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기의 사랑이란 보통 서양의 왕이나 귀족의 사랑 이야기를 꼽습니다. 그러나 저는 꼭 왕실이나 귀족들의 사랑만 세기의 사랑을 하는 것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우리 모두 세기의 사랑을 할 수 있다는 얘기이지요.

저는 지금의 길상사(吉祥寺)를 희사한 ‘자야(子夜)의 순정(純情)’도 세기의 사랑이 아닐까 생각을 해 보았습니다. ‘자야(子夜 ; 金 英韓(1916~1999)’은 원한의 38 선을 넘어 함경남도 함흥에서 여자 몸으로 서울로 피난 온 기생입니다.

그녀는 당시 대한민국 3대 고급 요정 중, 하나인 ‘대원각(大苑閣)’을 설립(1953년)하고 한국의 재력 가로 성장했습니다. 훗날 자야는 당시 돈 1,000억 원 상당의 고급 요정 ‘대원각’을 아무런 조건 없이 무소유의 성자 ‘법정(法頂) 스님’에게 헌납을 했습니다.

그 대원각 요정이 서울 성북구 성북동에 자리한 지금의 ‘길상사(吉祥寺)’이지요. 평생을 사랑했던 북한에 있는 시인 ‘백석(白石)’을 애타게 그리워하며 살았던 기생 자야는 폐암으로 1999년에 세상을 떠났습니다. 그녀가 세상을 떠나기 전인 1997년 12월 14일, 길상사를 헌납받은 법정 스님은 창건 법회에서 자야(김영한)에서 마이크를 넘겼습니다.

자야는 법회에 참석한 수천 명의 대중 앞에서 “저는 불교를 잘 모르는 죄 많은 여자입니다. 제가 대원각을 절에 헌납하게 된 것은 오직 이곳에서 그 사람과 내가 함께 들을 수 있는 ‘맑고 장엄한 범종 소리’가 울려 퍼지는 것을 바랐기 때문입니다.”라고 말했지요.

그녀가 떠나기 전, “1,000억 원 상당의 대원각 전 재산을 희사한 것이 아깝지 않았냐?” 라는 한 신문사 기자의 질문에 자야는 이렇게 대답했습니다. “1,000억 원 재산이 ‘백석’ 그 사람의 시 한 줄 만도 못해요.”

사랑한 사람 백석의 시에서처럼, 눈이 푹푹 내리는 날 ‘백석’에게 돌아가고 싶었던 것이 마지막 소원이었습니다. 다비식(茶毘式)을 마친 뒤, 자야의 뼛 가루는 그녀의 소원대로 길상사 경내에 쌓인 눈 위에 뿌려졌습니다.

자야가 평생을 못 잊으며 사랑한 ‘시인 백석(白石 : 1912∼1996)’은 일제시대 평안북도 정주 출신으로 본명은 ‘백기행(白夔行)’이고, 아호(雅號)는 ‘백석’이며, 이를 필명으로도 사용했습니다.

백석은 문학에 대한 천재적인 재능과 훤칠한 키, 빼어난 외모로 당시 여성들 선망의 대상이었지요. 구전(口傳)에 따르면 그가 길을 지나가면 여인들이 그를 보고 넋을 잃을 정도였다고 합니다. 그가 가장 사랑했던 여인인 기생 ‘자야’와의 러브스토리는 한국판 ‘로미오와 줄리엣’만큼이나 듣는 이의 가슴이 찡하게 울려옵니다.

백석은 함경도 함흥시의 ‘영생 여고’에서 영어 교사로 재직하던 1936년, 회식 자리에서 기생 김영한을 보고 첫눈에 반하게 됩니다. 잘생긴 낭만주의자 시인은 그녀를 옆자리에 앉히고는 손을 잡고 “오늘부터 당신은 영원한 내 여자야, 죽음이 우리를 갈라 놓기 전까지 우리에게 이별은 없다.”라는 유명한 말을 남깁니다.

백석은 당나라 시인 이백(李白)의 시구(詩句)에 나오는 ‘자야(子夜)’라는 애칭을 김영한에게 지어주었습니다. 그렇게 두 사람은 첫눈에 반해 서로가 사랑에 빠져 연인(戀人)이 되지요. 그러나 이들 사이에 장애물이 등장합니다.

유학파에다가 당대 최고의 직장인 함흥 ‘영생 여고’ 영어 선생이었던 백석의 부모는, 기생과 동거하는 아들을 탐탁지 않게 여겨 강제로 또 다른 여자와 결혼을 시켜 둘의 사랑을 갈라 놓으려 했습니다. 백석은 혼인한 첫날 밤에 연인 기생 ‘자야’ 한 테 돌아갔습니다.

그리고는 자야에게 함께 만주로 도망을 가자고 제안합니다. 그렇지만 자야는 보잘것없는 자신이 혹시 백석의 장래를 막아 해를 끼치지 않을까 하는 생각 때문에 이를 거절하지요. 그러나 백석은 자야가 자신을 찾아 만주로 올 것이라는 확신하고 먼저 만주로 떠납니다.

만주에서 홀로 된 백석은 늘 자야를 그리워하며 그 유명한 ‘나와 나타샤와 흰 당나귀’란 시를 짓습니다.

<나와 나타샤와 흰 당나귀>

가난한 내가 아름다운 나타샤를 사랑해서 오늘 밤은 푹푹 눈이 내린다./ 나타샤를 사랑하고 눈은 푹푹 내리고 나는 혼자 쓸쓸히 앉아 소주를 마신다./ 소주를 마시다 생각한다./ 나타샤와 나는 눈이 푹푹 쌓이는 밤 흰 당나귀 타고 산골로 가자./ 줄줄이 흐르는 깊은 산골로 가서 살자.

눈은 푹푹 내리고 나는 나타샤를 생각하면 나타샤가 아니 올 리 없다./ 언제 벌써 내 속에 고조 곤히 와 이야기한다./ 산골로 가는 것은 세상 한 테 지는 것이 아니다./ 세상 같은 건 더러워 버리는 것이다./ 눈은 푹푹 내리고 아름다운 나타샤는 나를 사랑하고/ 어데서 흰 당나귀도 오늘 밤이 좋아서 응앙응앙 울 것이다.

이 얼마나 그립고 애절한 사랑의 시인가요? 해방되고 백석은 자야를 찾아 만주에서 함흥으로 갔지만, 자야는 이미 서울로 떠나 버리고 없었습니다. 그 후 다시 6.25가 터지면서 둘은 각각 남과 북으로 갈라져 다시는 만나지 못하게 되지요.

그 후 백석은 평생 자야를 그리워하며 북한에서 혼자서 살다가 1996년에 사망했다고 합니다. 얼마나 가슴 아프고 아름다운 사랑인가요? 우리 이런 '세기의 사랑'을 내생이라도 한번 해 보면 얼마나 좋을까요!

단기 4355년, 불기 2566년, 서기 2022년, 원기 107년 7월 1일

덕 산 김 덕 권(길호) 합장

SNS 기사보내기
뉴스프리존을 응원해주세요.

이념과 진영에서 벗어나 우리의 문제들에 대해 사실에 입각한 해법을 찾겠습니다.
더 나은 세상을 함께 만들어가요.

정기후원 하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뉴스프리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