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중적인 것 변용통해 아이콘화...강력한 소통력

[서울 =뉴스프리존] 편완식 미술전문기자=세계 2차 대전 이후 새롭게 급부상한 미술의 사조인 팝아트의 특성과 기능에 대하여 다양한 관점과 해석이 따른다. 단순한 심미적 유희에만 집중된, 소위 키치(kitsch)로 폄하되는가 하면 동시대의 문화와 시대성을 날 것 그대로 보여주는 뻔하면서도 사회비판적인 미술로 인식되기도 한다.

감상자에게 즐거움을 선사하면서 사회를 감시하고 비판하는 기능을 갖춘 팝아트는 엘리트 미술로 상정된 모더니즘 미술에 대항하여 고급미술이란 높은 담장을 전복하고, 대중의 삶과 예술의 간극을 좁히는 긍정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지난달 무우수갤러리에서 초대전 '뻔(fun)하고 쿨(cool)하게'를 연 팝아티스트 지.코(고경일)의 작품이 바로 그러하다.

지.코의 작품은 미국 대중만화의 아이콘인 슈퍼맨, 배트맨, 스파이더맨, 엑스맨, 원더우먼, 헐크의 이미지를 차용한 카툰형식으로 가볍고 장난스럽게 보이지만 상당히 논쟁적이고 시사성이 짙다.

첫눈엔 우리에게 친숙한 이미지가 우리의 시각적 욕망과 유희를 불러 일으킨다. 작품의 형태는 마치 과자 봉지 안에 들어 있는 딱지를 연상시킨다. 그림마다 상이한 숫자로 그려진 별은 흡사 딱지의 레벨을 나타내는 성싶어 자본주의 맥락 속에서의 ‘상품의 가치’를 표한다.

그런가하면 이렇게 작가에게 선택된 ‘인물’들은 우리의 사회·문화·일상·국제관계라는 자장을 모두 순환하며, ‘정치적 팝아트’로서의 메타적 성질을 드러낸다.

작가는 “슈퍼 영웅의 원조는 단연 슈퍼맨으로, 근육질의 강인한 몸과 탄탄한 멘탈을 가진 ‘강한 백인 남자’의 전형이라 할 수 있다. 이 슈퍼히어로의 등장은 2차세계대전과 관련이 있다. 프랑스와 영국이 수세에 몰려 러브콜을 수 차례 보내자 마지못해 참전한 미국은 단번에 세계대전을 정리하고, 패권국가로 성장하는 단초를 마련했다. 마치 슈퍼맨처럼이라고 말하며, 슈퍼맨의 이미지를 ‘자유민주주의의 수호자’ 내지는 ‘세계의 경찰’로 상정되는 미국의 표상으로서 소비한다.

그러나 돌연 작가는 이 슈퍼히어로를 통해 지구촌을 강력하게 리드해 온 미국의 병폐와 모순, 그리고 무능을 꼬집고 풍자한다. 가령 작품 ‘쳇’의 슈퍼맨은 늙고 처진 몸의 올드맨으로 심드렁한 표정으로 담배를 입에 물고 있다. 위기에 빠진 약자를 위해 불철주야 날라 다니던 젊은 날의 모습은 온대간대 없이 만사가 다 귀찮고 짜증스그러워 보인다. 작품 ‘올드맨의 비애’ 속 베트맨은 고개를 푹 숙인 채 지쳐있다. 지난날의 파워와 영광이 무색하다. 반면 작품 ‘쬬옥’, ‘내 마음대로’, ‘왕녀에게 부탁해’, ‘애정의 주도권’에서 보여지는 원더우먼의 모습은 슈퍼맨과 베트맨을 적극적으로 리드하는 모습으로 자신감에 차 있고 강단이 있다.

작가는 미국이 세계의 패권을 쥐고 있으며 자본주의 이상향이라고 꼽히는 것은 미국이 미디어를 통해 우리에게 교묘히 주입시킨 환상이란 생각한다. 미디어를 역이용해 미국의 이상화된 이미지를 전복하고자 한다. 요약하자면 다분히 미국적인 것을 토대로 미국적인 것의 핵심 요체를 제거하는 것이다.

무우수갤러리 양효주 학예실장은 “지.코 작가의 작품은 소위 고급예술의 반대편에 서 있는 것으로 간주되는 팝아트의 키치적 속성이 여실히 드러난다. 하물며 은근하든 노골적으로든 자본주의의 등식 또한 성립한다. 그러나 그의 작품을 단순한 심미적 즐거움 또는 상업성으로 치부할 수는 없다. 고상함을 벗은 작가의 작품은 언뜻 예술의 진지성을 전면 거부하는가 싶으면서도 사회와 윤리의 문제, 정치적 갈등을 풍자하는 등 굉장히 논쟁적인 성격을 띄기 때문이다. 흔히 정치적 팝아트에서 작동되는 사회주의시기 메타담론이었던 프로파간다 포스터를 거꾸로 소화하는 셈이다. 그의 작품에서 읽을 수 있는 묘미란 바로 이러한 것이 아닐까. 환유(metonymy)의 수사법으로 기존의 발상과 가치관을 뒤집는 것. 그것도 유쾌하고 통쾌하게 말이다”라고 평했다.

무엇보다도 팝아트가 대중에게 자극적으로 다가설 수 있었던 것은 ‘변용’에 있다. 평범한 것을 변용을 통해 아이콘으로 만들고, 대중과 친숙한 소통을 했기 때문이다. 지.코 작가도 예외가 아니다

지.코 작가는 벤쿠버 아일랜드대학 객원교수, 모교인 교토세이카대학 교수를 거쳐 현재 상명대학교 디지털만화영상과 교수로 재직하며 풍자만화가, 팝아트 작가로서 만화와 현대미술의 경계를 허물고 있다.

SNS 기사보내기
뉴스프리존을 응원해주세요.

이념과 진영에서 벗어나 우리의 문제들에 대해 사실에 입각한 해법을 찾겠습니다.
더 나은 세상을 함께 만들어가요.

정기후원 하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뉴스프리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