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러 "유사시 자동 군사개입" 협정 체결

푸틴 "기본적으로 방어적 개념" 김정은 "러 정책 무조건 지지"

2024-06-19     김 석 기자

[서울=뉴스프리존] 김 석 기자= 북한과 러시아가 19일 평양 정상회담에서 상대국 유사시에 자동적으로 군사개입을 하는 조약을 체결했다.

19일 서명한 협정문을 들고 있는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사진= AFP, 연합)

러시아 타스·인테르팍스 통신에 따르면 푸틴 대통령은 이날 회담후 공동발표에서 "오늘 서명한 포괄적 동반자 조약은 양국 중 한 곳이 침략당할 경우 상호 지원을 제공한다"고 말했다.

방북중인 푸틴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은 이날 북한 평양 금수산 영빈관에서 열린 북러 정상회담에서 '포괄적인 전략적 동반자 관계에 관한 조약'에 서명했다. 푸틴 대통령은 자동 군사개입 조항에 대해 "본질적으로 방어적인 성격"이라고 설명했다. 

또 "북한과의 '획기적' 협정으로 양국 관계가 '새로운 수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러시아는 북한과 군사·기술 협력을 진전시키는 것을 배제하지 않는다"며 "새 협정 내에서 군사 분야에서 협력할 것"이라고도 했다.

김정은 위원장은 이날 조약으로 러시아와 동맹관계가 됐다고 선언했다. 그는 "조로(북러) 관계 발전 청사에 분수령으로 될 위대한 조로 동맹 관계는 오늘 이 자리에서 비로소 역사의 닻을 올리며 출항을 알렸다"고 말했다.

그러나 김 위원장이 선언한 동맹관계가 실제 제도적으로 뒷받침되고 있는지는 불확실하다. '포괄적 전략 동반자' 관계는 통상 러시아의 대외관계 유형상 '동맹'의 바로 전 단계에 해당하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새 조약이 1961년 북한과 옛 소련이 체결했으나 1996년 한·러 수교에 따라 폐기된 '조·소 동맹조약''에 포함됐던 '유사시 자동 군사개입 조항'을 직접적으로 담진 않았을 가능성도 있다. 북한과 러시아 모두 '포괄적인 전략적 동반자 관계에 관한 조약' 전문을 공개하지는 않았다.

이날 북러 정상은 금수산 영빈관에서 양측 대표단이 배석한 확대 회담을 1시간 30분 이상, 일대일 회담을 약 2시간 동안 진행했다. 양측은 회담에서 의료·의료교육·과학 협력 협정과 두만강 교량 건설에 대한 협정도 체결했다.

19일 새벽 2시쯤 평양에 도착한 푸틴 대통령은 오후 김일성 광장에서 열린 공식 환영식에 참석한 뒤 금수산 영빈관에서 김 위원장과 확대 정상회담을 시작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