멸종생물 생태보고 DMZ, 남북합동 유네스코 생물권 보전지역 추진

- DMZ,휴전 이후 인간 간섭 없어 멸종위기 1급 사향노루 등 희귀 동식물 101종 서식

[뉴스프리존=강대옥 선임기자] 분단의 상징이었던 DMZ에 멸종위기 야생생물 101종을 포함한 총 5,929종의 야생생물이 서식하는 것으로 확인되면서 DMZ 일원을 유네스코 보전지역으로 추진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바른미래당 이찬열 의원(수원 장안)은 한국 전쟁 이후 사람의 발길이 거의 닿지 않아 멸종 동식물이 자생하며 한반도의 핵심 생태축으로 자리잡은 DMZ를 남북이 공동으로 유네스코 생물권 보전지역으로 추진하여 전세계가 함께 보전해야 한다고 밝혔다.

DMZ(비무장지대, Demilitarized Zone)는 한국 전쟁 이후 1953년 7월 27일 체결된 정전 협정에 의해 성립되었으며, 남북 경계인 군사분계선부터 남북으로 각각 2km의 범위, 총 길이 248km, 면적은 약 1,600km로 남한 면적의 1.6%에 해당하는 지역이다. 53년 휴전 이후 65년간 군사활동을 제외하고 인간의 간섭이 거의 없어 생물다양성이 높고 자연생태계가 잘 보전되어 있는 지역으로 평가받고 있다.

이찬열 의원이 국립생태원에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DMZ 일원에 서식하는 멸종위기종은 총 101종으로 확인되었다. 서부권역에서는 저어새, 중부권역에서는 두루미‧재두루미, 동부권역에서는 산양, 사향노루 등이 발견되었다. 특히 사향노루의 경우, 멸종위기 야생동물 1급에 속해 절멸 위기에 직면해 있는 희귀 동물로 1999년 조사에서 전국 16마리만 확인되었고 2016년 국립생태원 조사 결과 DMZ 내 약 24마리가 서식하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유네스코는 생물다양성 보전과 지속가능한 발전을 추구하기 위하여 ‘세계 생물권보전지역 네트워크 규약’에 의거, 매년 국제조정이사회에서 생물권보전지역 지정 여부를 결정하고 있다. 남한은 2012년 단독으로 DMZ 생물권보전지역 선정을 추진한 적이 있으나 북한의 반대로 좌절되었다. 그러나 유네스코 생물권보전지역 국제자문위원회는 DMZ에 대해 60년 간 인간의 간섭에서 벗어나 생태계가 복원되었고 나아가 문화, 역사 유적의 의미까지 지니고 있다는 점에서 특별한 가치를 지닌 곳이라고 평가한 바 있다.

유네스코 생물권보전지역으로 지정된 곳은 ‘세계 생물권 보전지역 네트워크’에 참여하게 되어 보전과 발전을 위한 정보를 서로 공유하며, 국제적인 인지도를 얻게 된다. 또한 생물권보전지역으로 활동중인 선진국 및 개도국 여러 나라와의 교류협력의 기회를 얻게 되며 인근 지역사회를 알리고 관광산업으로 인한 경제 발전을 도모할 수 있다. 중국은 33곳의 생물권 보전지역을 보유하고 있으며 일본은 9곳의 생물권 보전지역을 갖고 있다.

이찬열 의원이 유네스코 한국위원회에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한국 내 유네스코 생물권 보전 지역은 5곳으로 설악산, 제주도, 신안 다도해, 광릉숲, 고창이 선정되어 있으며 작년 9월 순천이 생물권보전지역 신청서를 제출하여 오는 7월 예정된 제30차 국제조정이사회에서 선정 여부가 결정될 예정이다. 북한은 백두산, 구월산, 묘향산, 칠보산 등 총 4곳이 선정되었으며 30차 이사회에서는 금강산의 지정 여부가 결정된다.

이찬열 의원은 “오랜 시간 인간의 발길이 닿지 않은 DMZ는 절멸 위기에 직면한 멸종위기 1급 동물이 발견될 정도로 세계에서도 유래를 찾기 힘든 야생 생태계의 보고이며 그 자체로 우리 민족의 아픈 역사를 상징하는 특별한 의미를 지니고 있다.”며“남북한이 함께 유네스코 생물권 보전지역으로 추진하여 DMZ를 남북 대치의 상징적 공간에서 평화와 생명의 땅으로 거듭나게 하고 전세계가 함께 희귀 자연자원을 보전하자.”고 밝혔다. 

SNS 기사보내기
뉴스프리존을 응원해주세요.

이념과 진영에서 벗어나 우리의 문제들에 대해 사실에 입각한 해법을 찾겠습니다.
더 나은 세상을 함께 만들어가요.

정기후원 하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뉴스프리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