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여객기-헬기 충돌로 탑승자 67명 전원 사망
한국계 10대 피겨선수 2명 포함 현재 시신 40구 수습
미국 워싱턴DC에서 여객기와 군헬기가 충돌후 추락해 여객기 탑승객 64명과 군헬기 탑승자 3명 모두 사망했다.
이런 가운데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이번 사고의 책임을 바이든 전 정부의 책임으로 돌리면서 사고를 정치화했다.
AP 통신과 CNN 등 외신에 따르면,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30일(현지시간) 백악관에서 여객기 추락 관련 기자회견을 갖고 “(구조)작업은 이제 수습 업무로 전환했다”면서 “안타깝게도 생존자는 없다”고 밝혔다.
지난 29일 켄사스주 위치타에서 출발한 아메리칸항공 산하 PSA항공의 여객기가 워싱턴DC의 로널드 레이건 공항에 착륙을 하던중 미 육군의 블랙호크 헬기와 충돌해 근처 포토맥강에 추락했다.
워싱턴DC의 존 도널리 소방청장은 현재까지 여객기에서 27구, 헬기에서 1구의 시신을 발견했다고 밝혔으며 CNN은 사법당국의 소식통을 인용해 40구 이상의 시신을 인양했다고 보도했다.
사고 여객기에는 1994년 세계 피겨 선수권대회 챔피언 출신인 러시아의 예브게니아 슈슈코바와 바딤 나우모프 부부를 비록한 전현직 피겨 스케이팅 선수와 코치 20명이 탑승했다.
그 중에는 여자 피겨 유망주로 주목받던 한국계 지난 한과 스펜서 레인도 탑승한 것으로 밝혀졌다.
사고직후 현장에는 워싱턴DC는 물론 인근 메릴랜드주와 버지니아주 경찰과 소방당국, 국방부,육군, 해안경비대, 연방수사국(FBI), 국가교통안전위원회(NTBS) 등 관계기관이 총출동해 밤새 구조 활동을 벌였다.
하지만 현장은 영하의 날씨와 함께 강 곳곳에 얼음이 남아있어 구조활동에 어려움을 겪었다고 도널리 소방청장은 설명했다.
사고원인을 밝힐 비행기록데이터장치(블랙박스)중 하나가 인양돼 이번 사고의 가장 초점인 여객기와 헬기가 같은 고도에서 비행했던 이유 등이 밝혀질 것으로 보인다.
이와관련해 CNN은 전 국가교통안전위원회 조사관 그렉 피스를 인터뷰해 군헬기가 제한 고도에서 거의 200피트를 벗어났다고 지적하면서 “만약 그들이(군헬기) 200피트 상공에 있었다면 (여객기) 약 400피에 있었기 때문에 (여객기)밑을 지나갔을 것이다”라는 말을 인용 보도했다.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공항 관제사가 헬기에 여객기와의 충돌을 주의할 것을 경고했으나 그 직후에 사고가 발생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백악관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헬기는 (여객기를 피하기 위해) 수백만 가지의 다른 기동을 할 수 있었지만 무슨 이유에서인지 그냥 그대로 갔다”면서 “그들(헬기와 여객기)은 같은 고도에 있어서는 안됐다”고 지적했다.
또 피트 헤그세스 국방장관도 군용헬기가 정기 훈련을 하던 중 “비극적으로 실수가 있었다”면서 “어떤 종류의 고도 문제가 있었다”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특히 사고원인과 관련해 전임 오바마, 바이든 행정부에서 항공 안전을 담당하는 사람들을 채용할 때 능력보다 인종과 성별, 계층 등의 다양성을 중시한 탓에 이번 사고가 발생했다고 증거를 제시하지 않고 주장하고 나서 파문이 일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연방항공청(FAA)의 다양성 추진에는 심각한 지적, 정신적 장애를 가진 사람들에 중점을 두는 내용이 포함돼 있다”면서 직전 정부의 ‘DEI’(다양성, 형평성, 포용성)으로 인해 능력이 부족한 항공관제 인력이 채용됐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트럼프 대통령은 공항 관제사와 헬기 조종사 탓도 했다.
이에 대해 전미유색지위향상협회(NACCP) 데릭 존슨 회장은 “대통령은 우리에게 필요하고 마땅한 리더십을 제공하는 대신 거짓에 뿌리를 둔 증오를 심기 위해 이 땅에서 가장 높은 직책을 사용하면서 국민보다 정치를 우선시하는 결정을 분명히 했다"고 비판했다.
그러나 블랙박스가 회수되면 이번 사고의 진실이 곧 밝혀질 것으로 기대된다.
사고가 발생한 레이건 공항은 백악관 및 연방의회에서 남쪽으로 불과 약 4.8km 떨어져 있다. 착륙하려면 강을 따라 접근해야 하는데다가 주변에 정부, 군사 시설이 밀집해 있어 비행 통제구역이 많기 때문에 미국에서 가장 복잡한 항공로 중 하나로 꼽히며 평소에도 헬기 비행이 잦다.
더구나 사고 당시 로널드 레이건 공항 관제탑엔 관제사 한 명만 근무한 것으로 밝혀지면서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뉴욕타임스는 당시 관제탑 근무 인력 상황이 ”시간과 교통량에 비해 정상이 아니었다“고 평가한 연방항공청(FAA) 내부 보고서를 입수해 보도했다. 공항 주변 헬기를 담당했던 관제사가 활주로에서 이착륙하는 항공기에 대한 지시 업무까지 하고 있었는데 이는 관제사 한 명이 아니라 두 명이 하는 업무라는 지적이다.
이번 사고는 2001년 11월 12일 뉴욕 존 F 케네디 국제공항에서 출발한 아메리칸항공 여객기가 이륙직후 인근 주택가로 추락해 260명 전원이 사망한 이래 인명 피해가 큰 항공기 사고다.