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일까지 학고재 개인전...오똑이 등 220여 졈 출품
"들꽃 통해 모성의 옷 깨달아...공생의 가치 풀어내"

[서울=뉴스프리존] 편완식 미술전문기자=한국화를 전공한 양순열 작가는 대학시절 고향의 산과 들에 지천으로 피어있는 야생화 스케치에 빠져들었다. 본격적인 작가활동을 위해 서울로 올라오기 전까지 그런 일과는 계속됐다.

“한 송이의 꽃을 피우기 위해 척박한 땅에 뿌리를 내리고 견뎌내는 모습은 경이롭기까지 했다. 당장이라도 흘러내릴 것 같은 경사면에 흙 한줌에 겨우 뿌리를 내리고, 위태롭게 서 있는 모습은 장엄하기까지 했다. 고운 자태와 향기를 뿜어내기 위해 주위 환경을 스스로 감내하는 생명력 그 자체였다”

한 송이를 피워내는 들꽃에서 강한 모성적 생명력을 느꼈다는  양순열 작가 

나이 50줄에 들어서던 어느날 작업실에 들어서는데 눈물이 왈칵 쏟아졌다. 세상을 떠나신 어머니가 어른거렸다. 나태주 시인의 시 ‘들꽂’을 들려주시는 듯 했다. ‘자세히 보아야/ 예쁘다./오래 보아야/사랑스럽다./너도 그렇다“ 한동안 눈물이 앞을 가려 붓을 들지 못했다. 생전에 어머니가 좋아하시던 노래 정훈희의 ’꽃밭에서‘가 절로 입에서 흘러나왔다. ’이렇게 좋은 날엔 / 그 님이 오신다면 /얼마나 좋을까/ 꽃밭에 앉아서 꽃잎을 보네/고운 빛은 어디서 왔을까/아름다운 꽃송이여...‘ 여러 자식들을 키우시느라 얼마나 힘드셨을까. 어쩌면 그것은 여인이 아닌 모성의 힘이었을 것이다.

”나이가 드니 이제사 어머니의 사랑이 생명력이었다는 것을 알게됐다. 누가 하라해서 하는 힘이 아니라 들꽃같은 강한 생명력의 발로였음을 가슴으로 받아들이게 됐다. 다만 모성이라는 옷을 입었을 뿐이다“

그의 오똑이 조형물이 탄생하게 된 배경이다. 야생화처럼 쓰러지지 않고 조화와 균영을 이루며, 사랑의 꽃을 피우는 생명력의 화신이다. 학고재에서 25일까지 열리는 양순열 개인전 ’어머니, 오똑이(Motherly Ottogi)를 세우다‘에서는 2006년부터 2022년까지 그린 회화 23점과 조각 197점 등 220여 점의 작품을 만나볼 수 있다.

작품 ’오똑이‘는 어머니의 형상를 갖추고 있다. 단계적으로 층을 이루고 있는 세 개의 원형 곡선이 전체적으로 삼각형의 모양을 띠고 있는 작품이다. 깊은 정신을 지닌 입체의 집합체로서의 형태다. 어떤 고난이 닥쳐와도 모성애로서 자식과 세상을 감싸안은 어머니의 사랑처럼 오똑이는 스스로 일어선다.

최은주 대구미술관 관장은 “모성(母性)은 태초의 우주로부터 기원된 근원적 에너지이면서, 지금까지도 강력한 파장으로 인간과 세계를 구할 수 있는 에너지”라며 “양순열 작가는 생명력의 화신인 오뚝이로 그것을 형상화 했다”고 평했다.

작품 ’호모 사피엔스‘ 시리즈는 작가가 30여 년 동안 진행해온 작업이다. 생 동안 스쳐간 인연으로부터 느낀 각각 다른 내면의 감(感)을 형상화했다. 비슷한 형상처럼 보이지만 자세히 살펴보면 모두 다른 형태와 색감을 띄고 있다. 다양한 생명력의 표출이라 하겠다.

거의 모든 형상들이 서 있는 형태로 그려졌다는 점이 눈길을 끈다. 그림 안에서 마치 안테나 같은 구실을 한다. 작가는 의식과 무의식의 세계를 넘나들며 인간과 자연, 인간과 우주, 인간과 신, 인간의 꿈과 사랑 등에 주파수를 맞추며 호모사피엔스라는 존재에 대한 탐구를 지속해 오고 있는 것이다.

“이 시대는 생명력 회복을 통한 공생(共生)의  안테나를 높이 할 때다. 우주적 생명력의 시대이기 때문이다” 그는 지구온난화와 팬데믹 시대가 웅변하고 있다는 것이다. 

작품 ’현현(玄玄) 53‘(2022)은 전통 오방색 중 황(黃), 청(靑), 적(赤)과 현대적 색감이 합해진 다채로운 색채의 작품이다. ’ 현(玄玄) 62‘ (2022)는 사람의 형태를 갖춘 오뚝이의 윤곽들이 돋보인다. 화폭 속에 유유히 떠오르는 곡선들은 마치 좌우로 흔들리는 오뚝이의 흔적을 떠올리게 한다. 단순화된 구도와 온화한 색상, 인체의 기호화가 눈에 띈다. 화면 속 분위기는 낭만적이고 동양적이라 신비로운 분위기를 자아낸다.

대형 작품 ’현현(玄玄)Line-1‘(2022)은 오똑이 마더의 형상을 표현했다. 인류의 번성과 발전의 근원인 모성을 주제로 태초 빅뱅 이후 팽창하는 우주의 역동성을 담았다. 담채의 맑고 은은한 맛과  부드럽고 자연스러운 기운의 선묘가 드러난다. 맑고 고우면서도 그윽한 미감이다.

SNS 기사보내기
뉴스프리존을 응원해주세요.

이념과 진영에서 벗어나 우리의 문제들에 대해 사실에 입각한 해법을 찾겠습니다.
더 나은 세상을 함께 만들어가요.

정기후원 하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뉴스프리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