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이스피싱·투자리딩 극성..."수법 공유해 주세요"
경찰청, 피해규모ㆍ수법ㆍ범죄유형 밝혀 월평균 피싱 558억, 투자리딩 668억 피해 파병 여군ㆍ외국인 빙자 연애 사기도 극성
[서울=뉴스프리존]이정우 기자= 보이스피싱과 투자리딩방 사기가 기승을 부려 올해 월평균 합계 피해 금액이 1천226억원에 이르는 것으로 드러났다.
경찰청은 13일 최근 확산하는 금융사기 피해 규모와 수법, 범죄 유형 등을 공개하고 추석 명절 연휴에 가족·친지와 이를 공유할 것을 당부했다.
경찰이 집계한 올해 1∼7월 보이스피싱 피해는 총 1만1천734건, 피해액은 3천909억원이다.
월평균 1천676건, 558억원의 피해가 발생한 셈이다.
투자리딩방 사기 피해는 올해 1∼8월 기준 총 6천143건, 5천340억원으로 파악됐다. 월평균 피해 규모와 피해 액수는 768건, 668억원이다.
연애빙자사기(로맨스스캠)도 기승을 부려, 올해 8월까지 총 920건, 545억원(월평균 131건·78억원)의 피해 신고가 접수됐다.
경찰청은 "사기범들이 민·관·경이 마련한 대응책들을 회피해 국민에게 도달하는 범행 시도가 늘어나면서 금융사기가 여전히 심각한 수준으로 발생하고 있다"고 밝혔다.
또 "유형은 다양하지만 사기범이 접근한 후 피해자를 속여 금전을 편취하기까지 일련의 과정이 비슷하고, 이 과정에서 피해자가 빠져나가지 못하게 하는 몇 가지 공통적인 특징이 있으므로 이를 평소에 숙지해두면 피해를 막을 수 있다"고 덧붙였다.
보이스피싱 사기는 ① 저리대출·신용카드 개설·택배·부고·범칙금 등 각종 내용으로 미끼문자 발송 ② 전화번호 변작 및 전화 가로채기로 검사·수사관·금융감독원·은행직원을 사칭해 계좌이체 또는 현금상환 요구 ③ 유령법인을 만들어 대포통장·대포폰을 개설해 계좌 이체 또는 현금 인출 후 전달하는 방식으로 금전 편취 순으로 진행된다.
투자리딩방 사기는 ① 투자전문가·연예인·운동선수·은행·증권사 등 사칭해 SNS에 투자 광고 ② SNS 오픈채팅방에 있는 수백명이 수익인증 감사 인사(사실은 가짜 ID를 매크로로 복사·붙여넣기) ③ 피해자가 소액을 입금해 수익을 내고 출금할 수 있게 한 뒤 더 큰 금액이 입금되면 편취하는 수법을 쓴다.
로맨스스캠의 유형은 ① 파병 여군·유학생·글로벌 기업 재직 한국계 외국인 등이라며 SNS에 가짜 프로필을 게시한 후 연락을 유도하거나 메시지를 보내 접근 ② 가짜인 외국은행·택배사·증권사 앱 화면을 보여주며 도움 유도 ③ 외국 관세청 직원·항공사 직원 등을 사칭해 통관비·등급 업그레이드 비용 등의 명목으로 계좌이체 시켜 금전을 편취하는 방식이다.
경찰청은 "제3자로부터 관심을 끄는 문자나 링크, SNS 메시지를 받았을 때는 일단 멈추고 사기가 아닌지 생각해야 한다"며 "인터넷과 스마트폰으로 보는 모든 정보가 조작되고 가장됐을 수 있다는 점을 잊지 말아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