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뉴스프리존]김예원 기자=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상으로 보험사들의 재무 건전성 지표가 급락해 정상적인 경영에 적신호가 켜졌다.

은행들이 예·적금 금리를 올렸지만, 26일 보험업계에 따르면 올해 1분기 실적을 공시한 보험사들의 지급여력(RBC) 비율은 전분기보다 17.1~67.1%포인트 낮아졌다.

실 그동안 가파르게 올랐던 대출금리 상승폭은 이보다 훨씬 큰 상황으로 KB금융지주 계열 푸르덴셜생명의 올해 1분기 말 RBC 비율은 280.7%로 전 분기 말보다 61.7%포인트 추락했다.

또한, 신한라이프는 RBC 비율이 지난해 4분기 말 284.6%에서 올해 1분기 말 255.0%로 29.6%포인트 떨어졌고, 하나생명도 이 기간 200.4%에서 171.1%로 29.3% 하락했다.

국내 2,3위를 다투는 KB손해보험은 179.4%에서 162.3%로 악화해, 금융당국의 권고 수준인 '150% 이상'에 근접했다.

그 뿐 아니라 가계대출까지 꽉 막힌 상황이라 금융소비자들의 걱정이 더해지고 있다.

요구자본 대비 가용자본의 비율을 뜻하는 RBC 비율은 보험회사 재무 건전성을 보여주는 지표로 보험업법에서 100% 이상을 유지토록 규정하고 있다. 금융당국은 150% 이상을 권고한다.

기준금리가 오르고. 시장금리가 오르기 때문에 금리가 소비자가 느끼는 체감은 더 가파르게 오르고 있다고 보고 3개월 만에 각 보험사의 RBC 비율이 급격히 악화한 것은 금리 인상에 따라 매도가능증권으로 분류된 채권의 평가이익이 감소한 탓이다.

보험사의 채권 계정 분류 현황에 따라 차이는 있지만, 장기 국고채 금리가 10bp(1bp=0.01%포인트) 오르면 RBC 비율이 1~5%포인트 하락한다는 것이 증권가의 전망이다.

국채 10년물 금리가 작년 말 2.25%에서 3월 말 2.97%로 상승한 것을 고려하면 올해 1분기 말 RBC 비율이 보험사에 따라 크게는 30%포인트 넘게 빠졌을 것으로 예상된 바 있다.

작년 말 기준으로 150%에 미달한 보험사는 최근 부실 금융기관으로 지정된 MG손해보험이 유일했으나 현재까지 공개된 RBC 비율 동향을 보면 권고 수준을 충족하지 못하는 보험사들이 더 나올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한편 RBC 비율 방어와 내년 새 자본규제 대응을 위해 각 보험사는 연초부터 채권 재분류, 후순위채 발행, 신종자본증권 발행, 유상증자 등으로 자본확충을 서두르고 있다.

3월 이후 메리츠화재[000060], DGB생명, 한화생명[088350], 한화손해보험[000370], NH농협생명, 흥국생명 등이 신종자본증권 또는 후순위채를 발행하거나 발행 계획을 발표했다.

NH농협생명과 DGB생명은 각각 6천억원과 300억원 규모로 유상증자를 단행했다.

한편, 금융당국은 가계부채 증가 속도를 줄이기 위한 조치를 서두르고 있는 가운데 2분기 말 현재 가계신용 잔액은 1,805조 9천억 원으로 1분기 말에 비해 41조 2천억 원, 2.3% 늘어나 또 다시 사상 최대를 기록했다고 한국은행이 밝혔다.

이 수치는 통계 작성이 시작된 2003년 이래 가장 많은 수치이다.

가계신용이란 가계가 은행이나 보험사, 대부업체 등에서 받은 대출에 결제 전 카드 사용금액인 판매신용까지 더한 포괄적 가계부채를 의미한다.

가계신용을 두 부분으로 나눠 보면 가계대출이 1,705조 3천억 원에 판매신용이 100조 6천억 원에 달했다.

SNS 기사보내기
뉴스프리존을 응원해주세요.

이념과 진영에서 벗어나 우리의 문제들에 대해 사실에 입각한 해법을 찾겠습니다.
더 나은 세상을 함께 만들어가요.

정기후원 하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뉴스프리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