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살아가는 세상은 정말 기적(奇蹟)인 것 같습니다. 하루하루가 살얼음판입니다. 불꽃같은 삶을 살다가 2009년 만 56세를 일기로 세상을 떠난 고 장영희 교수의 유작인 <내가 살아보니까>를 읽어 보니 무척 감명을 주어 요약 정리해 널리 알립니다.

1952년생인 그녀는 생후 1년 만에 두 다리를 쓰지 못하는 소아마비에 걸려서 평생 비장애인들의 차별과 싸워야 했습니다. 입학시험조차 보지 못하게 하는 대학들의 차별 벽에 막힌 그녀를 위해, 부친이신 고 장왕록 서울대 영문과 명예교수께서 던진 질문에, 서강대 영문학과 학과장 ‘브루닉’ 신부(神父)님은 이런 답변을 했습니다.

“무슨 그런 이상한 질문이 있습니까? 시험을 머리로 보는 것이지, 다리로 보나요? 장애인이라고 해서 시험보지 말라는 법이 어디 있습니까?” 서강대에서 학사, 석사 과정을 마친 그녀에게 국내 대학들은 다시 한 번 박사과정 입학 허가를 꺼렸습니다. 그녀는 결국 미국으로 건너가 1985년 뉴욕 주립대학에서 영문학 박사를 취득합니다.

그 해 귀국한 그녀는 세상을 떠날 때까지 24년 간 모교인 서강대학교의 영문학과 교수로 재직했습니다. 안타깝게도 그녀의 시련은 장애인으로서의 생활에 그치지 않았습니다. 2001년에는 유방암, 2004년에는 척추 암이 그녀를 엄습했습니다. 굳은 의지로 이를 모두 이겨낸 그녀는 2008년 다시 찾아온 간암을 끝내 극복하지 못하고 2009년 5월, 생을 마감했습니다.

독실한 가톨릭 신자인 장영희 교수는 자신을 걱정하는 사람들에게 “하느님은 다시 일어서는 법을 가르치기 위해 넘어뜨린다고 나는 믿는다.” 라는 믿음으로 투병의 와중에도 희망을 버리지 않으면서 여러 권의 책을 냈습니다. 그 중의 하나가 <내가 살아보니까>입니다.

1. 내가 살아보니까, 사람들은 남의 삶에 그다지 관심이 많지 않다. 그래서 남을 쳐다볼 때는 부러워서든, 불쌍해서든 그저 호기심이나 구경 차원을 넘지 않더라.

2. 내가 살아보니까, 정말이지 명품 핸드백을 들고 다니든, 비닐봉지를 들고 다니든 중요한 것은 그 내용물이더라.

3. 내가 살아보니까, 남들의 가치 기준에 따라 내 목표를 세우는 것이 얼마나 어리석고, 나를 남과 비교하는 것이 얼마나 시간 낭비이며, 그렇게 함으로써 내 가치를 깍아 내리는 것이 바보 같은 짓인 줄 알겠더라.

4. 내가 살아보니까, 결국 중요한 것은 껍데기가 아니고 알맹이더라. 겉모습이 아니라 마음이더라. 예쁘고 잘 생긴 사람은 TV에서 보거나 거리에서 구경하면 되고, 내 실속 차리는 것이 더 중요하더라. 재미있게 공부해서 실력 쌓고, 진지하게 놀아서 경험 쌓고, 진정으로 남을 대해 덕을 쌓는 것이 결국 내 실속이더라.

5. 내가 살아보니까, 내가 주는 친절과 사랑은 밑지는 적이 없더라. 소중한 사람을 만나는 것은 한 시간이 걸리고, 그를 사랑하게 되는 것은 하루가 걸리지만, 그를 잊어버리는 것은 평생이 걸린다는 말이더라.

6. 내가 살아보니까, 남의 마음속에 좋은 추억으로 남는 것만큼 보장된 투자는 없더라. 우리 나이면 꽤 많이 살아 본거지? 이제 우리 나이면 무엇이 소중하고 무엇이 허망함인지 구분할 줄 아는 나이더라.

어떻습니까? 우리 진실로 소중한 게 무엇인지 마음 깊이 깨달아 지는 나이 아닌가요? 얼마 남지 않은 시간동안 서로 서로 보듬어 안아주고, 마음깊이 위로하며, 공감하고 더불어 같이 지낼 수 있는 인간의 소중함을 깨우쳐 주는 명저(名著)인 것 같습니다.

우리 책을 읽읍시다. 독서야 말로 저자의 경험과 깨달음을 내 것으로 만들어 인생의 폭을 넓히고, 우리의 인생을 고품격으로 이끄는 첩경입니다. 홍대용(洪大容 : 1731~1783)의 <이의역지(以意逆志) 독서법>이란 것이 있습니다. 독서의 바른 태도와 방법을 쓴 글이지요. 홍대용의 독서에 대해 쓴 글을 보면 올바른 독서법을 잘 알 수 있을 것 같습니다.

홍대용, 『여매헌서(與梅軒書)』에 이런 말이 나옵니다.

「의(意)는 ‘내 뜻’, 지(志)는 객관적인 남의 뜻이다. 이의역지(以意逆志)는 읽는 주체가 책에서 글쓴이의 뜻을 마중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책 속에는 글쓴이의 생각이 담겨있다. 그것을 읽고 생각하는 것은 나다.

나와 글쓴이 사이에는 시간과 공간의 큰 단절이 놓여 있다. 아전인수 격으로 내 멋대로 생각하면 자칫 엉뚱한 샛길로 빠져 길 잃고 헤맨다. 나와 너, 지금과 옛날 사이에 소통의 경로를 뚫어야 한다.」

홍대용의 ‘이의역지’의 말이 바로 옳은 독서법인 것 같습니다. 저 역시 지금까지 13권의 책을 냈습니다. 어찌 그런 성현이나 장영희 교수 같은 정도의 명저이겠습니까? 그러나 저의 혼(魂)을 실은 책임은 분명합니다. 10월은 독서의 계절입니다. 우리 이 가을에 명저 하나씩을 골라 독파 해 보면 이 가을이 한 층 풍요하지 않을 까요!

단기 4354년, 불기 2565년, 서기 2021년, 원기 106년 10월 29일

덕 산 김 덕 권(길호) 합장

SNS 기사보내기
뉴스프리존을 응원해주세요.

이념과 진영에서 벗어나 우리의 문제들에 대해 사실에 입각한 해법을 찾겠습니다.
더 나은 세상을 함께 만들어가요.

정기후원 하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뉴스프리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