갖고 물어볼 수 있고, 그냥 자기가 보고 듣고 느끼는 대로 판단을 하는 게 예술인데, 무슨 지식이 있어야 하지만 접근할 수 있는 것처럼 인식이 쌓여져 있다. 그렇지만 저는 한 명이라도 더 봐주기를 원하고 한명이라도 더 물어봐주길 원하는데, 사람들이 봐주지 못하니까 신진 작가들 입장에서는 그림을 보게 만들까. 항상 가장 큰 고민인 것 같다.

(신진작가들의 그림이 대중과 만나기 위해서는) 전체적인 인식 수준이 올라야 하는데. (예술계와 대중) 어느 한 쪽만 확 올라간다고 되는 건 아닌 것 같다. 작가들도 작가 나름대로 대중적인 인식을 바꿔나가야 하고, 거기에 맞춰서 또 갤러리나 기업이나 사회 시스템은 어떻게 그걸 받아서 장을 만들어줄 것이냐, 신진작가들을 어떻게 조망할 것이냐, 어떻게 대중에 어필해야 할 것이냐 이런 것도 굉장히 고민해볼 지점이다."

마지막으로 그에게 앞으로의 행보를 물었다. 우선 그의 작품은 포스코그룹 포스코 미술관에서 진행하는 공모전에서 볼 수 있을 것 같다. 2월 1일부터 진행되는 공모전에 1차 합격했고, 현재 2차 실물심사에 들어간 상태라고.

그는 인터뷰의 마지막에 "신진작가의 가능성을 믿어주었으면 좋겠다"며 "현실에 치여 작업을 묻는 이들이 많다. 가능성이 닫혀져 버린 것이다. 신진작가들이 희망을 갖고 작업할 수 있는 생태계가 형성 됐으면 좋겠다. 그러려면 편견이 줄어야 할 것이고, 예술을 대하는 태도가 좀 더 열려있는 마음으로 접근해야 되지 않을까 생각 한다"고 말했다.

SNS 기사보내기
뉴스프리존을 응원해주세요.

이념과 진영에서 벗어나 우리의 문제들에 대해 사실에 입각한 해법을 찾겠습니다.
더 나은 세상을 함께 만들어가요.

정기후원 하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뉴스프리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