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日·필리핀, 남중국해서 중국 위협 공동 대응
美, 격자형 대중국 견제망 형성 中 “美가 남중국해서 긴장 고조시킨다”비난
[서울=뉴스프리존] 임형섭 기자= 조 바이든 미 대통령은 11일(현지시간) 백악관에서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 페르디난드 마르코스 주니어 필리핀 대통령과 3자 정상 회담을 갖고 남중국해에서 중국의 위협에 공동 대응하기로 했다고 AP, 로이터 통신 등이 보도했다.
바이든 대통령은 3자회담을 시작하기전 취재진에게 “이번 회의가 세 나라 파트너십의 새 시대를 열었다”며 “동맹국인 일본과 필리핀에 대한 미국의 방위 공약은 철통같다”고 말했다.
특히 남중국해에서 필리핀과 긴장을 높이고 있는 중국에 “필리핀의 항공기, 선박, 군대에 대한 어떤 공격이든 우리의 상호 방위조약을 발동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최근 중국은 남중국해에서 활동하는 필리핀 함정에 물대포를 발사하는 등 필리핀을 압박하고 있다. 이에 맞서 지난 7일에는 호주·일본·필리핀·미국이 남중국해 필리핀 배타적경제수역(EEZ)에서 합동 해상 훈련을 실시했다.
중국과 필리핀의 분쟁 중심지는 남중국해 스프래틀리 제도의 세컨드 토머스 암초(중국명 런아이자오)로 중국과 필리핀은 이 곳을 둘러싸고 지난 8개월 동안 6번이나 충돌했다.
미국은 내년에 인도.태평양 지역에서 해안경비대 합동 순찰을 계획하고 있으며 일본 주변에서 합동 해상훈련 활동을 계획하고 있다고 밝혔다.
또 필리핀 군사기지에 민간재난 대응을 위한 인도주의적 구호 물품을 배치하기로 했다고 미 행정부 관리가 로이터에 말했다.
또 다른 미국 관리는 지난 7일 합동 해상 훈련의 연장선에서 남중국해에서 더 많은 합동 순찰이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3국은 이번 회의 결과물로 에너지안보, 경제 및 해상 협력, 기술과 사이버 안보 파트너십, 핵심 인프라에서의 공동 투자 등을 강화하기로 했다.
또 필리핀의 수빅만, 클라크, 마닐라, 바탕가스를 연결하는 항만, 철도, 청정에너지, 반도체 공급망 등 주요 기반 시설에 대한 투자를 촉진하는 ‘글로벌 인프라 파트너십(PGI) 루손 회랑’ 사업을 추진하기로 합의했다.
바이든 대통령은 정상들이 "새로운 시대"를 만들어가고 있다며 "앞으로 몇 년 안에 인도 태평양에서 많은 역사가 쓰여질 것"이라고 말했다.
백악관 관리들은 3국 정상회담에 대해 민주당 행정부가 이스라엘-하마스 전쟁과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과 씨름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인도-태평양에서 소위 동맹의 격자구조를 구축하겠다는 의지를 유지하고 있다는 분명한 신호를 보내는 것을 목표로 하는 것이라고 AP 통신에 말했다.
미국은 동북아의 한일, 동남아의 필리핀 등 미국의 아시아 핵심 동맹국들을 대중국 견제를 위한 소규모 다자 협의틀에 참여시킴으로써 오커스(AUKUS·미국·영국·호주 안보 협의체)와 쿼드(Quad·미국·일본·호주·인도의 안보 협의체)를 포함해 ‘격자형’ 대중국 견제망을 형성하게 됐다.
중국은 남중국해에서의 중국의 행동에 대한 비판에 격분하면서 "긴장을 고조시키고 있다"고 미국을 비난했다. 마오닝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이날 “그 누구도 중국의 영토 주권과 해양 권익을 침해해서는 안된다”며 “중국은 합법적인 권리를 확고히 수호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에 반해 백악관은 일본 및 필리핀과의 사상 최초의 3자 정상회담이 중국의 협박 시도에 대한 강력한 대응이라고 맞섰다. 백악관은 성명을 통해 바이든과 마르코스가 회담에서 “남중국해에서의 국제법 유지에 대한 의지를 강조하고 서로를 방어해야 하는 양국의 조약 의무를 재확인했다"고 밝혔다.
한편 워싱턴포스트지는 “바이든 행정부가 아시아로 돌아오고 있다”고 평가하면서 지난해 8월 캠프 데이비드에서 열린 한미일 3자 정상회의가 미국의 아시아 회귀 전략이 재개된 계기가 됐다고 설명했다.
그동안 미국은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과 가자지구 전쟁 발발로 유럽과 중동에 발이 묶이면서 중국 견제를 위한 아시아로의 무게중심 이동이 지연돼 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