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전 독점시장 완화하면, 신생기업 많이 만들어져", '전력시장' 재벌에게 개방 예고?

[서울=뉴스프리존] 고승은 기자 = 대통령직 인수위원회가 한국전력의 독점 전력시장을 민간에게 개방하겠다는 발표를 하며 큰 파장이 일고 있다. 즉 사실상의 '전기 민영화'를 예고한 것이나 다름없어서다. 인수위 측은 "한전의 전력 민영화 여부를 논의한 적이 없다"고 해명에 나섰지만, 발표 내용엔 '한전의 독점 시장 완화 및 신생기업 출현 기대'가 포함돼 있어 분명 민영화를 뜻하는 것이다.

인수위 경제2분과는 28일 서울 종로구 통의동 기자회견장에서 브리핑을 갖고 △실현 가능한 탄소중립과 에너지 믹스 △시장기반 수요 효율화 △신성장 동력으로서 에너지산업 △튼튼한 자원안보 △따뜻한 에너지전환 등 등 ‘에너지정책 정상화를 위한 5대 정책방향’을 발표했다.

대통령직 인수위원회가 한국전력의 독점 전력시장을 민간에게 개방하겠다는 발표를 하며 큰 파장이 일고 있다. 즉 사실상의 '전기 민영화'를 예고한 것이나 다름없어서다. 인수위 측은 "한전의 전력 민영화 여부를 논의한 적이 없다"고 해명에 나섰지만, 발표 내용엔 '한전의 독점 시장 완화 및 신생기업 출현 기대'가 포함돼 있어 분명 민영화를 뜻하는 것이라서다. 사진=연합뉴스
대통령직 인수위원회가 한국전력의 독점 전력시장을 민간에게 개방하겠다는 발표를 하며 큰 파장이 일고 있다. 즉 사실상의 '전기 민영화'를 예고한 것이나 다름없어서다. 인수위 측은 "한전의 전력 민영화 여부를 논의한 적이 없다"고 해명에 나섰지만, 발표 내용엔 '한전의 독점 시장 완화 및 신생기업 출현 기대'가 포함돼 있어 분명 민영화를 뜻하는 것이라서다. 사진=연합뉴스

이 중에서 '시장기반 수요 효율화' 부분이 문제가 됐다. 인수위는 한전이 대규모 적자를 떠안고 있다는 점을 짚으며 잘못된 전기가격 정책 관행 때문이라고 짚었다. 박주헌 인수위 경제2분과 전문위원(동덕여대 경제학과 교수)은 “지난해 한전이 5조9천억원의 적자를 냈고, 올 1분기에도 비슷한 수준의 적자를 낼 것으로 알려졌다”며 “이는 잘못된 전기가격 정책 관행에서 비롯됐다”고 지적했다.

박주헌 전문위원은 “전기요금은 올해 1월 올렸어야 하는데 대선 뒤로 미뤄졌고, (kWh당) 4.9원 인상될 예상된 스케줄이 있다”며 “하반기 국제 에너지 시장 가격을 살펴서 가격이 결정될 것이고, 지금까지의 관행이 아닌 원가주의에 따라 잘 결정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박주헌 전문위원은 특히 한전의 전력 독점 판매 구조를 점진적으로 개방하겠다고 공언했다. 그는 “선진국은 벤처 에너지 관리 기업들이 에너지 관리를 하지만 우리나라 전력시장 구조는 (한전) 독점적”이라며 “PPA(전력구매계약) 허용 범위를 확대해 독점 시장을 완화하면, 신생 기업이 많이 만들어질 것으로 기대한다”고 전망했다.

한전이 전력거래소를 통해 발전사로부터 전력을 구입한 뒤 독립적으로 판매하던 구조를 바꾸겠다는 것으로, 제도가 변경되면 민간 발전사업자가 수요자와 직접 계약을 맺고 공급해지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전력 판매가 한전 독점이 아닌 민간에까지 개방된다면 전기요금 대폭 상승으로 이어질 것은 당연하다.

어떻게든 수익을 내야 할 민간기업이 공기업인 한전처럼 낮은 값에 전기를 판매할 이유가 없어서다. 민간에 전력공급을 맡긴다는 것이 바로 '민영화'라는 것이다. 특히 이같은 사업엔 자본이 많은 재벌그룹이 참여할 것이 분명해, 재벌에게만 큰 혜택이 돌아갈 가능성이 높다. 실제 공공 영역이 민간 영역으로 들어가서 가격이 급등한 사례는 수도 없이 찾아볼 수 있다. 

어떻게든 수익을 내야 할 민간기업이 공기업인 한국전력처럼 낮은 값에 전기를 판매할 이유가 없어서다. 민간에 전력공급을 맡긴다는 것이 바로 '민영화'라는 것이다. 특히 이같은 사업엔 자본이 많은 재벌그룹이 참여할 것이 분명해, 재벌에게만 큰 혜택이 돌아갈 가능성이 높다. 실제 공공 영역이 민간 영역으로 들어가서 가격이 급등한 사례는 수도 없이 찾아볼 수 있다. 사진=연합뉴스
어떻게든 수익을 내야 할 민간기업이 공기업인 한국전력처럼 낮은 값에 전기를 판매할 이유가 없어서다. 민간에 전력공급을 맡긴다는 것이 바로 '민영화'라는 것이다. 특히 이같은 사업엔 자본이 많은 재벌그룹이 참여할 것이 분명해, 재벌에게만 큰 혜택이 돌아갈 가능성이 높다. 실제 공공 영역이 민간 영역으로 들어가서 가격이 급등한 사례는 수도 없이 찾아볼 수 있다. 사진=연합뉴스

특히 전기나 의료, 수도, 철도 등 우리 삶의 필수 영역에서 만약 민영화가 시작될 경우 이는 되돌리기가 사실상 불가능하며, 값은 천정부지로 치솟아 시민들은 말할 수 없는 고통을 겪게 된다. 반대로 민간업자는 천문학적 이익을 손쉽게 챙겨가는 것이다. 

인수위 측은 이같은 '전기 민영화' 논란에 29일 "인수위는 한전의 민영화 여부를 논의한 적 없다"며 "한전의 독점적 전력 판매시장에 변화가 필요하다는 것이 민영화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새롭고 다양한 전력 서비스 사업자가 등장하는 것이 필요하기에 전력 시장이 경쟁적 시장 구조로 바뀌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의미"라고 해명했다. 

그러나 새롭고 다양한 사업자를 등장시켜 경쟁적 시장 구조로 간다는 것이 결국 '민영화'라는 것이다. 즉 '다양한 사업자'가 분명 공기업은 아니라서다. 즉 '민영화'에 대한 뜻을 서술해 놓고는 '민영화가 아니다'라고 강변하는 셈이다.

한전의 적자가 마치 가정용 전기요금이 낮아서라는 시각이 있으나, 우리나라 전체 전기 소비량의 10%대 초중반만 가정용이며, 50% 이상은 '산업용'이고 30% 이상은 '상업용'이다. 또 이 중 가정용 전기에만 '누진제'가 여전히 50년째 적용 중에 있어 전기를 많이 쓰는 여름철이나 겨울철에는 '요금 폭탄' 맞는 일이 여전히 흔해, 시민들에게 책임을 전가해선 안 된다는 것이다. 

관련기사
SNS 기사보내기
뉴스프리존을 응원해주세요.

이념과 진영에서 벗어나 우리의 문제들에 대해 사실에 입각한 해법을 찾겠습니다.
더 나은 세상을 함께 만들어가요.

정기후원 하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뉴스프리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