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리그를 빛낸 용병들(1)
[김병윤의 축구병법] K리그 발전위해 역할 살펴봐야
1983년 척박한 여건과 환경은 물론 행정 미흡 등 악재를 딛고 출범한 프로축구(이하 K리그)는 2011년부터 12연속 아시아 리그 1위 자리 고수는 물론 전 세계프로축구리그 18위 리그로서 자리매김해 있다. 출범원년 할렐루야, 유공, 포항제철, 국민은행, 대우 등 5개 구단으로 '수퍼리그'라는 명칭으로 리그를 시작한 K리는 2013년 K리그1 클래식, K리그2 챌린지로 구분하며 본격적인 승강제까지 도입 현재 K리그1 12개팀, K리그2 13개팀으로 '명실상부' 진정한 프로축구로서의 면모를 갖추고 제 2의 도약을 준비하고 있다.
K리그가 40년의 연륜을 쌓으며 비약적인 발전을 할 수 있었던 원동력은 바로 구성원들의 피와 땀, 그리고 애정과 사명감의 결정체라고 할 수 있다. 그 중 선수들이 쏟아낸 축구에 대한 열정과 희생은 K리그 발전의 원동력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만큼 선수들이 K리그에 아로새긴 발자취는 남다르다. 이런 선수들의 뒤에 숨은 공헌자가 있다. 이는 다름 아닌 외국인 용병 선수들이다. K리그에 용병 선수가 첫 선을 보인 것은 출범 원년 포항제철 돌핀스(현 포항 스틸러스)가 브라질 CVRD로 부터 임대 영입했던 주제 호베루투(60)와 알베스 호세(60)였다. 포항은 이 두 용병 영입으로 큰 관심을 불러 일으키며 강팀으로서 존재감을 과시했다.
이에 타 구단도 다음해 리그를 위한 용병 선수 영입을 앞다투어 추진했고, 그 결과 현대 호랑이(현 울산 현대) 유니폼을 입으며 본격적인 용병 선수 서막을 알린 네덜란드 출신 로프 렌스베르겐(64)은 1984년 K리그 도움왕에 오르는 기염을 토했다. 뿐만 아니라 럭키금성(현 FC 서울)은 1984년 이례적으로 아시아의 태국 출신 피아퐁 피우온(65)을 영입, 1985년 K리그 득점왕과 도움왕을 모두 석권하며 K리그를 평정했다. 이 같은 용병 선수의 뛰어난 활약은 곧 K리그 발전에 기여하며 인식 또한 확실히 정립되어 K리그 용병 진출이 활성화되기 시작했다.
이후 K리그에 진출했던 용병 중 1992년 포항에 둥지를 튼 세르비아 출신 라데 보그다노비치(54)는 피아퐁 이후 최고의 스트라이커로서 비록 리그 우승과는 인연이 없었지만, 순도 높은 결정력과 어시스트 능력을 과시 단일 리그 최초로 10-10과 더불어 리그 최초 30-30 클럽 가입(147경기 55골 33도움)의 기염을 토하는 괴력을 발휘했다. 이어 라데의 명성 뒤를 이은 용병은 1991년 천마 일화(현 성남 FC)와, 2000년 유공 코끼리(현 제주 유나이티드)에 몸담았던 발레리 사리체프(64.귀화 개명 신의손)다.
골키퍼라는 특수 포지션을 책임졌던 신의손은 천마 일화 시절 7시즌을 소화하며 1993, 1994, 1995년 시즌 리그 3연패는 물론, 1992년 리그컵과 1995년 아시아축구연맹(AFC) 챔피언스리그(ACL) 그리고 1996년 아프로-아시안 클럽 챔피언십 및 아시안 슈퍼컵까지 제패하는 눈부신 활약(320경기 357실점)을 펼치며 급기야 '전설의 골키퍼'로 등극했다. 그 때문에 K리그는 1999년부터 국내 골키퍼 육성 목적으로 용병 골키퍼 제도 폐지를 단행하기도 했다.
K리그 용병 역사에 빼놓을 수 없는 또 한 명의 선수는 바로 1995년 부산 대우 로얄즈(현 부산 아이파크)에 첫 발을 내딛고, 천마 일화를 거쳐 수원 삼성으로 이적하여 1999년 시즌 18골로 득점왕을 차지하며 리그 2연패를 이끈 사샤 드라쿨리치(52.세르비아)다. 그는 수원 삼성(1998~2000), 성남 일화(구.천마 일화 2001~2003) 등 3개 팀을 거치며 발군의 기량을 과시(271경기 104골 37도움)했다.
이어 러시아 출신으로 1996년 시즌 수원 삼성에서 데뷔전을 가진 데니스(47)도 성남 일화(2003~2005), 부산 아이콘스(2005), 강원 FC(2012~2013) 등에서 강한 승부욕을 앞세워 자신의 가치(272경기 57골 59도움)를 각인시키는 뛰어난 활약을 펼쳤다. 또한 이싸빅(51. 귀화 개명)도 센터백으로 포항 스틸러스(1998~2002), 성남 일화(2003~2005), 수원 삼성(2005~2007), 전남 드래곤즈(2008)에서 그라운드를 누비며(271경기 9골 7도움) 한국 선수보다 더 한국 선수처럼 K리그에 녹아든 용병으로 찬사를 받았다.
그리고 수원 삼성(2003~2007) 나드손((42.브라질)과 포항 스틸러스(2004~2007) 따바레즈(41.브라질) 그리고 전북 현대((2007~2008), 포항 스틸러스(2008~2009), 수원 삼성(2011~2013), 전남 드래곤즈(2014~2016)에서 이례적인 북마케도니아 출신으로 의지와 성실함을 앞세워 K리그에서 진정한 킬러(226경기 84골 28도움)로서의 능력을 과시했던 스테보(42.K리그 등록명)도 K리그 위대한 용병 대열에 이름을 올리고 있다.
한편으로 브라질 출신의 FC 서울(2006~2013) 아디(48.K리그 등록명)도 용병 선수로서는 특이하게 레프트 풀백 포지션을 소화하며 305경기에 출장, K리그 수비수 중 최고의 한 명으로 평가받으며 명성(17골 12도움)을 떨쳤다.
아울러 수원 삼성(2003), 대구 FC(2007~2008), 전북 현대(2009~2013.2015)에서 세트 피스에 강점을 가지고 윙 포워드로서 돋보이는 활약을 펼친(231경기 81골 66도움) 애닝요(43.브라질)와 용병 중에서도 축구 지능이 남달랐던 수원 삼성(2007~2009), 전북 현대(2015~2017)에서 진가를 발휘한(157경기 55골 21도움) 에두(43.브라질)도 큰 발자취를 남겼다.
제주 유나이티드(2015), 전북 현대(2016~2019)의 로페즈(34.브라질), 대전 시티즌(2014~2015), FC 서울(2015~2016.2020), 전북 현대(2018~2019)에서 활약한 아드리아노(36.브라질)와 FC 서울(2014~) 오스마르 아바네스(36.스페인) 등도 K리그 용병 역사에 한 획을 그었다. 그 중 오스마르 아바네스는 센터백으로 180경기에 출전 18골 11도움의 멀티 플레이어로서 남다른 능력을 과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