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양 유한우 군수 탈당 이어 지지자들 속속 탈당..탈당인원 1000여명에 이를 듯
국힘 경선 탈락 후보와 지자자들...더불어민주당 이상천 후보 지지 현실로
[선거분석 =뉴스프리존] 박종철 기획취재본부장= 6.1 지방선거 국민의힘 제천·단양 단체장 선거는 끝내 '원팀'을 꾸리지 못하고 '자중지란(自中之亂)에 빠져든 형국이다.
국민의힘 제천선거본부는 김영환 도지사 후보를 비롯해 김창규 제천시장 후보 및 기초의원 들의 결속을 내세우며 '원팀' 구성을 공표하고 있지만 '원팀'의 뜻을 오해하고 있는 듯 하다. 아니 어쩌면 그렇게라도 '원팀'이 구성됐다는 점을 유권자들에게 보여주고 싶은 건지도 모르겠다.

'원팀'은 어떤 조건에서든 끈끈하게 뭉칠 수 있는 팀, 즉 하나의 요소가 될 수 없는 요소가 많은데 하나로 움직인다는 의미로 정치에서의 '원팀'은 각 후보들이 치열하게 노력해서 결과에 승복하고 패자는 승자의 당선을 위해 본인이 가진 모든 것을 헌신하는 것을 의미한다.
비근한 예로 지난 대선 때 국민의힘 경선에서 탈락한 홍준표 후보, 유승민 후보가 윤석렬 후보를 지지한다든가, 더불어민주당 경선에서 탈락한 이낙연 후보가 이재명 후보를 지지하고 경선에서 승리한 후보의 당선을 위해 본인과 그 지지자들이 헌신하는 것 등을 진정한 '원팀' 구성이라 할 수 있다. 물론 이 '원팀'은 진정한 의미에서의 원팀과는 다소 거리가 있었지만 말이다.
정치에서 '원팀' 구성은 경선에서 패비한 후보나 지지자들의 이탈을 막고 '역선택'의 치명적 후유증을 방지하는 한편, 본선 경쟁력을 극대화 할수 있는 폭발적인 잠재력을 갖고 있기 때문에 '원팀' 구성 여부가 승패를 결정 짓는 요인이 되기도 한다.
지난 제7회 지방선거 당시 더불어민주당 부산 남구청장 선거에 출마한 후보자들이 경선에 앞서 '공동협약서'를 통해 '내가 당선되는 것보다 '우리'의 승리를 위해 함께 하겠다'는 약속은 '원팀' 구성의 좋은 모범 사례라 할 수 있다. 이 공동협약은 경선과정에서 상호 비방을 자제하고, 공정한 경쟁과 공동의 정책개발을 하고 경선 이후에도 경선에서 승리한 후보자를 '원팀'이 되어 적극 지지하겠다는 뜻을 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